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예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9)
- 임예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회, 1972) 『삼‧일운동비사(三‧一運動秘史)』(이병헌, 시사시보사, 1959) 임예환(1865-1949) 1865(고종 2)∼1949. 독립운동가.이칭별칭 연암(淵菴)
- 나용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월 천도교의 기도회 종료보고와 국장참배를 위해 상경, 손병희(孫秉熙)‧권동진(權東鎭)‧오세창(吳世昌) 등을 만나 3‧1독립만세운동 계획을 듣고, 그에 찬동하여 민족대표로서 서명할 것을 동의하였다. 이 달 27일 최린(崔麟)‧오세창‧임예환(林禮煥)‧나인협‧홍기조...이칭별칭 택암(澤菴)
- 박준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麟)‧오세창‧임예환(林禮煥)‧권병덕(權秉悳)‧나인협(羅仁協)‧홍기조(洪基兆)‧김완규(金完圭)‧나용환(羅龍煥)‧홍병기(洪秉箕)‧양한묵(梁漢默) 등과 함께 김상규(金相奎)의 집에 모여서 독립선언서와 기타 문서의 초안을 검토하고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서명하였다. ...이칭별칭 비암(?菴)
- 권병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민족대표로서 서명할 것을 동의하였다. 이 달 27일에 최린(崔麟)‧오세창‧임예환(林禮煥)‧나인협(羅仁協)‧홍기조(洪基兆)‧김완규(金完圭)‧나용환(羅龍煥)‧홍병기(洪秉箕)‧박준승(朴準承)‧양한묵(梁漢默) 등과 함께 김상규(金相奎)의 집에 모여서 독립선언서와 기타...이칭별칭 청암(淸菴), 정암(貞菴), 우운(又雲)
- 나인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오세창‧임예환(林禮煥)‧홍기조(洪基兆)‧김완규(金完圭)‧나용환‧홍병기(洪秉箕)‧박준승(朴準承)‧양한묵(梁漢默) 등의 동지와 함께, 김상규(金相奎)의 집에 모여서 「독립선언서」와 기타 문서의 초안을 검토하였으며, 그들과 함께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성명을 열기하...이칭별칭 홍암(泓菴)
신문·잡지(3)
- 신인간_1933_07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상린 40 용어해설 일기자 46 사도우월야음 임예환 54 흥경종리원상황 김태숙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 정로_1946_0304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중 결의문 량독 끝으로 27년 전 그 대 33인의 한사람이었든 나인협(羅仁協) 임례환(林禮煥) 두 분을 맞어 천지를 뒤흔드는 듯한 만세와 구호를 불르고 기념식은 끝났다. 시위 행진은 이로부터 시작되여 국기와 악대를 선두로 민주으이 행렬은 평양 시가를 향하여 뻗어나간다....대표표제어정로_1946_0304_01
- 조선신문_1947_030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추었다. 다음 순서로 축사에 들어가 31운동 지도자-33인 중 18인 83세인 임예환 노옹은 『이 운동에 직접 참가하였던 한 사람으로서 이 자리에 참가하여 여러분과 함께 해방된 북조선에서 이날을 마지하니 감개무량이라 하며 이 운동의 진행 행정을 자서히 이야기하였으며...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303_01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주제어사전(1)
-
임예환 / 林禮煥 [역사/근대사]
1865-1949.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연암(淵菴). 1894년 동학농민운동에 참여하였고, 1919년 3월 1일 손병희·오세창 등과 함께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를 회람하고 만세삼창한 뒤 검거되었다. 출옥 후에도 계속 항일운동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