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자정원” 에 대한 검색결과 2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7)

사전(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품질이나 첨원사‧동첨원사와의 관계는 분명하지 않다. 또한, 당시에 양부(兩府)라 하면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와 광정원(光政院)을 가리켰으며, 에도 2품 이상의 고위관원이 있었지만 이들은 양부의 재추들로 구성되는 재추회의에 참석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황후의 경제적 거점 역할을 했던 원 정부 내 재무 관청
    정의기황후의 경제적 거점 역할을 했던 원 정부 내 재무 관청 | 문광부표기Jajeongwon | MR표기Chajŏng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관직. [내용] 중추원‧추밀원‧밀직사의 종2품 관직, ()의 정2품 관직, 춘추관의 종2품 이상의 관직을 말한다. 『고려사(高麗史)』
  • 동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광정원(光政院)과 ()의 3품 관직. [내용]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를 개편할 때 광정원과 을 새로 설치하고 광정원의 종3품, 의 정3품 관직으로 동첨사를 두었다. 두...
  • 계의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의 정7품 관직. [내용]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한때 왕위에 올라 을 두고 거기에 두었던 정7품의 관직으로, 계의참군의 바로 위 관직이었으나 뒤이어 이 폐지되자 없어졌다.

고서·고문서(172)

기초학문(1)

  • 중국어 부정사 변천기제(變遷機制)와 언어의 리(理)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호득, 게재일 : 2010
    25537 장호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중국어 부정사 변천기제(變遷機制)와 언어의 리(理)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3)

  • 東京本店營業種目 一 新規日服縀物類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東京本店營業種目 一 新規日服縀物類 一 舶來雜物化粧品類 一 新形鞄子及旅行用品類 大阪支店營業種目 一 歐米流用洋服類 一 新規日服縀物類 一 帽子洋傘履物類 一 舶來雜物化粧品類 一 室內裝飾用品類 一 帽子洋傘履物類 店內에寫眞塲食堂及屋이有오 東京本店 東京日本橋駿河町 (振替...
    게재일1907년 5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雙龍 115 吉原の松樣 菊の家主人 121 餠と甜瓜の脅威 133 代り目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2
  • 文化事業の是非 加藤定吉 80 朝鮮官界の小異動 四氏のこごごも 82 靑木當の屋 84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5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충선왕 때 설치된 중앙관서. 1298년(충렬왕 24) 1월에 즉위한 충선왕이 이해 5월 대대적인 관제 개혁을 단행할 때 설치되었다. ≪고려사≫ 백관지에 의하면, 사(종1품)·동지원사(同知院事, 정2품)·첨원사(僉院事, 종2품)·동첨원사(同僉院事, 정3품)·판관(

  • 동첨사 / 同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광정원과 의 3품 관직.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를 개편할 때 광정원과 을 새로 설치하고 광정원의 종3품, 의 정3품 관직으로 동첨사를 두었다. 두 관부에서 모두 사(使)·동지사(同知事)·첨사 다음의 관직이었다. 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