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입학도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
사전(50)
- 입학도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의 도설로 성리철학의 우주론 및 형이상학적 주제들을 간결하게 설명하고 있다. 제자 김반(金泮)에 의하여 계승되어 ≪속입학도설≫을 저술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조카 채(採)로 하여금 ≪작성도 作聖圖≫‧≪작성도론 作聖圖論≫ 등을 지어 학풍을 이어받게 하였다. 또...연계항목입학도설(入學圖說)
- 입학도설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390년(공양왕 2) 권근이 초학자들을 위하여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정의1390년(공양왕 2) 권근이 초학자들을 위하여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 | 문광부표기Iphak doseol | MR표기Iphak tos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입학도설(入學圖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476 문헌 입학도설(入學圖說) 입학도설 入學圖說 1390년에 권근(權近)이 초학자들을 위하여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 1권. 목판본. 주돈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을 모방하고, 주자의 『중용장구(中庸章句)』를 참고하여 만든 것이...유형분류문헌
- 입학도설(入學圖說)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입학도설 입학도설 入學圖說 경서해설서 한문 한국 고려 공양왕 성낙수 박종국 2015 권근 1368, 1425 1책 규장각 [정의] 고려 말의 학자...
- 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A1_D_0035 天 천체 一大, 一, 一者, 理, 無對, 行, 無息, 大, 大者, 體, 無外, 化, 無竆 入學圖說 D_14_03_10 대동운부군옥 14권 3장 1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3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3)
- 입학도설(入學圖說)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입학도설(入學圖說)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입학도설(入學圖說)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1439년 지영천군사(知永川郡事) 첩정(牒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아니라 다른 책의 뒷면에서 발견되었다. 종이가 귀했던 조선시대에는 종종 더 이상 효용이 없어진 공문서를 모아 그 뒷면에 책을 찍어내곤 하였다. 권근의 『입학도설(入學圖說)』 또한 그런 방식으로 인쇄되어, 이 문서를 오늘날에 전하고 있다. 그런 까닭에 원문이미지는 제공되...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첩정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현소장처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 1439년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에게 올린 첩정(牒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문서는 온전한 모습이 아니라 다른 책의 뒷면에서 발견되었다. 종이가 귀했던 조선시대에는 종종 더 이상 효용이 없어진 공문서를 모아 그 뒷면에 책을 찍어내곤 하였다. 권근의 『입학도설(入學圖說)』 또한 그런 방식으로 인쇄되어, 이 문서를 오늘날에 전하고 있다. 그런...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첩정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현소장처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신문·잡지(1)
- 우리들_1975_10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6)-권근의 입학도설과 문집 73 세계의 지붕밑 (36)-굶주림이 덮친 세계의 구석진 곳 심석래 76 미국 워싱톤주의 난쟁이 사과재배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5
기타자료(1)
-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입학도설 권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입학도설 권근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입학도설 권근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入學圖說 權近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길수 | 사료철명문교행정
주제어사전(3)
-
입학도설 / 入學圖說 [종교·철학/유학]
권근이 성리학의 기본원리를 도식화하여 설명한 책. 1책 62장. 전집은 <대학>과 <중용>을 배우려는 초학자용, 후집은 그 후 완성시킨 책이다. 모두 40편의 도설이 실려 있다. 이 중에 <천인심성합일지도>와 <대학지장지도> <중용수장분석지도>가 주요한 내용을 담고 있
-
관동일록 / 關東日錄 [지리/인문지리]
1553년(명종 8) 홍인우(洪仁祐)가 관동의 금강산을 비롯한 명승지를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1책. 목판본. 책머리에는 1553년에 이황과 황효공(黃孝恭)이 쓴 서문이 실려 있는데, 황효공의 서문은 권근(權近)의 『입학도설(入學圖說)』의 서문이므로 잘못 부록
-
권근 / 權近 [종교·철학/유학]
사략》을 찬하고 사서오경의 구결을 정하였다. 저서에는 《양촌집》, 《입학도설》, 《오경천견록》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