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임성주” 에 대한 검색결과 1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2)

사전(6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1(숙종 37)∼1788(정조 12). 조선 후기의 학자. [개설] 충청북도 청풍 출신. 본관은 풍천(豐川). 자는 중사(仲思), 호는 녹문(鹿門). 아버지는 함흥판관적(適)이며, 어머니는 호조정랑윤부(尹扶)의 딸이다. ...
    이칭별칭 중사(仲思)| 녹문(鹿門)| 문경(文敬)
  • 임정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7(영조 2)∼1796(정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풍천(豐川). 자는 치공(穉恭). 호는 운호(雲湖). 아버지는 함흥판관 적(適)이며, 어머니는 호조정랑 윤부(尹扶)의 딸이다. 성주(聖周)의 아우이다. ...
    이칭별칭 치공(穉恭)| 운호(雲湖)| 문경(文敬)
  • 윤지당임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1(경종 1)∼1793(정조 17). 조선 후기의 여류 성리학자. [내용] 본관은 풍천(豊川). 호는 윤지당(允摯堂). 함흥판관 적(適)의 딸이며, 성주(聖周)의 여동생이다. 남편은 신광유(申光裕)이다. 총명하고 부지런해 성주...
    이칭별칭 윤지당(允摯堂)
  • 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행히 누명이 벗겨져 이듬해 석방되었지만 그 뒤로는 일체의 세상사를 등지고 두문불출하면서 오로지 독서로써 여생을 보냈다 한다. 약간의 저서를 남겨놓았다. 학문적 계보를 보면 주기론(主氣論)을 주장한 ()를 스승으로 모셨다.
    이칭별칭 득여(得汝)| 영서거사(潁西居士)
  • 여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여행 중인 상대방의 안부. 風日不佳 伏問此時旅候若何, (), 22-27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9)

  • 주역대전 : 해제_28. ()의 주역(周易)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58 해제 28. ()의 주역(周易) 본관은 풍천(豊川)이고 자는 중사(仲思)이며, 호는 녹문(鹿門)으로 충청북도 청풍 출신이다. 아버지는 함흥판관을 지낸 적(適)이며, 어머니는 호조정랑 윤부(尹扶)의 딸이다. 그는 동생 정주(靖周)‧경주...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48224 B048224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0年 2月 25日_015 益煥爲堂樂院主簿, 以宋載禧爲南平縣監, 以李世鎭爲戶曹正郞, 以鄭尙淳爲司諫院正言, 以金會元爲司憲府持平, 以閔百福爲富平府使, 以爲宗廟署令, 以具允鈺爲兵曹正郞, 以魚錫文爲宗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341 B048341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0年 2月 25日_015 益煥爲堂樂院主簿, 以宋載禧爲南平縣監, 以李世鎭爲戶曹正郞, 以鄭尙淳爲司諫院正言, 以金會元爲司憲府持平, 以閔百福爲富平府使, 以爲宗廟署令, 以具允鈺爲兵曹正郞, 以魚錫文爲宗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이세추가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尤庸其一賀也 章令時爲嶺伯 則當似剞劂矣 窮巷蟄伏中 常耿想高議 感其做人底樣子 而此際同堂閤下 今爲隣境慮 文化大張 子姪輩皆憤排有發 而如弟衰病垂死者 亦眎以丈席間餘誨以策 且秉燭之工如何 自餘都在城主之啓發而已 幸高明以書加勉焉 只冀學履爲世道保重 不備 伏惟下察 謹拜上候狀 丙寅 九月...
    분야문학 | 유형문헌
  • 漣川郡主事, 姜永翰任利原郡主事, 九品宋瑢浩任任實郡主事, 奇在東任載寧郡主事, 朴贊東郡主事, 金思謙任泰仁郡主事, 九品吳鍾泳任德川郡主事, 姜涑任奉化郡主事, 金溶燮任茂長郡主事, 朴汶任全州郡主事, 九品李支鉉任公州郡主事, 尹錫昌任甕津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金相輔(鮮明印刷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相輔(鮮明印刷所) 진남포 ,金相輔 鮮明印刷所 三和町 - - 인쇄업 - - - 伸び申く鎭南浦: 會社一覽表,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
    대표표제어林聖周,金相輔(鮮明印刷所) | 지역진남포 | 품목- | 영업종목인쇄업 | 자료출처伸び申く鎭南浦: 會社一覽表, 1940년
  • 표지 및 목차 經濟倫理と責任生産制 自作農業勞働の構成(農調査) 南鮮...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4

기타자료(1)

  • (5월에 띄우는 글 스승에게) 마음의 문을 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88 6 교육제주 62호 제주도교육위원회 155 ...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임성주 | 사료철명교육제주

연구과제(1)

  • “한국의 위대한 유교학자들: 사상, 쟁점, 논쟁, 그리고 실용적이고 현대적인 함의” 에 관한 신간 단행본 3권 집필 및 출판.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Edward Chung | University of Prince Edward Island (University of Prince Edward Island) | 2022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1∼1788). 이재의 문인이다. 1750년 세자익위사세마가 되고 시직에 승진하였으나 곧 사직하고, 1758년 공주의 녹문에 은거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한 뒤 동궁을 보도하고 지방관을 지내다가 다시 녹문에 은거하여 학문연구로 여생을 보냈

  • 임경주 / 任敬周 [종교·철학/유학]

    1718년(숙종 44)∼1745년(영조 21). 조선 후기 유생. 증조는 임승, 조부는 임사원이다. 부친 임적과 모친 윤부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으로 녹문 가 있다. 부인은 김응복의 딸이다. 18세에는 당시의 문사 황경원·이인상·이보행과 벗 원경여 등이 아

  • 녹문경차 / 鹿門經箚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성리학자 가 『대학』에 대해 풀이한 유학서. 성리서. 조선후기의 성리학자 녹문(鹿門) (: 1711~1788)가 『대학(大學)』에 대해 해설하고, 스승 김원행의 시 「신기음(神氣吟)」에 대해 설명한 책이다.『대학』은 의 경학연구서인 『

  • 녹문명덕설 / 鹿門明德說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원행과 이재의 명덕에 관한 의견을 모아 엮은 유학서. 명덕설모음집. 이 책이 표제상으로는 ()가 ‘명덕’에 관한 내용을 취합하여 해설한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 이 저술은 녹문(鹿門)의 창작이라기보다는 ‘명덕’에 관한 제가들의 의견을

  • 홍직필 / 洪直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76∼1852). 17세에 박윤원에게 ‘오도유탁’의 찬사를 받고, 원로 명사들과 연령을 초월해 교유하며, 오희상에게 유종이라 호칭되었다. 주리파로써 한원진의 심선악설과 의 “성선은 곧 기질이다.”를 반대하였으며, 개천 경현사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