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임제원” 에 대한 검색결과 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7년(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나주(羅州). 치(治)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기(夔)이고, 아버지는 도헌(道憲)이며, 어머니는 권경(權冏)의 딸이다. [내용] 1771년(영조 4...
  • 연상시(延祥詩)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의하면 1783년(정조 7) 거수(居首)인 부사과(副司果) ()에게는 직모(織毛)와 말안장 1부(部)를 수여하였다. 연상시는 국상(國喪)과 같은 흉례가 있을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중지하였다. 그 예로 1408년(태종 8)에 상중이라는 이유로 신년[正朝...
    동의어신년시(新年詩) | 관련어송축시(頌祝詩), 춘첩자(春帖子)
  • 우육(牛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펴서 창고에 구멍을 뚫어 쌀을 훔쳐 낸 사실이 풍저창(豐儲倉)의 담당자들에게 발각되어 그 정황과 소고기의 출처를 심문하기도 하였다[『예종실록』 1년 6월 11일]. 정조대의 대사간 ()은 큰 거리에 늘어선 소고기 판매점들에 쌓아 놓은 고기가 마치 산더미...
    동의어황육(黃肉)

고서·고문서(48)

  • 60298 B060298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51年 11月 5日_024 ... 黑山島圍籬安置庶民罪人李迪輔, 亟令王府, 拿鞫嚴問, 快正王法。 措辭見上 上曰, 已諭勿煩。 沈命德··李鼎運又啓曰, 請固城縣充軍罪人咸道亨, 依本律處斷。 措辭見上 上曰, 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0358 B050358 덕포진 德浦鎭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16年 7月 8日_012 ○以京畿水使許??狀啓, 德浦鎭僉使李元圭, 多日曠鎭, 不能嚴束節制, 惶恐待罪事, 傳于曰, 勿待罪事, 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3156 B043156 대정 大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6年 9月 3日_020 ○, 以司僕寺言啓曰, 大靜前縣監李麟臣, 遞任進上馬二匹, 今?上來, 禾毛色別單書入, 依例內?立養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元元也。 萬頃縣令, 先罷後拿, 其代, 令該曹口傳擇差, 與益山郡守, 當日辭朝。 退出。 上曰, 此人多詐, 不如李命龍之純實矣。 藥房提調之億, 持湯劑進伏, 上進御。 鳳漢曰, 前東萊府使及接慰官, 旣已放釋, 其時訓導別差之定配者, 似當一體放宥矣。 上曰, 竝放送。 出擧條...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015 B023015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正祖 17年 8月 30日_018 ○行大司諫, 司諫魚用謙啓曰, 請金甲島爲奴罪人克觀, 古今島爲奴罪人克泰, 更令王府嚴鞫得情, ?正王法。 請逆賊尙魯?施?戮之典。 請?寢秋曹罪人柳師文放釋之命, 仍令王府設鞫嚴問...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737년(영조 13)∼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임치, 조부는 임기. 부친 임도헌과 모친 권경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71년(영조 47)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3년(정조 7)《국조보감》시독관 재직 시절 임진왜란 때 나라에 공헌한 이순신·고

  • 임처진 / 林處鎭 [종교·철학/유학]

    1769년(영조 4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임진 후손, 증조는 임기, 조부는 임도헌, 부친은 임태원이다. 생부 과 모친 이신휘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경승의 딸이다. 1805년(순조 5) 증광시에서 병과 14위로 문과 급제하였고, 1826년(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