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5)
사전(11)
- 임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21(중종 16)∼1576(선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희인(希仁), 호는 풍암(楓巖). 귀연(貴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평(枰)이고, 아버지는 승지 붕(鵬)이며, 어머니는 이종의(李宗義)의 ...이칭별칭 희인(希仁)| 풍암(楓巖)
- 임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86(성종 17)∼?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중거(仲擧), 호는 귀래당(歸來堂). 시소(始巢)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귀연(貴椽)이고, 아버지는 평(枰)이며, 어머니는 김로(金潞)의 딸이다. 명종 때 승...이칭별칭 중거(仲擧)| 귀래당(歸來堂)
- 文柄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584 文柄 관직 門下, 腰犀, 學士, 司馬試, 平章, 大師, 卿大夫, 四榜, 門生, 翰林, 詩賀 任平章景肅, 柳璥, 林桂一 補閒 D_17_02_12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1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정주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백이원(白彝元)이 유림들과 함께 초가를 세워 공자의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1645년 이삼립(李森立)‧이대용(李大用)‧차득철(車得轍)‧이필찬(李弼贊)‧임평(林坪)‧장만세(張萬世)‧이병번(李丙藩) 등이 성묘(聖廟)와 재실(齋室)을 설립하였다. 1653년(효종 4)에...
- 석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라 최대의 석면광산이었으며 월평균 170t까지 생산한 바 있다. 각섬석질석면은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극리, 장수군 천천면 오봉리, 장수군 계북면 임평리 등지에 분포한다. 석유피광상은 경상북도 문경의 추봉석면과 충청북도 제원군 수산면 다족리와 구곡리 등지의...
고서·고문서(314)
- 임평김씨마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임평김씨마을 조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1 1 임평김씨마을, 외삼촌, 찾습니다, 외삼촌, 김씨, 모친,...대표표제어임평김씨마을 | 성씨조
- 5 第五統統首吳壬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85년_상부면(上府面) 1885년 상부면(上府面) 第十八路東里 5 第五統統首吳壬平 第一戶幼學吳壬平年參拾壹乙卯本海州父學生錫老祖學生義仲曾祖 學生聖守外祖學生崔敬宇本慶州妻崔氏年貳拾玖丁巳本慶州父學 生必麟祖學生錫羽曾祖學生重憲外祖學生김相憲本慶州等壬午 戶口相准...연도_면이름1885년_상부면(上府面) | 면이름상부면(上府面) | 마을이름第十八路東里
- 1902년 임평규(林平圭) 등 상서(上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02년 3월에 순창군 좌부면 옥천동의 임평규 등 14명의 주민이 연명하여 순창군수에게 올린 상서이다. 이들은 자신들과 동시대에 같은 동리에 살았던 아전 전라흥(1823~?)의 아들 전대순(1856~?)과 그의 처 설씨가 보여준 효심을 적시하고 그들에게 포상이 내려...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순창장류박물관
- 1935년 임평좌(任平左) 등 등기신청서(登記申請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35년 3월 9일에 임평좌, 임홍기, 정규대 외 7명이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 산 28번지의 임야 1정 2반 5무보, 31번지의 임야 4반보, 32번지의 임야 1정 2반 3무보, 79번지의 임야 6반 5무보, 81번지의 임야 1정 7반보에 대한 소유권 보존 등기를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신청서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신청서 | 현소장처해남 장흥임씨 임창완
- 1935년 임홍기(任洪基) 등 매도증서(賣渡證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35년 1월 2일에 목포부 창평정에 사는 임평좌,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에 사는 정규대, 이광보 외 4명이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 산 28번지의 임야 1정 2반 5무보, 산 31번지의 임야 4반보, 산 32번지의 임야 1정 2반 3무보, 산 79번지의 임야 6반 5무...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계약서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 현소장처해남 장흥임씨 임창완
