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해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5)
사전(158)
- 임해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74(선조 7)∼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왕자. [개설] 선조의 서자로,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진국(鎭國). 뒤에 진(珒)으로 고쳤다. 어머니는 사도시첨정 김희철(金希哲)의 딸이다. [내용] 서자이지만 ...이칭별칭 정민(貞愍)|진국(鎭國)|진(?)
- 임해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광해군이 즉위한 뒤 죽는다. 이원익, 심희수, 이항복, 이덕형 등이 번갈아가며 무죄함을 광해군에세 상소하지만, 오히려 역당이라는 말을 듣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임해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광해군의 형으로, 선조가 죽은 후 ‘왕실의 외척이므로 밖으로 나가야 한다.’는 광해군의 측근들의 말에 속아 궁궐 담을 넘어 달아나다가 미리 숨어 있던병사들에게 붙잡혀 강화도 교동(喬桐)에 강금된다. 명나라에서 정황을 알기 위해 사신이 오자, 광해군의 측근들이 ‘전신불구...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임해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선조의 왕자로 임진왜란 때 관동의 근왕병을 모집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임해군(臨海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466 인물 임해군(臨海君) 임해군 臨海君 1574 1609 조선 중기의 왕족.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진국(鎭國). 뒤에 진(珒)으로 고쳤다. 시호는 정민(貞愍). 선조의 서자로, 어머니는 사도시첨정 김희...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57)
- 京畿道庄土文績_제8책 : 京畿道通津郡陽陵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3. 臨海君宅奴順老味白活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4612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8책 : 京畿道通津郡陽陵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08-003 3. 臨海君宅奴順老味白活 의송 1 69.9x111.1 한지, 관인, 경기감사의 押과 題辭, 題辭가 배면까지 이어짐, 일부 찢...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8책 : 京畿道通津郡陽陵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4. 臨海君宅奴順老味原情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4620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8책 : 京畿道通津郡陽陵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08-004 4. 臨海君宅奴順老味原情 원정 1 71.2x109.8 한지, 관인, 禮曹 당상의 押과 題辭, 題辭가 배면까지 이어짐 1...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8책 : 京畿道通津郡陽陵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5. 道光十八年-戊戌-五月日通津陽陵面二帳量付臨海君房賜牌畓改打量冊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4628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8책 : 京畿道通津郡陽陵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08-005 5. 道光十八年-戊戌-五月日通津陽陵面二帳量付臨海君房賜牌畓改打量冊 양안류 5 30x38.2 한지, 관인, 부사의 押, 접혀서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8책 : 京畿道通津郡陽陵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1. 奴漢得處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4593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8책 : 京畿道通津郡陽陵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08-001 1. 奴漢得處 패지 1 51.9x37 한지, 圖署(臨海君房), 봉투 1장 첨지 1장, 51.9x37cm(가로x세로),...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교동현(喬桐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563 B028563 교동현 喬桐縣 정치행정 光海君日記 卽位年(1608) 三月 광해군일기_10003002_008 ○臨海君珒移配喬桐縣安置。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임해군 / 臨海君 [역사/조선시대사]
1574(선조 7)∼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왕자. 어머니는 김희철의 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명에 의하여 순화군과 함께 김귀영·윤탁연 등을 대동하고 근왕병을 모집하기 위하여 함경도로 떠났다. 사옹원제조를 역임하였다.
-
익사공신 / 翼社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613년 임해군의 역모사건에 공을 세운자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에게 내린 칭호. 모두 48인을 3등으로 구분하였는데, 1등은 허성·김이원·유희분·최유원·윤효전 등 5인으로 효충분의병기결책익사공신이라 하였고, 2등 15인에게는 효충분의병기익사공신이라 하였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