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자헌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1)
사전(269)
- 정헌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문신 정2품 상계(上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文散階)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되는 관직으로는 우참찬‧지사‧...
- 자헌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문신 정2품 하계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文散階)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군‧위‧좌참찬‧우참찬‧지사‧판서‧판윤‧대...
- 자헌대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이품 문무관의 품계정의정이품 문무관의 품계 | 문광부표기Jaheon Daebu | MR표기Chahŏn Tae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겸도승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승정원 도승지의 관계(官階) 진급에 따른 임시관직. [내용] 도승지의 정식품계는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였으나, 여기서 3계를 진급하여 정2품 자헌대부(資憲大夫)가 되거나, 자헌대부 이상의 관계를 가진 사람이 도승지에 임명되...
- 정이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3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文散階)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었다. 종친계는 1443년(세종 25) 숭원대부‧승헌대부가 신설되고, 의빈계는 1444년
고서·고문서(272)
- 大考資憲大夫知敦寧府事贈謚章簡公府君家狀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九○別集 潘南朴趾源美齋著 考槃堂秘藏○狀 大考資憲大夫知敦寧府事贈謚章簡公府君家狀 大考資憲大夫知敦寧府事贈謚章簡公府君家狀 府君諱弼均, 字正甫, 初諱弼賢. 我朴氏, 系出新羅, 得姓於羅州之潘南縣者, 爲潘南人也. 高麗恭讓王時, 判典校寺事諱尙衷,대표표제어大考資憲大夫知敦寧府事贈謚章簡公府君家狀 | 목차考槃堂秘藏○狀
-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兼 知義禁府事로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661 1464_01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兼 知義禁府事로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증직교지 한자 고문서 HJ314.JPG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兼 知義禁府事로 임명하는 교지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662 1464_02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兼 知義禁府事로 임명하는 교지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증직교지 한자 고문서 HJ314.hwp 敎旨 贈嘉善大夫兵曹參 判兼同知...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具鳳齡에게 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증직한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50 2449_01 具鳳齡에게 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증직한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증직교지 한자 고문서 KBR004.JPG 具鳳齡에게 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증직한 교지 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具鳳齡에게 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증직한 교지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51 2449_02 具鳳齡에게 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증직한 교지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증직교지 한자 고문서 KBR004.hwp 敎旨 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經筵 成均館事藝文館提學...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27)
-
자헌대부 / 資憲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2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군·위·좌참찬·우참찬·지사·판서·판윤·대제학·세자좌빈객·세자우빈객·도총관·제조 등이 있
-
정부인 / 貞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의 정·종2품의 위호. 문무관 정2품 정헌대부(正憲大夫)·자헌대부(資憲大夫)의 적처와 종2품 가정대부(嘉靖大夫)·가선대부(嘉善大夫)의 적처를 봉작하여 통칭한 것이다.
-
성운특증문서 / 成運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19일. 고 시정 성운(成運)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10일 전의 문서이다. 저서로는《대곡집》3권 1책이 있다.
-
구완식특증문서 / 具完植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참판 고 구완식(具完植)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 이 문서는 임오군란 당시 명성황후를 호위한 공로를 기려 특별히 증직한 임명장이다.
-
민병승승급문서 / 閔丙承陞級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7일. 종2품 가선대부 민병승을 정2품 자헌대부에 가자하는 임명장. 이 문서는 순종황제가 일본 황제에게 한국통치권을 양도하기 이틀 전의 문서로, 당시 한국인에 대한 많은 수의 훈장수여, 가자, 승급, 추증, 개시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