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한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7)
- 임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병과로 급제한 뒤 1848년 정언ㆍ교리ㆍ종부시정(宗簿寺正)을 지냈다. 1863년(철종 14) 경상감사 김흥근(金興根)이 철종에게 무례를 범했는데도 언관들이 논핵하지 않았다고 하여 지평 임한수 등을 유배에 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1864년(고종 1)에...이칭별칭 익여(翼如)| 송석(松石)| 효정(孝靖)
- 임한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양주 목사로,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여석현을 방어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응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성근(韓聖根)은 문수산성(文殊山城)을 지키고, 양헌수(梁憲洙)는 정족산성(鼎足山城), 이기조(李基祖)는 광성진(廣城鎭), 신관호(申觀浩)는 양화진(楊花津), 백낙현(白樂賢)은 행주(幸州), 임한수(林翰洙)는 여석현(礪石峴), 유완(柳琓)은 파주, 신숙(申肅)은 장단을...
- 박헌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漢城講習所) 보통과를 거쳐 1923년에 중동중학교(中東中學校) 고등과 3부를 졸업하였다. 1924년 진주(晋州)에서 김덕천(金德天)ㆍ임한수(林漢洙)에게 2년간 가야금풍류(伽倻琴風流)ㆍ가야금병창(伽倻琴倂唱)ㆍ고법(鼓法) 등 전통음악을 공부...이칭별칭 기산(岐山)
- 한국지리교육학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지리학 및 지리교육문제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설립목적] 지리학 전반에 걸친 학술연구, 교육이론과 실제에 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하여,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지리교육의 정상화와 지리학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임한수(林漢洙)‧김상...이칭별칭국토지리학회
고서·고문서(33)
- 黃海道 庄土文績_제63책 : 黃海道長連郡蓴澤坊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136. 嘉慶十年乙丑十一月二十五日任漢守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6657 奎 19303 黃海道 庄土文績 제63책 : 黃海道長連郡蓴澤坊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63-136 136. 嘉慶十年乙丑十一月二十五日任漢守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39x49.3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39x49...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광진(廣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066 B027066 광진 廣津 군사교통 世宗實錄 卽位年(1418) 八月 세종실록_10008017_003 ○老上王幸廣津院。 院在城東漢水上流。 老上王久病, 以仁德宮陻隘, 設帳殿山麓, 以臨漢水。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黃海道 庄土文績_제63책 : 黃海道長連郡蓴澤坊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135. 嘉慶二十年-乙亥-五月十三日幼學元智亨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38.2x50.7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15년(순조 15) 5월 13일 任漢守 閑良 답주 任漢守 閑良 답주 元智亨 幼學 元智亨 幼學 任漢守 황해 장연 박택방 四里 內洞坪 황해도 장연(군/현)...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738 B027738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憲宗 14年 7月 22日_020 ○吏批, 再政。 以朴斆默爲執義, 韓升烈爲司諫, 林翰洙·金斗欽爲持平, 尹堉爲獻納, 成遂默爲左參贊, 趙然牧爲義盈主簿。 喬桐府使單李圭徹今加嘉善, 加資事承傳。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黃海道 庄土文績_제63책 : 黃海道長連郡蓴澤坊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133. 嘉慶十一年丙寅十一月十一日元尙豪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7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06년(순조 6) 11월 11일 任漢守 답주 任漢守 답주 元尙豪 元尙豪 朴日大/金成祿/李春興/任亨福 황해 장연 박택방 四里 內洞坪 황해도 장연(군/현) 박택방(면/방)...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4)
- 진주 풍류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류에 대해 증언하는 대담자료이다 2) 음질 중 이순조 김태문 전용선 이경자 조계순 서흥수 이서균 허승무 이서장 계원 이생강 오재삼 김정애 조선암 임서균 강순영 정서검 임한수 김영덕 강윤자 임우순 풍류 잔풍류 잔령산 군악 본풍류 본령산 중령산 본중령 도드리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애
- 진주 풍류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류에 대해 증언하는 대담자료이다 2) 음질 중 이순조 김태문 전용선 이경자 조계순 서흥수 이서균 허승무 이서장 계원 이생강 오재삼 김정애 조선암 임서균 강순영 정서검 임한수 김영덕 강윤자 임우순 풍류 잔풍류 잔령산 군악 본풍류 본령산 중령산 본중령 도드리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계순
- 진주 풍류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류에 대해 증언하는 대담자료이다 2) 음질 중 이순조 김태문 전용선 이경자 조계순 서흥수 이서균 허승무 이서장 계원 이생강 오재삼 김정애 조선암 임서균 강순영 정서검 임한수 김영덕 강윤자 임우순 풍류 잔풍류 잔령산 군악 본풍류 본령산 중령산 본중령 도드리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순조
- 진주 풍류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류에 대해 증언하는 대담자료이다 2) 음질 중 이순조 김태문 전용선 이경자 조계순 서흥수 이서균 허승무 이서장 계원 이생강 오재삼 김정애 조선암 임서균 강순영 정서검 임한수 김영덕 강윤자 임우순 풍류 잔풍류 잔령산 군악 본풍류 본령산 중령산 본중령 도드리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임우순
기타자료(4)
- 임한수;林漢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905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80면 1. 제12. 졸업생;22) 법과 제12회 졸업생 (1919년 3월 20일) 17인 임한수;林漢洙 원주군 읍내;(원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한수;林漢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6758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85면 2. 제8. 졸업자;22) 제12회 법과 17인 (1919년 3월 20일) 임한수;林漢洙 (원적)충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한수;林漢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7212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8면 임한수;林漢洙 충남 서산군청 내 1924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한수;林漢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4965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7면 임한수;林漢洙 충남 서산군청 내 1924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권수 | 서울대학교 | 2008 | 국내 | 서울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양진석 | 서울대학교 | 2011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
-
임한수 / 林翰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7∼1886). 1846년(헌종 12) 식년시에 병과로 급제, 1848년 정언·교리·종부시정을 지냈다. 1868년에 대사간과 이조참판을 역임, 1875년 진하 겸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의주부윤과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는데 일본인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