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자의” 에 대한 검색결과 39,2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785)

사전(14,78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세자부(世子府)와 조선 후기 세자시강원의 관직. [내용] 참하관(參下官, 정7품)으로 정원은 1인이다. 고려시대에는 충렬왕대(1275∼1308)에 세자부의 하위관원으로 겸관(兼官)의 이하를 두면서 성립되었으며, 공양왕대(...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조선시대 세자(世子) 시강원(侍講院)의 정7품 벼슬. 李 侍下使, 어유봉(魚有鳳), 22-243 (봉투)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행전을 치고 운혜(雲鞋)를 신었다. 巾帶紫鶴鼈靑行纏官備松都軍五百名上山陵時使用, (국장1674/228ㄱ03~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정복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재직중에는 청검하다는 평을 들었으며, 공적인 일이 아니면 공경(公卿)의 문지방을 넘지 않았다. 또한, 산업에 개의치 않아 집에 저축이 없었으며, 있는 것이라고는 책상과 나무로 만든 의자뿐이었다. 당시 간의대부(諫議大夫)였던 김(金)가 그의 덕행과 학문을...
    이칭별칭 세귀(世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궁관(東宮官), 산림(山林), 세자부(世子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동궁아관(東宮衙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고려, 조선 신명호 1...
    상위어동궁관(東宮官), 산림(山林), 세자부(世子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 관련어동궁아관(東宮衙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단행본(22)

  • 개혁개방 후 중국조선족 언어, 문학 연구 자료집 [재중한인디아스포라:재중한인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 | 동덕여자대학교]
    저자 : 김춘선 ... | 출판사 : 동덕여대 한중미래연구소 | 출판일 : 20140925
    분야언어 | 유형단행본
    이 자료집은 개혁개방이후 중국 조선족 언어, 문학의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정리 작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책에 수록된 자료들은 주로 개혁개방이후 조선족 문학의 전개 양상을 이해함에 있어서 대표성을 띠는 그 가치에 치중하여 선정된 것들이다. 자료의 배렬은 발표...
  • 조선의 왕과 왕세자-왕관을 쓴 무게 [조선시대의 왕실교육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육수화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70830
    책의 구성은 왕의 이야기, 왕실여성의 이야기, 원자와 원손의 이야기, 왕세자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제1장 왕의 이야기에서는 궁궐에서의 왕의 공간과 왕의 교육인 경연에 대해서 소개하고, 왕이 종친 간의 친목과 군신 간의 화합을 위해 어떠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실행하였는지...
  • 한국의 선거 60년사 ① - 한국 1세대 유권 형성: 제1․2공화국의 선거 [한국의 선거 60년사-이론과 실제- | 한국정치학회]
    저자 : 서복경... | 출판사 : 마인드탭 | 출판일 : 20161120
    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
  • (조선왕실의 일상 3)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4.0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조선의 세자 (1) 권력의 주요변수, 세자 (2) 세 일상, 왕이 되기 위한 준비 과정 (3) 역사 속 비운의 세자들 2. 탄생, 책봉 그리고 교육 (
  • 사고전서 중의 동이 관련 사료 역주 [사고전서 중의 동이 관련 사료 집성과 역주 | 단국대학교]
    저자 : 이재호(단국대학교), 심백강(민족문화연구원)... | 출판사 : 서울컴 | 출판일 : 2013.10.25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四庫全書》中의 東夷 관련 史料 譯註 解題 -譯 序를 겸하여- 1. 東夷 2. 嵎夷 3. 鳥夷‧島夷 4. 莢夷 5. 高夷 6. 九夷

논문(24)

고서·고문서(8,714)

