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입암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북도사(慶尙北道史)』(경상북도, 1983) 『익양지(益陽誌)』(1934) 일원
  • 일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포항시 죽장면 입암리 소재 을 중심으로 3만 4,000㎡에 이르는 지역. [내용] 은 1657년(효종 8)에 창건하였으며, 여헌 장현광(張顯光)을 주향(主享)하고, 권극립(權克立)‧손우남(孫宇男)‧정사...
    연계항목입암서원일원(立岩書院一圓)
  • 정사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스러운 마음은 끊이지 않았다. 인의왕후(仁懿王后)와 선조의 상 때에는 모두 기제(朞制)를 입었으며, 친부모상을 당한 것과 다름이 없이 행하였다. 나라에 상을 당하였을 때에는 반드시 채식을 하였다. 몸가짐이 독실하므로 사람들은 그를 어려워하였다. 영천의 (...
    이칭별칭 군섭(君燮)| 수암(守菴)
  • 의향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포항시 죽장면 입암리에 있는 향나무. [내용] 경상북도 기념물 제71호. 높이가 20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가 3.5m인 노거수로 나무의 나이는 약 380년으로 추정된다. 이 나무는 경내 강당 앞에 위치하고...
  • 손여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잠서원청액소(道岑書院請額疏)를 올려 허락을 받았고, 1681년 척향소(斥享疏)를 올려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기도 했다. () 근처에 집을 지어 기거하면서 서원에 나가 유생들에게 역학도설(易學圖說)과 성리서(性理書...
    이칭별칭 망지(望之)| 노잠(魯岑)

고서·고문서(8)

  • 辛丑年 6月 永川儒生 朴守道 等의 所志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志 永川儒生 朴守道 等 大宗伯 辛丑年 6월 74 126 1매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文康公 旅軒 張先生을 配享하고 있는 에서 여헌 문집의 간행을 부탁하는 글이다. 좌측 하단에 題音이 있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辛丑年 2月 30日에 李奎協 等의 所志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志 李奎協 等 巡相國 辛丑年 2월 30일 111 65 1매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에 자신의 조상을 배향해 달라는 내용의 소지이다. 좌측에 題音이 있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辛丑年 閏5月 朴守宏 等의 所志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等 巡相國 辛丑年 윤5월 116 74 1매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에서 黜享된 일의 처분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다시한번 처분을 바란다는 내용의 소지이다. 좌측에 題音이 있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辛丑年 9月 17日에 올린 稟目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572 1404_01 辛丑年 9月 17日에 올린 稟目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일상생활, 경제생활, 치부기록류, 치부류, 품목 한자 고문서 HJ087.JPG 辛丑年 9月 17日에 올린 稟目 稟目 士...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918년 선산(善山) 원회당(遠懷堂)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 통문은 선산원회당에서 수암 정선생의 위패를 다시 모시려 하니 이에 의견을 함께 해달라고 옥산서원에 보낸 것이다. 본문을 보면, 수암 정사진은 여헌 장현광의 문하에서 후학을 깨우쳐 인도한 빼어난 제자이기에 당시에는 경주군죽남면입암리의 에서 수암을 배향해야 한...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에 있는 서원. 1657년(효종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장현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3년(숙종 29) 정사진을 추가배양하고. 그 뒤 권극립·정사상·손우남을 모시게 되었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 직천서원 / 稷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대동리에 있는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사진(鄭四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직천서원으로 개칭하여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68년(

  • 노잠문집 / 魯岑文集 [종교·철학/유학]

    다. 권1에 시 114수, 소 1편, 서(書) 1편, 잡저 2편, 제문 10편, 권2는 부록으로 만사 31수, 뇌사(誄辭) 1편, 제문 6편, 유사 1편, 행장 1편, 묘지명 1편, 묘갈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청액소(請額疏)」는 의 사액(賜

  • 손여두 / 孫汝斗 [종교·철학/유학]

    1643년(인조 21)∼1713년(숙종 39). 조선 중기의 문신. 손중돈의 6세손, 부친은 손현, 모친은 정호의 딸이다. 갈암 이현일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했다. 근처에 집을 짓고 기거하면서 서원에 나가 유생들에게「역학도설」과 성리서 등을 강독하였다. 저서

  • 정사진 / 鄭四震 [종교·철학/유학]

    군 3) 세마·시직을 제수받았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영천의 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