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임장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700년(숙종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주자(朱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주자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3년에 ‘임장(臨漳)’이라 사액되었다. 1...
  • 무이정사(武夷精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우(院宇)를 건립하였다며 사액의 당위성을 주장하였다[『숙종실록』 22년 9월 6일]. 이후 조선에서는 주자가 살던 곳과 지명이 비슷하다 하여 서원의 건립을 요청하는 일이 잇달았다. 경기도 연천에 주자를 제향하는 ()의 사액 상소 등에서 그 사례를 살필...
    관련어무이구곡도시(武夷九曲櫂詩), 운곡(雲谷), 후무이(後武夷)
  • 연천군(경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천읍 고문리에 오봉사지부도(五峰寺址浮屠,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1호), 왕징면 기곡리사지에 석불좌상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연천읍 읍내리의 연천향교, 동막리에 (臨?書院), 장남면 고랑포리에 임강서원지(臨江書院址, 일명 四賢祠), 미산면 아미리에 미수서...
  • 강릉시(강원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을 추모하여 별원(別院)인 칠봉사(七峯祠)를 짓고 봉사하였다. 1868년(고종 5) 전국의 사액서원을 제외한 서원철폐령으로 오봉서원도 철폐되었으며, 서원 철폐령으로 공자의 영정은 강릉향교에 옮기고 주자의 영정은 경기도 연천의 ()에 돌려보냈다. 그리고...
    이칭별칭동명

주제어사전(1)

  • / [교육/교육]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에 있었던 서원. 700년(숙종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주자(朱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주자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3년에 ‘임장(臨漳)’이라 사액되었다. 1801년(순조 1)에 송시열(宋時烈)을 추가 배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