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자음” 에 대한 검색결과 3,0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30)

사전(67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허파에서 올라오는 공기가 구강(口腔) 안의 어느 부분 또는 성문(聲門)을 마찰하거나 폐쇄하여 조음되는 음. [내용] ‘닿소리’라고도 하며, 음소로서의 과 구별하여 ‘자성(字聲, contoid)’이라고도 한다. 언어음(言語音,
    이칭별칭닿소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
    정의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 | 문광부표기jaeum | MR표기chaŭ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9_J_0020 언어 於戲, 音嗚呼, 子諒, 音慈良, 齊衰, 音咨崔, 從臾, 音縱勇, 陂池, 音坡陀, 毒冒, 音代妹, 欵乃, 音奧靄, 冒頓, 音墨特, 休屠, 音朽除, 閼氏, 音焉支, 万侯, 音墨其, 可汗, 音克韓 J_07_02_03 지봉...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7권 2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 싶은 희망을 나타내며 자기의 초라한 신세를 한탄한 내용이다. 「유거(幽居)」‧「은계유어(銀溪遊魚)」‧「독묘산(獨妙山)」 등은 모두 저자의 고독한 심회를 은연중에 함축하고 있다. 「자만(自挽)」은 자신의 죽음에 대한 만시로 영락(零落) 생활 8년 동안 신선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자의 음.
    정의한자의 음.[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Hanjaeum | MR표기Hanjaŭ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Elementary Korean for Foreign Students [캄보디아 빠나쌋뜨라대학 한국학 교육프로그램 개발사업 | 신라대학교]
    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글로벌한국학센터 센타장), 엄경흠(신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김인균...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Lesson 01. 한글(Hangeul) Lesson 02. 단모음(Single Vowels) Lesson 03. 이중 모음(Double Vowels) Lesson 04. (Consonants)

고서·고문서(1,888)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정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해림현(海林县) 해남향(海南乡) 홍성촌 2 2 , 모음, 얼마간, 볼줄, 쓸줄,...
    대표표제어자음 | 성씨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次(國閑)馬韻 39_121_091.jpg 次(國閑)馬韻 金風驅雁碧天高, 寥落川原百卉凋。 馬上陽春頻唱和, 多慙下里曲難調。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7 第七統統首千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35년_유포면(柳浦面) 1735년 유포면(柳浦面) 第十一福城浦津 7 第七統統首千先 第一戶 水營軍私奴千先年伍拾玖丁巳本蔚山父先男主京居李廷祖得先曾祖夫元外祖金己龍 本金海母己林代妻私婢今分今故壬子戶口相准 第二戶 寡私婢劉彔分年貳拾玖丁亥本慶州主京居兪...
    연도_면이름173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一福城浦津
  • 1 第一統統首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2년_대현면(大峴面) 1792년 대현면(大峴面) 第十八麗泉里 1 第一統統首吳男 第一新戶 別炮手吳男年參拾伍戊寅本海州父貴石乙祖汗命曾祖斗永外祖朴太元本慶州妻裵召史年 參拾伍戊寅本星州父再元祖臣宅曾祖遠興外祖李貴同本慶州等己酉戶口相准 第二戶 主鎭軍金次...
    연도_면이름1792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八麗泉里

구술자료(4)

  • + 도(v1) 비고정장단 곡. ♪ = 150 (논산 19)아시매기소리.jpg (논산 19)아시매기소리.mp3 긴 아하에헤 류의 논매기소리에 속한다. 순수 입말 대신에 ‘호늘’ 허늘‘ ’허얼‘ ’나아‘와 같은 글자를 섞어 가창하기도 하였다.
    녹음지역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안심리 | 녹음날짜1989.1.19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었던 지역의 호수에 관련한 전설을 구연했다. 조사자가 말린꾼당 이야기를 안다고 하자, 그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어머니 마음에 이입해 구연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지역에서 들었던 비슷하지만 다른 이야기도 있다며 구연을 했다. 구연할 때 말이 빠른 편이고, 한국어 모음과
    원국적인도네시아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카자흐스탄의 문화와 역사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만큼 거의 90%정도, 우즈벡어도 비슷해요. 그냥 가끔 이나 모음? 우리가 ‘쓰’라고 부르는 건, 우즈벡 사람들 ‘슈’라고 부르고. 아라고 부르는 건 ‘아’라고 부르는데, 그 사람들 ‘오’라고 부르는데 그 사투리, 거의 사투리죠. [조사자2: 우리가 제주도 말 어
    국가카자흐스탄 | 제보자아쑤바이에바 [카자흐스탄, 여, 1991년생, 유학생 3년차] 사니아 [카자흐스탄, 여, 1992년생, 유학생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못 그 으 만 알지 그거는 완전히 모르거든. 아니 근데 밤 전야 때 되니까 아 저 그 대대장이 저 분대장들은 그기 저 지방에서 겨울이니까 땔나무를 갖다줘요. 그것도 저 호에 다 담고 실탄도 자 기 삼백발. 그 이상은 버리고 다 야튼 이 저 호한테 담으라. 그리고 저
    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2월 6일

