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원경제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9)
사전(314)
- 임원경제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울대학교에서 고전총서로 간행된 것이 있다. 農林水産古文獻備要(金榮鎭,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2) 임원경제지 임원...이칭별칭임원십육지
- 임원경제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徐有榘, 1764-1845)가 저술한 박물학서.정의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徐有榘, 1764-1845)가 저술한 박물학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Imwon gyeongjeji | MR표기Imwŏn kyŏngjej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유예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순조 때 서유구(徐有榘)가 펴낸 악보. [내용] 원래 「유예지」는 자신이 저술한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권91부터 권98까지의 부분(유예지 권1∼6)으로 선비들의 독서법 등을 비롯한 각종 기예를 풀이한 부분이나, 음악 분야에서는
- 발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소 한마리가 끄는 수레. [내용] ‘발고(發高)’라고도 하며, 작은 돌 따위를 나르는 데 사용한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의하면 전체 길이는 2장(二丈) 정도이고 앞부분이 조금 위로 휘어져 있다. 물건을 싣는 곳에는 7∼8촌 간격...이칭별칭발고(發高)
- 석탄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멥쌀로 술밑을 만든 것에 찹쌀로 다시 덧술하여 만든 술. [내용] 그 맛이 달아 입에 머금고 차마 삼키기가 아깝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석탄향(惜呑香)’이라고도 한다. 『임원경제지』ㆍ『양주방』ㆍ『음식방문』ㆍ『술방문』 등에 기록되어 있...이칭별칭석탄향
단행본(2)
- 임원경제지와 조선의 일용기술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전종욱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1004서유구를 볼 때 그가 얼마나 거대한 통합을 기획했던가 하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는 맹자 이후 정당화되었던 지배자와 피지배자, 노력자와 노심자의 나뉨을 통합하고 차별을 해소하여 새로운 인간형의 탄생을 소망했다. 식력(食力)과 양지(養志)를...
- 한국 수학문명사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김영욱, 이장주, 장혜원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527모든 문명의 중심에 수학이 있다. 수학의 힘 없이 문명의 발전도 이룰 수 없다는 것은 세계 4대 문명이 증명한다. 수학은 인간 사고의 핵심이며, 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농경의 발전에 따른 인구의 증가나 부의 축적, 토기, 치수, 직물 제작과 교역, 도시 형성 등이 ...
고서·고문서(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고종 때 이유원(李裕元)이 편찬한 〈임하필기(林下筆記)〉등은 당대의 생활 문화를 집적한 백과사전적 기록으로 남아 있다. 근대적 출판에서 민족 문화를 다룬 사전이나 백과사전이 〈한국향토문화사전〉(삼우사, 1967), 〈한국학대백...대표표제어〈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해제 | 편저자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현 한국학중앙연구원) | 권수전27권(본책 25권, 부록 2권)
- 〈대백과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찬한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광해군 때 이수광(李睟光)이 편찬한 〈지봉유설(芝峰類說)〉 , 순조 때의 유희(柳僖)가 지은 〈물명고(物名攷)〉, 정조 때 실학자 이규경(李圭景)〈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과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들...대표표제어〈대백과사전〉 해제 | 편저자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 권수9책
-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편찬한 〈지봉유설(芝峰類說)〉 , 순조 때의 유희(柳僖)가 지은 〈물명고(物名攷)〉, 정조 때 실학자 이규경(李圭景)〈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과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들을 흔히 한국 고전 가운데 발견되는 백과사전의 오랜 원형으로 본다....대표표제어〈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해제 | 편저자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 권수30권
연구과제(3)
-
양화소록 영역, 주석 및 해제
한국 학술 번역사업 | 신정수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8 | 국내 | 경기
-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신동원 | 전북대학교 | 2016 | 국내 | 전북
-
공동체와 공유의 인류사 : 21세기의 비상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항녕 | 전주대학교 | 2024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12)
-
임원경제지 / 林園經濟志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徐有榘)가 저술한 박물학서. 이 책은 저자가 서문에서 밝히듯이, 전원생활을 하는 선비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기예와 취미를 기르는 백과전서로 생활과학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책은 113권을 16개 부문으로 나눈 논저로 이루어졌다.
-
서유구 / 徐有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64∼1845). 1790년(정조 14)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역임했다. 흉년을 극복하기 위해 고구마를 실제보급하기도 하였고, 자신의 농학을 집대성하여 만년에 《임원경제지》를 저술하였다.
-
식물학 / 植物學 [과학/식물]
에 한약재 자원으로서 민간 전통지식이 근대적 식물연구에 실제적으로 활용된다.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본초에 대한 내용을 담았으며, 조선 후기에는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서 식물학의 방대한 내용을 다루기도 하였다.
-
콩나물밥 / [생활/식생활]
볶는 요리법이 기록되어 있을 뿐이며,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는 콩나물을 황두아(黃豆芽)라고 일컫고 있다. 콩나물밥은 충청도의 향토음식으로 토착화되어 뿌리를 내리고 있다. 만드는 법은 씻은 콩나물을 양념해서 버무려 솥 밑에 깔고, 그 위에 쌀을 얹어 보통 밥짓듯이
-
백화주 / 百花酒 [생활/식생활]
』·『임원경제지』 등에 널리 소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