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정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10)
- 임정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7(영조 2)∼1796(정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풍천(豐川). 자는 치공(穉恭). 호는 운호(雲湖). 아버지는 함흥판관 적(適)이며, 어머니는 호조정랑 윤부(尹扶)의 딸이다. 성주(聖周)의 아우이다. ...이칭별칭 치공(穉恭)| 운호(雲湖)| 문경(文敬)
- 정축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머리 숙여 기원함. 謹詢日來僉.萬旺 仰.區區 不任頂祝, 김원식(金元植), 42-2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핍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노년(老年). 從審雪臘 動靖攝篆萬重 不任頂祝 第敗枰殘棋亦勞逼年, 김정희(金正喜), 33-6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운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임정주(任靖周)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17년(순조 17) 임정주의 아들 임걸(任杰)이 편집‧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6권 3책. 활자본.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 노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임적(任適)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794년(정조 18) 임적의 아들 임정주(任靖周)가 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고서·고문서(9)
- 동유기(東遊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동유기(東遊記) 임정주(任靖周) 東遊記 任靖周 壬寅仲夏月吉之翌. 余爲省仲氏, 自錦州入東峽. 徂暑及秋, 一日見方伯金善之曰 “金剛不可不一見, 吾爲子圖之.” 余曰 “固所願也.” 遂於省斂行, 偕而東出, 蓋病不能獨行. 又無他可與俱者也. 至越城以故還. 其翌月卒成之. 是遊也,...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임정주(任靖周)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정유십월이십일래도익일부답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丁酉十月二十日來到翌日付答 雲齋 道兄 執事 翹首天南雁信倏至所嗟 人異昨秋一別迨若夢寐 有時瞻戀曷勝憧憧謹未審菊辰 省愉湛樂連得萬相仰溸 區區不任頂祝生如昨譾劣 而悠泛度了難可與有爲 者道撫會平昔寧不悒悒 仰想賢者志有定力不爲 時事所撓而學顧自如矣近 日盛課見在何書是所 願聞千里付候意長辭縮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他闕, 願寢還御之命, 以爲避殿之一助。” 之源又曰: “洪茂績、睦行善未付軍職, 今已久矣。 臨政注擬, 每患乏人, 乞賜寬典。” 上皆不許。 侍讀官金始振言南陽之弊以爲: 敗舡拯米, 改徵無據; 司僕諸員, 闕額難補; 島中生鹿, 覓納未易。” 上竝令有司稟處。출처전거孝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청성 시체안 입납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靑城 侍棣案 入納 梅亭謹候書 謹封 去春二月,擬作貴中之行,行到完 山,身病闖發,艱辛歸家,累月吟 病,病根尙在,至今未祛,悵歎奈何, 謹未審秋晩, 侍餘棣候連享萬福,覃上勻迪, 區區溸仰,不任頂祝,弟窮居如昨, 無足道者,但所業專抛,未免歸於 下等之人,他日奉拜之席,寧能無愧 耶,竊想老兄學...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화군(江華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郡主事, 九品張圭煥任陽川郡主事, 崔斗極任麟蹄郡主事, 朴宗炯任朔寧郡主事, 六品吳寅泳任沔川郡主事, 李太休任淸河郡主事, 咸興郡守趙秉敎任德原[德源]府尹, 正三品劉漢容任開城郡守, 從二品吳相奎任江華郡守, 五品李世卿任定州郡守, 前主事景台協任定平郡守, 六品成樂英任豊川郡守, 中樞院參書...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2)
- 임정주;林丁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802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205면 19. 제32회 졸업생 임정주;林丁周 1945년 3월 24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1947년 12월 11일자 강계군, 희천군, 후창군, 위원군, 초산군 화폐개혁 경과 보고〉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청중들은 이렇게 천명한다. “1946년에는 토지를 몰수하더니 이제는 돈이 사라진다. 생활이 불가능하게 된다.” ㄴ) 희천군 기면(Кигмен) 농민으로 민주당원인 림정주(Лим Чен Чу)는 이렇게 말했다. “물건이나 여러 상품을 갖고 있는 사람은 화폐개혁 후에도 살...키워드화폐개혁, 강계군, 희천군, 후창군, 위원군, 초산군 | 대표주제어북조선 화폐개혁 | 발신자평안북도 경무사령부 감독관 카유드킨 | 수신자그라포프
주제어사전(1)
-
임정주 / 任靖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6∼1796). 1762년(영조 38) 사마시에 합격, 1772년 동몽교관에 제수, 익위사시직을 거쳐, 서연관으로 세손(정조)을 보필하며 학문을 강론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한 뒤 홍국영의 세도정치에 밀려나 미관말직만 역임하였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