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임오군란” 에 대한 검색결과 7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8)

사전(5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경제 침략으로 인한 불만 등을 군란의 배경으로 들 수 있다. 이 일어나기 전에도 수 차에 걸친 군병들의 반항이 있었다. 1863년(철종 14)의 금위영 소속 군병의 소요, 1877년 8월의 훈국병 소요 등은 모두 군료 때문에 일어난 사건이었다. ...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제 상품이 조선에 유입되었고, 이에 따라 곡물이 대량 유출되었다. 이는 곡가의 앙등을 가져왔다. 곡가 상승은 모든 물건을 시장에서 구입하여 생활하는 도시 하층민(소상인・영세수공업자・임금노동자・하급 군인 등)에게는 생계를 직접 위협하는 것이었다. 의 서막을 연 하...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2년 6월 일본식 군제(軍制) 도입과 민씨정권에 대한 반항으로 일어난 구식군대의 군변(軍變).
    정의1882년 6월 일본식 군제(軍制) 도입과 민씨정권에 대한 반항으로 일어난 구식군대의 군변(軍變).[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Imo Gullan | MR표기Imo Kull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실기소설. [개설] 1930년에 덕흥서림(德興書林)에서 간행한 바 있다. 「기」는 의 전말을 여섯 단락으로 나누어 실기체 형식으로 기록하고 있다. [내용] 1882년...
  • 김보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全權大官)에 임명되어 일본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와 협상하게 되었다. 또한, 직전 군영의 군인들에게 녹봉미(祿俸米)가 지급되지 못하자, 군인들은 선혜청당상이던 민겸호(閔謙鎬)와 당시 경기도관찰사이던 그에게 그 책임을 돌렸다. 이 일어난 뒤...
    이칭별칭 공필(公弼)| 난재(蘭齋)| 문충(文忠)

단행본(1)

  • 고종의 인사정책과 리더십 [고종의 국정운영과 리더십 |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저자 : 장영숙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01021
    역사의 전환점마다 고종은 현실회피적 인내와 방관자적 모습을 보였다. 여러 차례 왕권의 위기를 겪는 속에서 가까스로 전제군주권을 회복하긴 했으나 변화를 요구하는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한 채 독단적인 군주의 길을 걸었다. 빠르고 정확한 판단력과 강력한 결단력을 요구하는, ...

고서·고문서(114)

신문·잡지(4)

멀티미디어(107)

  •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과 갑신정변_3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덕궁 _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강화도 _ 강화도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_ 양절체제 5주
    강좌제목현장에서 바라본 제국의 시대 | 강의자권기하 교수
  •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과 갑신정변_3주차_2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덕궁 _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강화도 _ 강화도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_ 양절체제 5주
    강좌제목현장에서 바라본 제국의 시대 | 강의자권기하 교수
  •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과 갑신정변_3주차_3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덕궁 _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강화도 _ 강화도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_ 양절체제 5주
    강좌제목현장에서 바라본 제국의 시대 | 강의자권기하 교수
  •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과 갑신정변_3주차_4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덕궁 _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강화도 _ 강화도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_ 양절체제 5주
    강좌제목현장에서 바라본 제국의 시대 | 강의자권기하 교수
  •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과 갑신정변_3주차_5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덕궁 _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강화도 _ 강화도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_ 양절체제 5주
    강좌제목현장에서 바라본 제국의 시대 | 강의자권기하 교수

주제어사전(43)

  • / [정치·법제/정치]

    1882년 6월 9일 훈국병(訓局兵)들의 군료분쟁(軍料紛爭)에서 발단해 고종 친정 이후 실각한 대원군이 다시 집권하게 된 정변. 군민의 불평은 대원군과 연결되어 민씨 및 일본 세력의 배척운동으로 확대되었다. 군민은 대원군의 밀명에 따라 영돈령부사 이최응 등을 살해하고,

  • 기 /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실기소설. 1930년에 덕흥서림(德興書林)에서 간행한 바 있다. 「기」는 의 전말을 여섯 단락으로 나누어 실기체 형식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작품은 의 시말을 흥미 본위로 기술한 것이다. 말미에서 “이 대원군의 진무(鎭撫

  • 장건 / 張謇 [정치·법제/외교]

    1853-1926. 이후 조선지배 강경파. 청말 입헌파의 거두. 1882년 조선에서 이 발생하자 일본이 파병하였다. 장건은 경군을 따라 조선 한성에 와서 조선 국왕과 협조하여 군변을 처리하였다. 오장경을 대신하여 <조진조선사의소>를 기초하였고, <임오

  • 한억길승급문서 / 韓億吉陞級文書 [정치·법제]

    1908년(융희 2) 3월 20일. 정3품 통정대부 한억길(韓億吉)을 종2품 가선대부에 가자하는 문서. 1882년(고종 19) 6월 일본식 군제 도입과 민씨정권에 대한 반항으로 이 일어났다. 1908년(순종 1) 황제에 등극한 순종은 조령을 내려 때 공

  • 구완식특증문서 / 具完植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참판 고 구완식(具完植)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 이 문서는 당시 명성황후를 호위한 공로를 기려 특별히 증직한 임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