기초학문(142)

  • 常用漢字表 止攝 漢 分類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철, 게재일 : 2014
    18131 이경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어교육학회 2014 常用漢字表 止攝 漢 分類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교동지역어의 체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4064 한국연구재단 방언학회 2011 교동지역어의 체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한국인과 일본인의 영어 지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배문정, 게재일 : 2004
    10528 배문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실험심리학회 2004 한국인과 일본인의 영어 지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語頭群의 硬音化와 激音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승철, 게재일 : 2003
    07406 정승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003 語頭群의 硬音化와 激音化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高麗 時代 口訣 漢의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무림, 게재일 : 1999
    07541 김무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구결학회 1999 高麗 時代 口訣 漢의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1999

신문·잡지(116)

  • 沈英子(沈英食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沈英子(沈英食店) 서울 沈英子 沈英食店 敦義町 57 요리_음식점 - 조선 주점 - 2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沈英子(沈英子飮食店)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조선 주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本社諸員이各出義設賑야曆四月十六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社諸員이各出義設賑야曆四月十六日로爲始터이니五署內窮民은齊到홈 篩洞新作路義賑社 廣告
    게재일1902년 5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 本社諸員이各出義設賑야曆四月十六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社諸員이各出義設賑야曆四月十六日로爲始터이니五署內窮民은齊到홈 篩洞新作路義賑社 廣告
    게재일1902년 5월 12일 | 기사분류광고
  • 本社諸員이各出義設賑야曆四月十六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社諸員이各出義設賑야曆四月十六日로爲始터이니五署內窮民은齊到홈 篩洞新作路義賑社 廣告
    게재일1902년 5월 14일 | 기사분류광고
  • 本院에셔 八月廿六日로 虎列刺(괴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院에셔 八月廿六日로 虎列刺(괴질)預防注射法을每日午前十一時부터午後一時지施行오니欲爲注射之人員은斯速來臨시오 勳洞醫學校附屬病院
    게재일1902년 10월 9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90)

  • 한국어의 _3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발음 본강의는한국어발음에대한음성학적,음운론적이해를목표로한다.한국어과모음의구체적인실현양상을살피고,그들이이루고있는체계를고찰하는한편,공시적및통시적음운과정의기
    강좌제목한국어의 발음 | 강의자김현 교수
  • 한국어의 _3주차_2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발음 본강의는한국어발음에대한음성학적,음운론적이해를목표로한다.한국어과모음의구체적인실현양상을살피고,그들이이루고있는체계를고찰하는한편,공시적및통시적음운과정의기
    강좌제목한국어의 발음 | 강의자김현 교수
  • 한국어의 _3주차_3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발음 본강의는한국어발음에대한음성학적,음운론적이해를목표로한다.한국어과모음의구체적인실현양상을살피고,그들이이루고있는체계를고찰하는한편,공시적및통시적음운과정의기
    강좌제목한국어의 발음 | 강의자김현 교수
  • 한국어의 _3주차_4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발음 본강의는한국어발음에대한음성학적,음운론적이해를목표로한다.한국어과모음의구체적인실현양상을살피고,그들이이루고있는체계를고찰하는한편,공시적및통시적음운과정의기
    강좌제목한국어의 발음 | 강의자김현 교수
  •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1_ 과 모음_2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1: 과 모음 3주차.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2: 음절과 음운 변동 4주차.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장 구조 5주차. 한국어와 중국어 단어의 갈래 1: 체언, 용언, 수식언 6주차. 한국어와 중국어 단어의 갈래 2: 조사 7주차. 한국어와 중국
    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기타자료(17)

