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자계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0)
- 김극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자계서원(紫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사시(私諡)는 효절(孝節)이다.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허백당집(虛白堂集)』 『해동잡록(海東雜錄)』이칭별칭 용협(用協)| 모암(慕庵)| 효절(孝節)
- 자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계서원 경북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에 있는 서원. 영귀루, 동재, 서재는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83호로 지정되어 있다.
- 김대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우(器宇)가 뛰어나고 견식(見識)이 명민(明敏)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청도 자계서원(紫溪書院)ㆍ선암사(仙巖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탁영연보(濯纓年)』가 있다. 『중종실록(中宗實錄)』이칭별칭 천우(天佑)| 삼족당(三足堂)
- 탁영종택문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김일손(金馹孫)과 관련된 문적. [내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7호. 김일손과 부인의 교지 5종과 경상북도 청도 소재 자계서원(紫溪書院)의 홀기(笏記) 및 ≪둔전답경자개량등록 屯田畓庚子改良謄錄≫을 말한다.연계항목탁영종택문적(濯纓宗宅文籍)
- 청도소싸움축제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동물재주부리기 차 청도소싸움축제 청도소싸움축제는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매년 3월경에 열리는 축제이다. 1990년부터 영남 소싸움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3.1절 기념행사로 자계서원(紫溪書院) 앞 넓은 서원천변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소싸움이 해마다 규모가 커지면서 한국 최...대분류동물재주부리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고서·고문서(8)
- 1833년 자계서원(紫溪書院)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밀양 신호 밀성박씨‧덕남서원
- 1924년 자계서원(紫溪書院)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문서는 훼철되었던 자계서원이 묘우인 존덕사와 강당인 보인당을 중건하고, 위패를 봉안하는 행사를 거행하니 옥산서원 유생들도 많이 참석해주길 청하는 내용의 통문이다. 본문을 보면 다음과 같다. 자계서원은 절효 김극일, 탁영 김일손, 삼족당 김대유 세 선생을 제향하는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840년 자계서원(紫溪書院)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통문은 1840년 2월 28일 자계서원이 경주교원에 옥산서원의 화재에 부조를 하겠다고 소식을 알리는 한편, 이대간을 유사로 천거하려 하는데 그의 과거행적을 문의해온 것에 대해 답하는 내용의 것이다. 먼저 이 통문은 옥산서원의 화재가 사문의 활발한 기운을 상하게 하...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919년 자계서당(紫溪書堂) 회중(會中)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919년 9월 자계서당 회중에서 옥산서원으로 보낸 통문으로 그 내용은 탁영 김일손과 삼족당 김대유, 그리고 도연정 김치삼의 문집을 간행하려 하는데 옥산서원의 의견이 어떠한지를 묻는 것이다. 자계서당에서 전신이 자계서원으로 김일손을 비롯한 김극일과 김대유를 배향하는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송간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6 황응규가 쓴 權應參의 제문이다. 記 紫溪書院記(1577) 16 1577년에 청도군수로 재직 중이던 황응규가 당시 완공된 紫溪書院의 건립기를 부탁받고 지은 글이다. 이 글에 의하면 1574년(선조 7)에 尹根壽가 경상도관찰사로 부...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자계서원 / 紫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에 있는 서원. 1518년(중종 13) 지방 유림의 공의로 김일손(金馹孫)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자계사(紫溪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76년(선조 9) 서원으로 승격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15년(광해군 7)
-
관가정문집 / 觀稼亭文集 [종교·철학/유학]
啓) 1편, 완문(完文) 1편, 서(序) 1편, 권2는 부록으로 만장(挽章)·가장(家狀)·행장·묘갈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시는 대체로 자연시이나, 선도와 단학에 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자계서원청액소(紫溪書院請額疏)」는 김일손(金馹孫)의 조부이며 성리학자인 김극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