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헌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9)
사전(76)
- 임헌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11(순조 11)∼1876(고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명로(明老), 호는 고산(鼓山)ㆍ전재(全齋)ㆍ희양재(希陽齋). 아버지는 천모(天模)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로 익화(益和)의...이칭별칭 명로(明老)| 고산(鼓山), 전재(全齋), 희양재(希陽齋)| 문경(文敬)
- 영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승인 임헌회(任憲晦)에게 학문을 질의하고 의견을 개진한 것이다. 그리고 「여전자명(與田子明)」은 5회에 걸쳐 학우인 전우(田愚)와 붕우(朋友)의 도를 논하고 『고산문집(鼓山文集)』의 간행을 협의한 것이다. 「제고산임선생문(祭鼓山任先生文)」은 임헌회가 학계에 미친...
- 김민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글을 배웠고, 뒤에 임헌회(任憲晦)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어려서부터 문장이 뛰어났으나 세월이 어지러워지자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오직 경사(經史) 연구에 몰두했다.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의 병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끊어 소생시켰다. 외국의 문물이 들어옴을 싫어하여...이칭별칭 사인(士仁)| 용암(勇菴)
- 한회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아버지를 여의고도 학문을 위하여 천리를 마다 않고 상로(上蘆)로 임헌회(任憲晦)를 찾아가 그의 제자가 되었다. 1905년에 도신(道臣) 신기선(申箕善)의 추천을 받고, 1908년에는 민병석(閔丙奭)의 재차 추천을 받아 순릉참봉(純陵參奉)이 제수되었으나 끝내 나가...이칭별칭 경춘(景春)| 유재(?齋)
- 정윤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큰아버지 현택(鉉澤)에게 입양되었다. 임헌회(任憲晦)의 문인이다. 전우(田愚)ㆍ신두선(申斗善)ㆍ심의윤(沈宜允)ㆍ윤치중(尹致中)ㆍ서정순(徐政淳) 등과 교유하였으며, 이항로학파(李恒老學派)의 김평묵(金平默)ㆍ유중교(柳重敎)ㆍ유시수(柳始秀)ㆍ홍대심(洪大心)과도 교유하...이칭별칭 군조(君祚)| 석화(石華), 후산(后山)
고서·고문서(13)
- 1876년 임헌회(任憲晦) 부계정사기(扶溪精舍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기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기 | 현소장처진주 운문 진양하씨
- 1860년 임헌회(任憲晦) 율리정사기(栗里精舍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기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기 | 현소장처진주 운문 진양하씨
- 고산선생문집(鼓山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오현수언(五賢粹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4641 B024641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1年 2月 8日_019 ○持平李奎夏啓曰, 請古今島爲奴罪人韓鼎鎭, 亟令王府, 卽爲拿來, 設鞫得情, 夬正典刑。 措辭見上 新除授掌令李敏德, 時在京畿驪州地, 任憲晦, 時在公忠道牙山地, 請竝斯速乘馹上來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2)
-
임헌회 / 任憲晦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811∼1876). 이조참판·대사헌 등에 임명되기도 했다. 경학과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낙론으로 이이·송시열의 학통을 계승하였다. 제자로는 전우가 있고, 저서로는 《전재집》이 있다.
-
김한섭 / 金漢燮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노현, 어머니는 해남윤씨 상열의 딸이다. 이항로의 문인으로, 이항로가 죽은 뒤에 다시 임헌회와 기정진의 문인이 되었다. 1883년엔 그의 스승 임헌회의 문집인『고산문집』간행을 위하여 오랫동안 고창에 있었다. 저서로는『오남문집
-
고산문집 / 鼓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임헌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3년에 간행한 시문집. 1883년(고종 20) 임헌회의 문인 전우(田愚) 등이 편집·간행했으며, 부록은 1932년 김종학(金鍾學)이 간행하였다. 1937년 이인구(李仁矩)가 『전재문집(全齋文集)』이라는 제목으로 석판본
-
덕성서원 / 德星書院 [교육/교육]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있는 서원. 885년(고종 22)에 관북지방의 유림들이 함경도 홍원에서 문경공(文敬公) 임헌회(任憲晦, 1811∼1876)를 배향하기 위해 숭덕사(崇德祠)를 창건하였다. 분단 이후 1978년에 전국 유림의 발기로 그의 유허지가 있는 현재
-
이상수 / 李象秀 [종교·철학/유학]
1820년(순조 20)∼1882년(고종 19). 조선 말기의 학자. 연주의 아들, 어머니는 윤씨이다. 한원진의 학통을 이은 호론에 속하였다. 동문으로 민상호·성기운·서응순 등이 있고, 임헌회와도 교우, 또한 윤정현·신헌과 같은 노론인사들과도 친숙하였다. 185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