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자치통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86)
사전(272)
- 자치통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7㎝, 유계(有界) 10행 19자, 주쌍행(注雙行), 상하하향 어미(上下下向 語尾). 권두에는 자치통감이라 되어 있으나, 판심에는 통감(通鑑)이라 되어 있다. 난 상에 해당 연도의 간지, 좌변(左邊) 난 외에 황제 묘호(廟號)가 있다. 총 294권 중 이 책은...연계항목자치통감(資治通鑑)
- 자치통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이 1065년-1084년에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정의중국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이 1065년-1084년에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두산백과] | 문광부표기Jachi tonggam | MR표기Chach’i t’ong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자치통감(資治通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자치통감 자치통감 資治通鑑 철학유학 문헌 한국 조선 정일영 박종국 2014 사마광(司馬光) 294권 100책 갑인자(甲寅字), 무신자(戊申字) 자치통감(資治通鑑) ...
- 자치통감(資治通鑑)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사서 자치통감(資治通鑑)司馬光, 北宋 『資治通鑑』은 北宋 司馬光(1019∼1086)이 지은 편년체 사서이다. 司馬光은 仁宗부터 哲宗까지 4대에 걸쳐 재상을 지낸 舊法黨의 대표적 인물이자 역사가이다. 그는 治平 3년(1066)에 寧宗이 칙명으로 본격적으로 『資治通鑑』...서명자치통감(資治通鑑) | 간행司馬光, 北宋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강목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송나라의 주희(朱熹)가 편찬한 『자치통감강목』에서 중요한 내용을 뽑아 간추린 책. [내용] 75권 8책. 필사본. 서기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사실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저본이 되는 『자치통감강목』은 사마 광(...
논문(2)
- 7세기대 한・중 사서의 교류 기사 검토-『삼국사기』와 『구당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저자 : 김덕원 | 게재정보 : 신라사학보
- 7세기대 한・중 사서의 교류 기사 검토-≪삼국사기≫와 ≪구당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저자 : 김덕원 | 게재정보 : 신라사학보
고서·고문서(850)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자치통감절요속편(資治通鑑節要續編)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3 太祖 建隆三年十一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890 중국 사서 속자치통감장편 001 광종(光宗) 13 962 11 22 續資治通鑑長編3 太祖 建隆三年十一月 丙子 三佛齊國王釋利耶高麗國王昭並遣使來貢方物 5대ㆍ송, 조공책봉, 宋 太祖 建隆三年은 고려 광종 13년(9...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광종(光宗) 13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4 太祖 乾德元年九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891 중국 사서 속자치통감장편 002 광종(光宗) 14 963 9 續資治通鑑長編4 太祖 乾德元年九月 (甲寅) 登州言 髙麗國王昭遣使時賛等入貢 渉海 值大風 船破 從人溺死者九十餘人 賛僅而獲免 詔勞䘏之 5대ㆍ송, 조공책봉, ...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광종(光宗) 14
기초학문(2)
- 자치통감 역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중달, 게재일 : 200750606 권중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출판 삼화 2007 자치통감 역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자치통감5 후한시대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중달, 게재일 : 200748122 권중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출판 삼화 2007 자치통감5 후한시대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7
기타자료(160)
