검색결과 필터

[전체] “잡가” 에 대한 검색결과 5,8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07)

사전(276)

  • 고공답주인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에 이원익(李元翼)이 지은 가사. [개설] 허전(許㙉)이 지은 「고공가(雇工歌)」에 화답한 가사이다. ‘고공답가(雇工答歌)’라고도 한다. 임진왜란을 겪은 뒤 명신이던 이원익이 지었다 하며, 순조 때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
    이칭별칭고공답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에서 20세기 초까지 번창하였던 시가의 한 갈래. [내용] 원래 라는 말은 ≪동가선 東歌選≫‧≪남훈태평가≫ 등의 가집에 나타나는 곡명에서 유래된 것이나 문학적으로 볼 때는 시조‧가사 등과 구별되는 일군의 시가류를 지칭한다.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에서 20세기 초까지 번창하였던 시가의 한 갈래. [개설] 원래 라는 말은 『동가선(東歌選)』‧『남훈태평가』 등의 가집에 나타나는 곡명에서 유래된 것이나 문학적으로 볼 때는 시조‧가사 등과 구별되는 일군의 시가류를 지칭한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부터 서민층에서 부르는 노래의 한 갈래.
    정의조선 후기부터 서민층에서 부르는 노래의 한 갈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apga | MR표기chapk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서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평안도와 황해도 지방에서 불린 . [내용] 평안도와 황해도 지방에서 불린 . 입창(立唱)에 대하여 앉아서 부른다 하여 서도좌창(西道座唱)이라고도 한다. 서도에는 <공명가 孔明歌>‧<사설공명가>‧<제전 祭奠>‧<초한...

단행본(1)

  • 한국 실전 고문헌 서발류 해제집 1 경부, 자부 [한국 고문헌의 지식계보학적 연구자원 구축 | 고려대학교]
    저자 : 심경호, 강순애, 윤재민, 정우봉... | 출판사 : 조은글터 | 출판일 : 2014.02.28
    분야생활 | 유형단행본
    藝術類 譜錄類 正音類 類 類書類 法家類

고서·고문서(5,334)

  • 03476 13016 목록 사별곡 츈면곡 고상별곡 고상곡 슈양산가 죽지사 구사 황계사 제비가 션육 회심곡
    구분잡가
  • 03492 초한가[단국대] 13018 시 [4] 어와 셰상 사람들라 강산물 구경가 쳔지가 분명한이 일월이 발갓도다 건곤이 초판한이 강산이 분명다 골골리 흐른 물은 좌우로 폭포 되고 중굿∧ 쳔만봉은 여계 져계 경쳐로다 조흔 경치 어
    구분잡가
  • 03495 13019 목록 〈T〉〈/T〉 츈면곡 구사 양양가 소츈양가 적벽가
    구분잡가
  • 03525 申五衛將本集 四 13021 短 [21] 쇼강(瀟湘江) 저 기러기 낙목한쳔(落木寒天) 울고 갈 제 낭군젼(郎君前) 소식전(消息傳)차 금(錦字)를 손의 들고 급등누(急登樓) 여보니 쇼즁낭(蘇中郞)은 나나히라 그 편지 전면서
    구분잡가
  • 04722 雅樂部歌集 16003 1934년 이후 이왕직아악부 필사본 기명 [155] 녹음방쵸 금셩츈에 관산월이 두렷다 홍도 벽도 만발헌듸 녕산홍이 불것더라 월츌동녕초운긔요 도홍부함슉우로다 츈심은 의의헌듸 계향은 습의로다 쳐쳐에...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구술자료(171)

기초학문(13)

  • ''를 위한 변명 - 중국 고대 목록서 ''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정훈, 게재일 : 2008
    24809 안정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를 위한 변명 - 중국 고대 목록서 ''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의 개념과 범주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애경, 게재일 : 2003
    34110 박애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시가학회 2003 의 개념과 범주의 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식민지 근대의 와 민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소영, 게재일 : 2009
    44310 이소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9 식민지 근대의 와 민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근현대 문학작품의 수용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계영, 게재일 : 2014
    57311 전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언어학회 2014 근현대 문학작품의 수용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20세기 전반 소통매체의 다양화와 의 존재 양상-집과 유성기 음반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고은지, 게재일 : 2007
    29493 고은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회 2007 20세기 전반 소통매체의 다양화와 의 존재 양상-집과 유성기 음반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11)

