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야조사사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8)
- 임야조사사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일제는 종래의 한국의 토지‧임야소유제를 반(半)봉건적 소유제도로 재편하는 과정에서 근대적인 사적 소유제를 형식적으로 도입한 임야조사사업을 실시하여 토지조사사업과 함께 식민지 수탈의 양대 기초로 삼았다. 일제는 한국을 병합하기 이전부터 전국토의 73%에 해당하는...
- 국유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래 백성들이 이용해 온 것이나 조선시대 말기에 발표된 삼림법, 그리고 이에 부수하는 법령을 통해 임야의 소유가 제실유(帝室有)‧국유‧공유‧사유 등으로 구분되었고, 따라서 국유림 사유화의 합법적인 제도가 마련되었다. 그 뒤 일제가 식민지정책을 펴게 되자 임야조사사...
- 금양(禁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촌락의 법인적 성격을 인정하지 않고 임야조사사업(1917~1924)과 특별연고삼림양여사업(1926~1934)을 통해 공유림 또는 사유림으로 처분하였다. 배재수, 「일제하 관습적인 산림이용권의 해체과정」, 『한국임학회지』 87-3 , 한국임학회, 1998. ...상위어잡세(雜稅) | 하위어송계림(松契林), 금산(禁山), 봉산(封山), 향탄산(香炭山), 관방림(關防林), 관용시장(官用柴場) 등 | 동의어송금(松禁) | 관련어송계(松契), 송계절목(松契節目)
- 등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되고, 1918년에는 <조선임야조사령>을 공포하여 전국적인 임야조사에 들어갔다. 이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임야대장이 만들어졌는데, 임야조사사업이 완결된 것은 1935년이었다. 이상과 같은 경과를 거쳐서 유럽대륙의 근대적 등기제도를 모방한 일제의 부동산등기제도가...
- 토지조사사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산림‧임야 점유정책은 임야조사사업으로 돌리고 농경지 점유정책과 미간지 점유정책만을 살펴보기로 한다. 일제의 농경지에 대한 이른바 국유지 조사는 기본적으로 4단계를 거쳐 완결되었다. 제1단계는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
고서·고문서(1)
- 1917년~24년경 해남군(海南郡) 계곡면(溪谷面) 당산리(堂山里) 임야도(林野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17년에서 1924년 사이에 林野調査事業의 일환으로 조사 및 측량이 완료된 海南郡 溪谷面 堂山里 임야에 관해 작성한 임야도이다. 임야도에는 소유자, 면적, 지번, 경계선 등이 기록되어 있다.내용분류사회-지리-지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 현소장처해남 장흥임씨 임창완
주제어사전(1)
-
임야조사사업 / 林野調査事業 [역사/근대사]
1908년에는 '삼림법'을 제정, 공포하여 국유·민유의 구분에 의하여 대부분의 임야를 국유림화 한 사업. 1911년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창출된 국유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리, 경영하기 위한 조처로서 '삼림령'을 발포하였다. '조선임야조사사업보고'의 실질적인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