신문·잡지(39)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度支部稅務主事趙寛增 仝申珏凞 依願免本官 九月四日 任平理院裁判長 平理院檢事 洪鍾檍 命兼任平壤鑛業所總裁 農商工部大臣 宋秉畯 命兼任平壤鑛業所監督 鑛務技監 巨智部忠承 九品柳汶根 林炳稷 任度支部稅務主事 免本官 度支部稅務主事 韓聲東 任度支部稅務主事 權赫周 依願免本官 安州普通學校...게재일1907년 9월 14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任度支部書記郞金在煥 九月十六日 依願免本官 平理院主事具健書 任平理院主事 前主事高殷相 以上九月十七日게재일1907년 9월 20일 | 기사분류관보
- 詔曰當移御于慶運宮矣修理之節令宮內府斯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朴善斌 命軍法會議判士 以上八月十二日 依願免本官 主殿院書記郞李源升 侍從院庶務課分主事文禎鎭 任主殿院書記郞 任內部警務局長 松井茂 任法部民事局長 靈山郡守金喆鉉 任平理判事正三品洪祐晳 任漢城裁判所首班判事 正三品李始榮 任平理院判事 正三品宋振玉 任平理院判事 四品兪鶴柱 觧兼任京畿裁判所...게재일1907년 8월 16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解兼任度支水道局長 前司稅局長리健榮 命兼任度支水道局長 司稅局長元應常 解兼任江原道稅務監 前觀察使김在豐 命兼任江原道稅務監 觀察使 黃 鐵 以上六月六日 免本官 晉州摠巡崔敬鵬 依願免本官 晉州 通譯官補徐基殷 以上六月七日 解兼任平安南道稅務監 前觀察使리始榮 命兼任平安南道稅務監 觀察使...게재일1907년 6월 15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任警視總監 警務廳顧問官 丸山重俊 依願免本官 學部視學官尹世鏞 任學部視學官 學部書記官柳基泳 任學部書記官 九品尹世鏞 任學部編輯局長 龍川府尹魚允迪 全羅南道裁判所檢事洪淳용 任慶尙北道裁判所檢事 平理院檢事朴有觀 任全羅南道裁判所檢事 任平理院檢事 法部書記郞洪龍杓 全羅北道裁判所檢事尹憲...게재일1907년 8월 6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11)
- 임평기;林平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474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회원명부(소화16년 12월) 1941―12 102면 임평기;林平基 경성부 창신정 108 제38회 194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평순;任平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7731 남한 충남 강경공립상업학교 2-01 강경공립상업학교교우회지 제12호 1936―03―25 128면 임평순;任平淳 전주 南完山금융조합 제2회(5년제)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강경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평기;林平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1709 일본 姬路 姬路高等學校 姬路高等學校一覽 第20年度 昭和18年~昭和19年 1943―12―20 140면 임평기;林平基 조선학교소재지역姬路 | 학교명姬路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명옥;林明玉;임평;林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0987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32면 임명옥;林明玉;임평;林平 음성군 금왕면 금석리 제15회 1930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산림평;松山林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1932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57면 - 송산림평;松山林平 소화18년 3월3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임평 / 林平 [역사/근대사]
1908-194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1925년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普成高等普通學校)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이후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 현 고려대학교)에 입학하여 1929년까지 수학하였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이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항일독
-
정주향교 / 定州鄕校 [교육/교육]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1645년이삼립(李森立)·이대용(李大用)·차득철(車得轍)·이필찬(李弼贊)·임평(林坪)·장만세(張萬世)·이병번(李丙藩) 등이 성묘(聖廟)와 재실(齋室)을 설립하였다. 그 뒤 1759년에 중수하고, 1774년 성묘를 개축하였다. 봄·가을에 석전(釋奠
-
조선연극문화협회 / 朝鮮演劇文化協會 [예술·체육/연극]
일제 말 예능의 일원화를 기하고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서 조선연극협회와 조선연예협회를 통합 발족시킨 단체. 1942년 7월 26일 발족한 이 단체의 회장에는 신도요, 이사에 서항석 외 몇 명, 상임평의원에 유치진 외 몇 명이 임명되었다. 1944년 4월 '연극 연예 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