  • 광나 무론모인고 담 고담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광나 무론모인고 담 고담잘고 몸죠잇이 잇거든 교동부신호 뎐당국으로오면 돈길도리가 잇 교동보신호 고
    게재일1902년 2월 15일 | 기사분류광고
  • 광나 무론모인고 담 고담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광나 무론모인고 담 고담잘고 몸죠잇이 잇거든 교동 부신호 뎐당국으로오면 돈길도리가 잇 교동보신호 고
    게재일1902년 2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 不唱不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진연쳥 당샹들이 가무를 연습 기녀를 초야 를 쳥다가 듯지아니 고로 장을 불너 벌랴즉 쟝이  경무관리라 벌도 시치 못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5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償 賜女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젼팔일날 궐에셔 기을불너 기예 보신후에 젼량과 필육등속을 시상옵셧 각각 돈쳔량 길상 모시 셔양각일필식이라고 기즁에 쟝고치고 잘야 우등칭찬밧은자 슌창기에 금화라더라
    게재일1906년 5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欲重反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시위 뎨일련 삼대 참위 류한용씨 일젼밤에 그 영문안에셔 소등랍팔을 분후에 그 직소에셔 평복인슈인과 이병뎡슈인을다리고 슐을먹으며 시죠 부르다가 기시 쥬번졍위 최욱씨에게 현탈되야 그 평복인은 츌송고 슐상과 노것은 금지얏더니 류참위가 그 당셕에셔 못...
    게재일1907년 7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신라 문무왕이 薛仁貴에게 보낸 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 縱橫家, , 農家 등이다. 을 섭렵하였으니, 황제의 벌을 집행함에 죄없는 사람에게 함부로 가하지 않을 것입니다. 천자의 군대를 출동시키기 전에 먼저 일의 근본과 까닭을 묻는 서신을 보내왔으니, 이에 배반하지 않았음을 감히 말씀드립니다. 바라건대 총관께서는 스스로...
    대표표제어신라 문무왕이 薛仁貴에게 보낸 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47)

  • / [언론·출판]

    편자미상. 필사본. <>는 가사집이다. 책의 구성은 1책 56장 이다. 목차는 고공가, 답가, 지로가, 관동별곡, 관서별곡, 성산별곡, 면앙정가, 목동가, 답가, 낙빈가, 귀전가, 어부사, 장진주사, 권주가, 맹상군가, 은사가, 처사가, 용저가, 호남곡, 팔사기,

  • /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서 20세기 초까지 번창하였던 시가의 한 갈래. 원래 라는 말은 ≪동가선≫·≪남훈태평가≫ 등의 가집에 나타나는 곡명에서 유래된 것이나 문학적으로 볼 때는 시조·가사 등과 구별되는 일군의 시가류를 지칭한다.

  • 십이 / [문학/구비문학]

    경기(京畿) 가운데 좌창(坐唱)에 속하는 열두 가지 . 십이에는 「유산가」·「적벽가」·「제비가」·「소춘향가」·「선유가」·「집장가」·「형장가」·「평양가」 등 8와, 「달거리」·「십장가」·「출인가」·「방물가」 등 잡 4편을 합하여 일컫는 것이다. 첫

  • 면앙정 / 俛仰亭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송순(宋純)이 지은 시조. 1829년(순조 29) 간행된 목활자본 『면앙집(俛仰集)』 권4 잡저편에 한역가(漢譯歌)만 실려 전한다. 모두 2수로, 제1수는 정자 위에서 부는 바람을 보고 그 때의 정회를 읊은 것이다. 추월산(秋月山) 바람이 금성(金城)을 지

  • 무쌍신구 / 無雙新舊 [문학/고전시가]

    박승엽(朴承曄)이 편찬한 집. 본문 서두에 ‘광무대소리’라 하여 광무대에서 불려진 노래를 채록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책표지에 광무대 무대모양과 연주현장의 그림이 있고, 책 끝에는 박춘재의 사진을 싣고 ‘조선제일류가객박춘재(朝鮮第一流歌客朴春載)’라 설명을 하고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