- 사신을 보내 공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고구려→양 【번역】 (보통 원년 정월) 고구려의 세자 고안(高安)이 사신을 파견하여 공물을 바쳤다. (資治通鑑 149 梁紀 5 高祖武皇帝 5) 【원문】 (普通 元年 正月) 高句麗 世子安遣使入貢 (資治通鑑 149 梁紀 5 高祖武皇帝 5)대표표제어사신을 보내 공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20년(庚子/신라 법흥왕 7 建元 5/고구려 안장왕 2/백제 무령왕 20/梁 普通 1/倭 繼體 14)
- 신라가 당에 김억을 보내어 숙위를 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라→당 【번역】 2월 무진일(13)에 신라왕 김억(金嶷)이 들어와 조공하고, 인하여 숙위(宿衛)를 청하였다. (資治通鑑 222 唐紀 38 肅宗 下之下) 【원문】 二月戊辰 新羅王金嶷入朝 因請宿衛 (資治通鑑 222 唐紀 38 肅宗 下之下)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김억을 보내어 숙위를 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61년(辛丑/신라 경덕왕 20/발해 문왕 25 大興 25/唐 上元 2/日本 天平寶字 5)
- 고구려가 신라와 백제 등과 함께 사신을 보내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고구려 고구려→당 【번역】 봄 정월 기미일 초하루에 토욕혼(吐谷渾)·신라·고구려·백제가 모두 사신을 파견해 들어와 조공하였다. (資治通鑑 199 唐紀 15 高宗 上之上) 【번역】 (永徽) 3년 봄 정월 초하루에 토욕혼·신라·백제·고구려가 모두 사신...대표표제어고구려가 신라와 백제 등과 함께 사신을 보내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52년(壬子/신라 진덕왕 6/고구려 보장왕 11/백제 의자왕 12/唐 永徽 3/倭 白雉 3)
- 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제→당 【번역】 봄 정월에 사신을 파견해 당에 들어가 조공하였다. (三國史記 28 百濟本紀 6 義慈王 12年) 【번역】 봄 정월 기미일 초하루에 토욕혼(吐谷渾)·신라·고구려·백제가 모두 사신을 파견해 들어와 조공하였다. (資治通鑑 199 唐紀 15 高...대표표제어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52년(壬子/신라 진덕왕 6/고구려 보장왕 11/백제 의자왕 12/唐 永徽 3/倭 白雉 3)
- 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백제 백제→당 【번역】 봄 정월에 사신을 파견해 당에 들어가 조공하였다. (『三國史記』 28 百濟本紀 6 義慈王 12年) 【번역】 봄 정월 기미일 초하루에 토욕혼(吐谷渾)·신라·고구려·백제가 모두 사신을 파견해 들어와 조공하였다. (『資治通鑑』 199 唐紀...대표표제어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52년(壬子/신라 진덕왕 6/고구려 보장왕 11/백제 의자왕 12/唐 高宗 永徽 3/倭 孝德天皇 白雉 3)
주제어사전(11)
-
자치통감 / 資治通鑑 [종교·철학/유학]
사마광이 편찬한 중국 통사를 1436년(세종 18) 세종의 명을 받은 윤회·권제 등이 교정하고 주석을 첨삭하여 간행한 책. 보물 제1281호. 3권 1책. 사마광의『자치통감』은 총 294권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국 주 위열왕 23년(B.C.403)부터 오대의 주 세
-
자치통감강목 / 資治通鑑綱目 [종교·철학/유학]
1438년(세종 20)에 간행된 중국의 역사서. 1책. 활자본. 보물 제552호. 『자치통감강목』은 송나라의 주희가 사마광이 지은『자치통감』을『춘추』의 체재에 따라 사실에 대하여 큰 제목으로 강을 따로 세우고 사실의 기사는 목으로 구별하여 편찬한 것이다.
-
자치통감강목 / 資治通鑑綱目 [역사]
편년류(編年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45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5.7×22.3cm, 반곽은 25.5×16.2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강목(綱目)이다. 송(宋)의 주희(朱熹)가 편찬하였다. 권수는 44권 45책이다.
-
강목초 / 綱目抄 [역사/조선시대사]
송나라 주희의 『자치통감강목』에서 중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저술한 역사서. 75권 8책. 필사본. 서기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사실을 담고 있다.이 책의 저본이 되는 『자치통감강목』은 사마 광(司馬光)의 『자치통감』을 성리학적 가치관에 의하여 다시 편
-
소미통감 / 少微通鑑 [종교·철학/유학]
송의 강지가『자치통감』294권을 요약하여 50권으로 편찬한 책. 송 이종 원년(1237)에 강연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강연은 이 책에 많은 윤색을 가하고 음주를 달았으며 표·지·서·찬도 증입하였다. 본서는 정통과 비정통에 치중하는『자치통감강목』의 영향을 받아 ‘주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