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자치통감강목” 에 대한 검색결과 1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5)

사전(8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38년(세종 20)에 간행된 중국의 역사서. [개설] 1책. 활자본. 보물 제552호. 『』은 송나라의 주희(朱熹)가 사마광(司馬光)이 지은 『자치통감』을 『춘추(春秋)』의 체재에 따라 사실(史實)에 대하여 큰 제목으로 강...
    연계항목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남송(南宋)의 주희(朱熹, 1130-1200)가 지은 중국의 역사책.
    정의중국 남송(南宋)의 주희(朱熹, 1130-1200)가 지은 중국의 역사책.[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Jachi tonggam gangmok | MR표기Chach’i t’onggam kangm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강목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송나라의 주희(朱熹)가 편찬한 『』에서 중요한 내용을 뽑아 간추린 책. [내용] 75권 8책. 필사본. 서기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사실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저본이 되는 『』은 사마 광(...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유학 문헌 한국 조선 세종 정일영 박종국 2014 주희(朱熹) 1438년(세종 20) 59권 151책 병진자(丙辰字), 갑인자(甲寅字) ...
  • 통감강목(通鑑綱目)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실(史實)은 큰 제목의 강(綱)으로 따로 세우고, 사실에 대한 기사는 목(目)으로 구별하여 편찬하였다. 원래 이름은 ‘()’이고 줄여서 ‘강목(綱目)’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세종 때 교주(校註)한 사정전 훈의본(思政殿訓義本)인 『훈의...
    유형분류문헌

고서·고문서(19)

  •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續)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經史門9_悼考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一“皇”字, 非本旨也. 若程子所論, 則乃濮王典禮, 而與此不可爲例, 乃揍合爲說, 恐似不安也. 其曰: “宣帝其其: 국중본(가)ㆍ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없다. 《》에 따라 보충한다. 稱所生爲‘皇考’, 亂倫失禮, 固已甚矣.” 凡十七字, 分明非程子說. 讀此者, 宜諦看...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종가 소수박물관 [綱目心法]은 嘯皐 朴承任이 저술한 책으로, [] 가운데 필자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편집하여 정리한 것이다. 1780년(정조4)에 嘯皐先生文集 續集을 편찬할 때 大山 李象靖이 쓴 嘯皐先生年譜의 서문에서도 ‘강목심법은 인멸되어 후...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捧大米十七石七斗比前減二十石十四斗四升 書冊周易十四卷書傳十卷詩傳十卷論語七卷孟子七卷中庸一卷大學一卷禮記十卷一百二十卷性理大全二十四卷朱子大全四十卷文選十二卷宋名臣錄二十卷東萊博議四卷白眉故事五卷陶靖節集二卷鄕約冊一卷衿珮錄三卷 居接生 每等料小米一石六斗比前減一石十二斗 庫直一名 每...
    출처전거平安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438년(세종 20)에 간행된 중국의 역사서. 1책. 활자본. 보물 제552호. 『』은 송나라의 주희가 사마광이 지은『자치통감』을『춘추』의 체재에 따라 사실에 대하여 큰 제목으로 강을 따로 세우고 사실의 기사는 목으로 구별하여 편찬한 것이다.

  • / [역사]

    편년류(編年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45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5.7×22.3cm, 반곽은 25.5×16.2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강목(綱目)이다. 송(宋)의 주희(朱熹)가 편찬하였다. 권수는 44권 45책이다.

  • 강목초 / 綱目抄 [역사/조선시대사]

    송나라 주희의 『』에서 중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저술한 역사서. 75권 8책. 필사본. 서기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사실을 담고 있다.이 책의 저본이 되는 『』은 사마 광(司馬光)의 『자치통감』을 성리학적 가치관에 의하여 다시 편

  • 강목집요 / 綱目輯要 [역사/근대사]

    주자의 『()』과 『속강목(續綱目)』을 바탕으로 하여 그 대요를 발췌 수록, 학자들에게 참고하게 하였다는 편찬이유가 있다.이 책의 특징은 장마다 책머리에 대요를 써서 쉽게 참고할 수 있게 하고, 본문 중에 핵심되는 내용에는 점을 찍어 빨리 그 요지

  • 계축자 / 癸丑字 [역사/조선시대사]

    1493년(성종 24) 주자소(鑄字所)에서 만든 동활자. 중국 명조(明朝)의 신판(新板)인 《 》을 자본으로 하여 1493년 계축년에 주성하였다. 그러나 어느 책을 발간하기 위하여 계축자(癸丑字)를 주조하였는가에는 실록에 밝혀져 있지 않다. 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