  • 鄕藥集成方 第五十三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165 【金匱方】救死朝至暮雖已冷必可治暮至朝小難也恐此當言陰氣盛故也然夏時夜短於晝又熱猶應可治又云心下若微溫者一日以上猶可治之 徐徐抱解不得截繩上下安被臥之一人以脚踏其兩肩手挽其髮常弦弦勿縱之一人以...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08084 창가 신수안 노래모음집 Ⅰ‧Ⅱ 22148 신 병 〈#14〉 우리 믿는 신자들의 믿음 약한 것 몇 가지 병 있으니 들어보시오 첫째로는 예배당에 성경 책 보니 동그람한 꿈 있으니 험석 병이요 둘째로는 성경책과 찬송가들이 선반 위에 늘었으니...
    구분창가
  • 新註無寃錄 新註無寃錄 卷上 格例 免檢 최치운(崔致雲) 등 33 至元十年五月中書兵开赔爲中牟縣樊潤【樊姓潤名】吿男婦喜仙 【男婦謂子之妻也喜仙名也】身死初檢官主簿李伯英據喜仙母阿白【阿白名也】等吿委是身死【委是猶言實是也】別無他故情願收埋本官准吿免檢【本官卽李伯英也准吿謂依准所吿...
    서명新註無寃錄 | 저자최치운(崔致雲)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st_00123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三 喪禮_祖奠 祖 이익(李瀷, 1681~1763) 祖 DRAC_3:1:17:1 按, 《旣夕禮》: “有司請祖期.” 《註》云: “將行而飮酒曰‘祖’. 祖, 始也.” 《疏》云: “《詩》‘韓侯出祖...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始喪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ES_00046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續編終 答安順菴問目_喪禮 始喪 始喪 이익(李瀷, 1681~1763) DRAC_7:1:3:30Q “易服”條“去冠及上服”, 據《士喪禮》, 無去上服之文, 而“扱上衽”《註》“深衣衽也”. 深衣卽上服, 而此書去...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936)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용재씨가 오랜만에 입을 열였다. 이분은 이야기를 여러 편 구연하지는 않았으나 계속해서 꼿꼿이 앉아 열심히 듣는 성의있는 청자였다.*
    조사일시1983-07-21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 제보자김용재
  •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형기 제보자가 구연하는 도중 한 뜻을 비쳐 이야기가 끝나자 부탁했더니 곧 구언하였다. 제보자는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를 주의깊게 듣고, 장단을 맞추어 분위기를 돋워주기도 했다. 이야기를 하기 전에 그 이야기를 아는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기도 했다. 곱게 차려 입은 ...
    조사일시1984-08-27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영원면 | 제보자백병기
  • 효행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백항아리’ 이야기에 이어서 최연히씨가 들려준 이야기다.*
    조사일시1979-08-08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가남면 | 제보자최연희
  • 고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무민정에 모인 할머니 중의 한 분이다. 조사자가 술을 대접하고 이야기를 해줄 것을 부탁하자 이야기를 시작했다. *
    조사일시1982-08-22 | 조사장소경상남도 김해군 진영읍 | 제보자유두임
  • 효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7-21 | 조사장소충청북도 중원군 주덕면 | 제보자김정필

기초학문(2,768)

  • 직업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영근, 게재일 : 2011
    51018 정영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장 직업사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소수 기본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2578 한국연구재단 대한변호사협회 2003 소수 기본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先秦 諸 禮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69532 한국연구재단 중국고중세사학회 2009 先秦 諸 禮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역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상기, 게재일 : 2001
    15340 박상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영어영문학회 2001 타 역사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8b7af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인식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희성, 게재일 : 2009
    28961 유희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9 순 인식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8,354)

  • 민세안재홍전집 : 女專旣成論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078 1936 4 5 9 9 安在鴻 안재홍 時題小議 女專旣成論 人命弘濟의黃金塔(九)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석간 논단 문화 직접자료 6권 女專 A19360405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聚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뎡읍등디에 소위 황의관이라쟈이도당슈삼십명을 령솔고 칭의병이라며 각촌리에드러가 쥬식을토야먹으며 화승총등속을탈취며 아즉 의병의복쟝이미비다야 당목으로 일신게지여라고 협박기도야 혹복쟝젼으로 긔십량을 탈거도며고부등디로 츌몰난 그무리들이모다평냥...
    게재일1906년 9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崔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셔흥군슈로 임신 최동식씨의 건으로 도판소에셔도 루심얏거니와 최씨의 죨디폭일이 대단의혹다야 법부에셔 평리원으로 훈칙야 군향쟝이하 셔긔 통인등 칠팔명을 일병압상야 평리원에 엄슈얏 아즉 심샤치 안이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3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졍부에셔 림시 회의건을 드른즉 슌창군에셔포착의병괴슈 최익현씨등을 평리원으로압상야 판것이 가다 야 젼라북도관찰에게 뎐보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6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負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리명실이란쟈가 남문안 미젼 손상오집에 고용다가 작년칠월에 돈 일만구쳔량을 도젹야 가지고 안산군에 나려가셔 사더니 슈일젼에 손씨가 리명일을 즁로에셔 맛나 셔셔에 착치얏더니 리가가 간속에셔 목을여 쥭엇다더라
    게재일1903년 5월 5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21)

