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의백”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
사전(21)
- 임의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종실록(顯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임의백(1605...이칭별칭 계방(季方)| 금시당(今是堂)
- 임의백(任義伯)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456 인물 임의백(任義伯) 임의백 任義伯 1605 166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계방(季方), 호는 금시당(今是堂). 1630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음보(蔭補)로 제용감참봉(濟用監參奉)...유형분류인물
- 임의백(任義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임의백 임의백 任義伯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선조~현종 이경순 박종국 2012 계방(季方) 만한(晩閒), 금시당(今是堂) 양반...
- 임지죽(林之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459 인물 임지죽(林之竹) 임지죽 林之竹 ? ? 조선 중기의 백성. 1665년 7월 경상도관찰사로 있던 임의백(任義伯)이 왜인이 배 1척에다 유황을 싣고 와서 용초도(龍草島)에 정박하고서 동래 상인 임지죽과 피기문...유형분류인물
- 피기문(皮起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8775 인물 피기문(皮起門) 피기문 皮起門 ? ? 조선 중기의 백성. 1665년 7월 경상도관찰사로 있던 임의백(任義伯)이 왜인이 배 1척에다 유황을 싣고 와서 용초도(龍草島)에 정박하고서 동래 상인 피기문과 임지...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40)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967 B068967 동래 東萊 정치행정 孝宗實錄 三年(1652) 十一月 효종실록_10311025_004 ○東萊府使任義伯辭朝, 面諭以遣之。출처전거孝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169 B07016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孝宗 3年 11月 25日_002 ○下直, 東萊府使任義伯, 遠接使元斗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297 B07029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孝宗 3年 11月 25日_002 ○下直, 東萊府使任義伯, 遠接使元斗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제현령(巨濟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363 B018363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5年 1月 30日_002 ○謝恩, 右尹任義伯, 副摠官朗原君偘, 持平朴世堂, 訓鍊副正李鏶, 僉正柳炳然, 巨濟縣令李東耉。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965 B068965 동래 東萊 정치행정 孝宗實錄 三年(1652) 十一月 효종실록_10311001_002 ○以李時楷爲承旨, 李應蓍爲大司成, 李天基爲應敎, 朴承休爲持平, 任義伯爲東萊府使。출처전거孝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임의백 / 任義伯 [종교·철학/유학]
1605(선조 38)∼1667(현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열 증손, 할아버지는 영로, 아버지는 연, 어머니는 정유성의 딸이다. 김장생의 문인, 송시열·송준길 등과 교유하였다. 1655년 승지·황해도관찰사를 거쳐, 1657년 경상도관찰사, 1659년(현종 즉위년)
-
금시당연행일기 / 今是堂燕行日記 [언론·출판]
저자 임의백(1605-1667). 필사본. <금시당연행일기>는 건곤 2책의 필사본인데, 연민문고에는 건책만이 영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표제는 '금시당연행록 건'이다. 연행 사절은 정사, 부사, 서장관의 삼사로부터 역관, 서기 등 중인 실무 담당자, 마부, 하인, 상
-
남파상국집 / 南坡相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심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67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1667년(현종 8) 손자인 극보(極甫)와 종증손(從曾孫)인 원기(遠期)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임의백(任義伯)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