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자녀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삼가금지법
연구성과물(9)
사전(8)
- 자녀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통시대 품행이 부정하거나 세 번 이상 개가(改嫁)한 양반집 여자의 이름과 소행을 적어 두는 대장. [내용]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남편이 있는 아내가 음행이 있으면 「자녀안」에 올리고 바느질하는 종[針工]으로 삼도록 하였는데, 고려...
- 자녀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통 사회에서 양반가 규수의 품행을 기록한 대장정의전통 사회에서 양반가 규수의 품행을 기록한 대장 | 문광부표기Janyeo an | MR표기Chanyŏ 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삼가금지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양반의 정처(正妻)가 세 번 이상 혼인하면 그 자녀에 대해 불이익 처분을 내리던 제도. [내용]] 조선 왕조가 세워지고 새로운 지배체제가 갖추어지는 태종대에 이르러, 양반의 정처로서 세 번 혼인하는 여성은 자녀안(恣女案)에 그 명단을
- 이숙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① 사사(寺社)의 혁파와 사원전(寺院田)의 감축, ② 무격(巫覡)의 음사(淫祀) 금지, ③ 지방관 부임시 부모 동반 금지, ④ 사풍(士風)의 탐오(貪汚)와 여자의 부정(不貞)에 대한 제재, ⑤ 사대부의 처에 대한 자녀안(姿女案 : 양반 집 여자로서, 품행이 나쁘거나 세...이칭별칭 순절(順節)
- 화간(和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극형에 처해졌을 뿐만 아니라 『자녀안(恣女案)』에 이름이 올라 영원히 간음녀로 낙인이 찍히고 자손들의 관직 진출에도 불이익을 당하였다. [용례] 漢城府始用枷鎖訊杖 政府啓 京外罪囚照律 殺人 强盜 强奸 據執 仍執 誤決 改正等事 刑曹主之 族親不睦 家財代田 竊盜 和奸...관련어간통(奸通), 상간(相奸), 강간(强奸)
고서·고문서(1)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924 B068924 동래 東萊 정치행정 太宗實錄 六年(1406) 六月 태종실록_10606009_003 士大夫正妻, 夫歿者、見棄者, 或父母奪情, 或粧束自媒, 至二三其夫, 失節無恥, 有累風俗。 乞大小兩班正妻適三夫者, 依前朝之法, 錄于《恣女案》, 以正婦道。 其三, 辛...출처전거太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자녀안 / 恣女案 [사회/사회구조]
전통시대 품행이 부정하거나 세 번 이상 개가한 양반집 여자의 이름과 소행을 적어 두는 대장. <자녀안> 기록은 그 자손의 관리 임용이 금지, 세 번 이상 개가만은 제도적으로 금지하려는 것이었다. 단종 때에 이르러 비로소 삼가녀가〈자녀안〉에 기록되기 시작하고, 그리고
-
삼가금지법 / 三嫁禁止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양반의 정처가 세 번 이상 혼인하면 그 자녀에 대해 불이익 처분을 내리던 제도. 태종대 양반의 정처로서 세 번 혼인하는 여성은 자녀안(恣女案)에 그 명단을 올려 부도(婦道)를 바로잡자는 데서 시작되었다. 자녀안의 제도는 고려시대부터 있어 온 것으로, 양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