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임흘” 에 대한 검색결과 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7(명종 12)∼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탁이(卓爾), 호는 용담(龍潭) 또는 나부산인(羅浮山人). 할아버지는 함평군수 건(楗)이고, 아버지는 선무랑(宣務郞) 태신(泰臣)이며, ...
    이칭별칭 탁이(卓爾)| 용담(龍潭)
  • 용담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석인본. 간행 연도는 미상이나 권두에 예조참판 정범조(丁範祖)의 서문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종대 이후로 추정된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43수, 권2...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471 인물 () 1732 ? 조선 후기의 무관.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거경(巨卿). 1756년 정시 문과에 합격하였고, 도총도사(都摠都事)를 지냈다. 1763년 통신사행 때 종사관의 명무...
    유형분류인물
  • 금윤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우승(郵丞 : 驛站의 長)을 제수받았으나 사양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안집사(安集使) 김륵(金玏)의 부름을 받고 의병장이 되었다. 군량(軍糧)을 모으고 무기를 수습하여 의병장 ()ㆍ김용(金涌) 등과 왕래하면서 적을 물리칠 것을 꾀하였다. 1...
    이칭별칭 이술(而述)
  • 지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게 보낸 문답 편지가 주목될 뿐이다. 「답문목(答問目)」은 이 『성리대전』‧『예기』 등의 난해한 구절을 질문한 데 대한 답인데, 간혹 용어의 한글 풀이도 보인다. 잡저 가운데 「태극론」‧「논성(論性)」은 주리론(主理論)의 경향을 나타내...

고서·고문서(19)

  • 22359 B022359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正祖 9年 9月 16日_017 ... 竝擬, 何如? 傳曰, 允。 以李壽鵬·爲內禁將, 申暹·金尙振爲五衛將, 鄭信達爲訓鍊正, 金命淑爲慶熙將, 張光郁爲古今島僉使,副司直李祖承, 訓鍊正單徐英輔, 蛇島僉使鄭東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471 B049471 덕적첨사 德積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41年 5月 11日_012 ○兵批, 判書沈鏽進, 參判趙榮進病, 參議金應淳在外未肅拜, 參知任毅中入直進, 同副承旨李福源進。 以李宇鼎·鄭東明爲僉知, 爲宣傳官, 金德厚爲公州營將, 李仁普爲景福將, 呂光一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421 B049421 덕적첨사 德積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41年 5月 11日_012 ○兵批, 判書沈鏽進, 參判趙榮進病, 參議金應淳在外未肅拜, 參知任毅中入直進, 同副承旨李福源進。 以李宇鼎·鄭東明爲僉知, 爲宣傳官, 金德厚爲公州營將, 李仁普爲景福將, 呂光一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2345 B022345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正祖 9年 9月 16日_017 ○有政。 兵批, 判書徐有隣進, 參判李度默, 參議李夔病, 參知李祖源入直進, 左副承旨李亨元進。 啓曰, 訓鍊正, 今當差出, 外任竝擬, 何如? 傳曰, 允。 以李壽鵬·爲內禁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金澤瑞爲玉浦萬戶, 徐弘規爲所已萬戶, 金萬衡爲舒川浦萬戶, 安就章爲德津萬戶, 金應箕爲梨洞萬戶, 柳文範爲訓鍊主簿, 副護軍兪彦鉉·朱重純·李周爀·具明遠··曺命楫·李廷老, 副司直李重祜單付, 金景樞爲咸興監牧官, 崔東杞爲在德萬戶, 金聲裕爲吾老梁萬戶, 李仁達爲山羊會萬戶, 崔氣澤...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557(명종 12)∼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건, 아버지는 태신, 어머니는 금응종의 딸이다. 박승임·조목·정구의 문인이다. 광해군 때 동몽교관으로 기용, 이이첨 등의 대북 일당이 나라를 망치리라 하여 사직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저서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