  • 영어과 한국어과의 비교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과 한국어과의 비교연구 영어과 한국어과의 비교연구 英語과 韓國語과의 比較硏究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배태영 | 사료철명문교경북
  • 構) 등이 있다. 토광묘는 출토유물이 없어 그 시기를 정확히 가늠하기 어려운 것이 대부분이나, 3호토광묘에서는 토기 매병(梅甁), 청각연판문완(靑刻蓮瓣文盌), 청자압출양각당초문(靑磁押出陽刻唐草文)접시, 청각연판문유병(靑刻蓮瓣文油甁) 등이 출토되어 그 시기...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한국도로공사 | 발굴지역충청남도
  • ates Army 숙명여자대학교 4번 자료에서 이루어졌던 강도들에 대한 서류의 암호가 해독되었음을 기록. 숫자 10은 ㄱ, 18와 19는 ㄴ, ㄷ과 17은 ㄹ으로 기록되어 암호를 충분히 해독할 수 있는 정도로 구체적으로 모음과 을 나열...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Romie L. Melton Lt Colonel GS A C of S G-2 | 수신자Assistant Chief of Staff G-2 Eighth United States Army
  • 오대산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군(讓寧大君)…’라는 명문이 있는 암막새가 출토되어 연대비정에 결정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고려시대 수혈유구 내에서 귀목문 수막새와당, 청각초화문과형병(靑刻草花文瓜形甁), 평기와, 경질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귀목문 수막새와당은 판구 끝 부분에 소형의 연...
    발행연도2004/07/27 | 발굴기관(재)대한불교조계종 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 | 발굴지역강원도
  • 중부고속도로건설예정지역 광주조선백자요지 발굴조사보고-번천리5호,선동리2,3호- -번천리5호-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31점, 오목굽에 모래받침법 백자가 35점으로 총 2062점이다. 폐기물 퇴적에서 嘉靖33년(1554)명의 백각 묘지편이 출토됨에 따라 이 번천리 5호요지는 1554년을 전후한 시기로 절대연대를 갖게되었는데, 묘지편은 태토의 색과 소성방법이 태토빚음눈 받침 백자...
    발행연도1986 | 발굴기관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한국도로공사 | 발굴지역경기도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127)

  • / [언어/언어/문자]

    허파에서 올라오는 공기가 구강(口腔) 안의 어느 부분 또는 성문(聲門)을 마찰하거나 폐쇄하여 조음되는 음. 언어음(言語音, speech sounds)은 과 모음으로 나누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음성학적으로 그 분류기준을 엄밀히 규정하기는 어렵다. 음절구성에 의한

  • 어두군 / 語頭 [언어/언어/문자]

    단어의 첫머리에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 현대국어에는 이러한 군이 없다. 그런데 훈민정음이 창제된 뒤 이 문자로 표기된 문헌들을 보면 어두 위치에 서로 다른 둘 또는 세 초성을 나란히 쓴 예들이 발견된다. 이렇게 쓰는 법을 합용병서(合用竝書)라고 하였다.

  • 이체자 / 異體字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에서 초성과 종성에 쓰이는 문자로 창제한 반설음 ‘ㄹ’, 반치음 ‘ㅿ’, 아음의 ‘ㆁ’을 아울러 이르는 말. 훈민정음』의 초성자는 먼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기본 문자인 ‘ㄱ, ㄴ, ㅁ, ㅅ, ㅇ’를 만들고 소리가 센 까닭에 획을 더하여 ‘ㅋ, ㄷ

  • 한국한 / 韓國漢 [언어/언어/문자]

    본래의 한이 한국어의 음운체계에 합치하도록 변형된 한. 한자의 토착화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에서 통용되는 한으로 특별히 중국음·일본음 등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만 한국한(Sino-Korean)이라 한다. 한국한이라 하더라도 시대

  • 군단순화 / 群單純化 [언어/언어/문자]

    음절말에 두 개의 이 놓일 때 둘 중 하나의 만 남고 나머지 이 탈락하는 현상. 국어의 체언과 용언의 어간에는 겹받침이 사용된 어휘들이 존재한다. 겹받침이 음절말에 놓이게 되면 하나의 만 발음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음절 구조 제약 중의 종성에 대한 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