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작법귀감” 에 대한 검색결과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

사전(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26년(순조 26) 고승 긍선이 편찬한 불교의식집. 2권 2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삼보통청 부...
  • 작법절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ㆍ『()』ㆍ『석문의범(釋門儀範)』과 함께 불교의식의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이다. 동국대학교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작법절차 불교의식의 절차를 모은 책. 편자, 편년미상. 1책. 목판본. 동국...
  • 작법승(作法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修作法), 운수단작법(雲水壇作法), 축상작법(祝上作法)과 같은 의식뿐 아니라 『』 같은 의례 서적에도 작법이라는 명칭이 쓰인다. 좁은 의미에서 본다면 작법승은 범패, 범음, 어산, 장엄 등을 하는 승려를 지칭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의식에 참여하는 승려들 가...
    관련어영산재(靈山齋), 범패(梵唄), 범음(梵音), 어산(魚山), 주법(主法), 유나승(維那僧), 작두승(作頭僧), 분수작법(焚修作法), 영산작법(靈山作法), 예수작법(豫修作法), 운수단작법(雲水壇作法), 축상작법(祝上作法)
  • 독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음성과 음률이 중요시되는 까닭은 이를 통해서 중생을 교화한다는 신앙적 기능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독경의 음률이 중요시됨에 따라 범패(梵唄) 등의 불교음악도 크게 융성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범음집(梵音集)』ㆍ『()』 등이 찬술되어 독경의식...
  • 화엄신중도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찾아볼 수 있다. 『고려사(高麗史)』 『()』

신문·잡지(5)

  • H10, p.514. 경남 함양 문수암 無 合綴: 下 / 亘璇 集 (사찰소장)고서목록(국립중앙도서관, 1971), p.25.
    대표표제어선문수경(禪文手鏡) 1 | 대표서명禪文手鏡 | 한글서명선문수경 | 서지형태형태서지
  • 경북 구미 자비사 주지실 無 合附: 下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경상북도Ⅱ_자료집(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08), p.109.
    대표표제어선문수경(禪文手鏡) 8 | 대표서명禪文手鏡 | 한글서명선문수경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암사 성보박물관 無 合綴: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전국_자료집(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14), p.293.
    대표표제어선문수경(禪文手鏡) 22 | 대표서명禪文手鏡 | 한글서명선문수경 | 서지형태형태서지
  • 1.3 H10, p.514.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D 218.8 긍53ㅅ 無 合綴: 下 / 亘璇 集 古書目錄 : 동국대학교 건학 100주년 기념(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고서목록 편찬위원회, 2006), p.374.
    대표표제어선문수경(禪文手鏡) 4 | 대표서명禪文手鏡 | 한글서명선문수경 | 서지형태형태서지
  • 188.7-タ49 無 表紙裏面朱書: 昭和五年八月三日李聖儀ヨリ購求 鄭君の日藏本らし鄭君に購呈スル事 合綴: 看堂論 - 版心題ㆍ卷尾題: 下 6張(半郭 24.3x19.0, 有界, 半葉 11行22字, 內向2葉花紋魚尾) 海外典籍文化財調査目錄 : 日本 天理大學...
    대표표제어선문수경(禪文手鏡) 11 | 대표서명禪文手鏡 | 한글서명선문수경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석 긍선(釋 亘璇) 편, 목판본, 1827년(순조 27), 2권 1책. 구성은 목록, 서, 범례, 권상-하이다. 선승 긍선(亘璇)이 당시 불가의 의례들을 보수한 불교 의례서이다. 국한문혼용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