  • 근로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제34회 근로 날을 맞아 모범 근로자 422명에게 훈장과 표창을 수여했으며 근로자들은 실질임금 인상과 사회보장제도 확충 등 6개항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우리나라 기업체들도 근로 임금인상과 후생복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태흥무역, 구미공단, 대농, 한일합섬 등이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9년 3월 1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근로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74년 제11회 ‘근로 날’에 있었던 행사 소식을 전하는 뉴스이다. 청와대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간부와 근로자 대표들을 접견하는 모습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서울에서 열린 기념식에서는 김종필 국무총리가 근로자 대표들에게 훈장을 수여하고 치사를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4년 3월 16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최승 페미니즘 시_2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차. 김혜순의 페미니즘 시 2주차. 최승 페미니즘 시 3주차. 허수경의 페미니즘 시 4주차. 최정례의 페미니즘 시 5주차. 이연주의 페미니즘 시 6주차. 김민정의 페미니즘 시 7주차. 김이듬의 페미니즘 시 8주차. 황성희의 페미니즘 시 9주차. 이혜미의 페미니즘 시
    강좌제목한국 현대 페미니즘 여성 시인들 | 강의자오형엽
  • 최승 페미니즘 시_2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차. 김혜순의 페미니즘 시 2주차. 최승 페미니즘 시 3주차. 허수경의 페미니즘 시 4주차. 최정례의 페미니즘 시 5주차. 이연주의 페미니즘 시 6주차. 김민정의 페미니즘 시 7주차. 김이듬의 페미니즘 시 8주차. 황성희의 페미니즘 시 9주차. 이혜미의 페미니즘 시
    강좌제목한국 현대 페미니즘 여성 시인들 | 강의자오형엽
  • 최승 페미니즘 시_2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차. 김혜순의 페미니즘 시 2주차. 최승 페미니즘 시 3주차. 허수경의 페미니즘 시 4주차. 최정례의 페미니즘 시 5주차. 이연주의 페미니즘 시 6주차. 김민정의 페미니즘 시 7주차. 김이듬의 페미니즘 시 8주차. 황성희의 페미니즘 시 9주차. 이혜미의 페미니즘 시
    강좌제목한국 현대 페미니즘 여성 시인들 | 강의자오형엽

기타자료(1,657)

  • 융;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6780 남한 전북 전주사범학교 2-43 제2회 졸업기념 n.r. 8면 금융;金隆 제2회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이탈 변 이탈 변 離脫 辯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심...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심재풍 | 사료철명교육평론
  • 교직 사명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직 사명 교직 사명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교육행정 교육이념 잡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중호 | 사료철명충남교단
  • 교직 자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직 자세 교직 자세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씨오더...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씨오더 브라멜드 | 사료철명사대학보
  • 교육 인간상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인간상 교육 인간상 敎育人間像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서명원 | 사료철명사상계

연구과제(144)

주제어사전(1,357)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세자부와 조선 후기 세자시강원의 관직. 참하관(정7품)으로 정원은 1인. 고려시대에는 충렬왕대(1275∼1308)에 세자부의 하위관원으로 겸관의 이하를 두면서 성립되었으며, 공양왕대(1389∼1392)에는 춘방원에 소속되어 지원사의 지휘하에 행정사무

  • / 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에 고려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 이하의 관원을 편제하면서 비롯되었다. 영사·판사·좌복야·우복야 등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우승, 하위의 좌·우장사 및 도사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의

  • / 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 고려 말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 이하의 관원을 두면서 비롯되었으며, 영사·판사·좌복야·우복야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승·우승, 하위의 좌우장사 및 도사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의

  • 상의어 / [언어/언어/문자]

    어떤 다른 어휘보다 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어휘. 상의어와 하의어는 상대적인 용어로서, 예를 들어 ‘동물’은 ‘말·소·양·돼지…’ 등의 상의어이고 그 역으로 ‘말·소·양’ 등등은 ‘동물’의 하의어인 한편, ‘동물’은 ‘식물’과 함께 ‘생물’의 하의어이고 ‘생물’은 ‘동

  • 화음방언해 / 華音方言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 언어학자 황윤석(黃胤錫)의 어원연구에 관한 글. 저 문집인 『이재유고(頤齋遺稿)』 권25 잡저 중의 한편이다. 상당한 분량에 걸쳐 약 150항목의 어원을 논증하였으며, 방법은 내외 사서(史書)에 실려 있는 지명·인명, 또는 방언 등에 나오는 어휘들을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