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병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임수명
- 둔헌임병찬창의유적지
- 고석진
- 고예진
- 고용진
연구성과물(60)
사전(43)
- 대한독립의군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2년 전라남북도 지방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연원 및 변천] 독립의군부라고도 불렀다. 1906년 최익현(崔益鉉)의 지휘 아래 의병활동을 하다 일본 대마도(對馬島)에 유배되었던 임병찬(林炳瓚)은, 귀양에서 돌아온 뒤인...이칭별칭독립의군부
- 둔헌임병찬창의유적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임병찬이 의병을 일으켰던 유적지. [내용]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276-1외 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곳은 임병찬이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나라와 민족을 구하고자 의병을 모아 훈련시켰...연계항목둔헌임병찬창의유적지(둔헌林秉瓚倡義遺蹟址)
- 임병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9) 임병찬 영정 1851(철종 2)-1916. 조선 말기의 의병.이칭별칭 중옥(中玉)| 돈헌(遯軒)
- 돈헌문답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의병장 임병찬(林炳瓚)이 1906년 순창에서 붙잡혀 일본헌병과 문답한 내용을 서술한 기록. [내용] 임병찬 문집 중의 일부로 모필본이다. 내용은 먼저 스승인 최익현(崔益鉉)의 인격과 사상을 칭송하고 일제의 제국주의적 침...
- 고석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의 의사들과 함께 각 지방을 돌아다니며 군사를 모집하고 무기를 준비하는 데 활약하였다. 그 해 6월 5일정읍을 거쳐순창으로 진출하였으나, 6월 11일전주와?남원에서 출동한 진위대 및 일본군에 포위되어 끝까지 버티다가 결국 이튿날 최익현‧임병찬(林炳瓚) 등...
고서·고문서(2)
- 이석용 판결문( 李錫庸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용이 담당하였다. 1905년 11월 이후 을사늑약과 통감부 설치로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크게 일어났다. 전라도에서는 1906년 봄부터 의병봉기가 본격화되었는데, 최익현과 임병찬이 주도한 태인의병이 대표적 사례였다. 당시 태인의병에 가담하려던 이석용은 기회조차 얻지 못했...제목이석용 판결문( 李錫庸 判決文) | 사건유형방화 상해 모살 강도 및 강도상인 | 소장처국가기록원
- 전협 외 인 판결문(경성지방법원) 송세호 외 8인 판결문(1920년 형공제35호‧40호, 경성복심법원) 윤종석 외 2인 판결문(1920년 형상제68호, 고등법원)( 全 協 外 35人 判決文(大正9年公刑第1003號,第1013號, 京城地方法院) 宋世浩 外 8人 判決文(大正10年刑控第35號‧40號, 京城覆審法院) 尹鍾奭 外 2人 判決文(大正10年刑上第68號, 高等法院))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대정 8년 윤 7월 말경 경기도에 머무르던 중 김재구 강경진과 함께 대동단의 간부 전협, 윤용주와 만나고 동 단의 취지에 찬동하여 단원의 규합, 자금의 모집을 부탁받은 적이 있다. 원래 참고인의 아버지는 임병찬(林炳瓚)이라고 하고 면암(勉庵)과 함께 대마로 유배된 후...제목 전협 외 인 판결문(경성지방법원) 송세호 외 8인 판결문(1920년 형공제35호‧40호, 경성복심법원) 윤종석 외 2인 판결문(1920년 형상제68호, 고등법원)( 全 協 外 35人 判決文(大正9年公刑第1003號,第1013號, 京城地方法院) 宋世浩 外 8人 判決文(大正10年刑控第35號‧40號, 京城覆審法院) 尹鍾奭 外 2人 判決文(大正10年刑上第68號, 高等法院)) | 사건유형 정치범처벌령 위반,출판법 위반,보안법 위반 및 사기 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신문·잡지(12)
- 義魁照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쥬군에셔 압상의병괴슈최익현씨를일본군령부에셔 금옥삼년에쳐고 림병찬씨난 금옥이년에쳐고 그이하난 형에 쳐엿다더라게재일1906년 8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莫不奔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헌병령부에 슈 최익현 림병찬 민형식 민경식 민병한 리봉 홍봉 죠남승 김승문 졔씨인 일젼에 홍쥬 의병여당 팔명을 일본으로 보낸후에 려항에셔 슈 구인도 장 일본 은기도로 압송다 허셜이 낭쟈지라 그집안사들은 황황분쥬이지낸다며 본샤에셔 듯바로게재일1906년 8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義送馬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헌병령부에셔압상의병을 마도로 보낸단 말은 작일긔얏거니와 의병괴슈 최익현 림병찬씨와 간연된 리봉 김승문씨등도 마도로 압송다더라게재일1906년 8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義匪縛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전쥬관찰가 작일부로뎐보기를 작일 전쥬진위 병뎡이 슌창군에셔 의병의두령 최익현 림병찬등 십삼인을 포박고 그여당은 일병산시겻 병뎡이나 인민간에 한아토 사상은업다얏다더라게재일1906년 6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電飭押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병두령 최익현씨등을 진위병이 금말은 이우에 긔얏거니와 작일부에셔 도 관찰의게 뎐칙야 그금최익현 림병찬등은 일병군옥에 엄슈사야 셔히보라고 뎐보기를 범등을 엄히단속야 일병 압상라 얏다더라게재일1906년 6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
- 임병찬;林炳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841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3면 임병찬;林炳讚 제8회 1941년 3월 1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병찬;林炳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073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4면 1. 제14회 졸업증서교부자명부 임병찬;林炳燦 1926년 3월 20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병찬;林炳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7474 남한 충남 예산농업학교 2-35 교우회보 제4호 1925―12―21 55면 임병찬;林炳澯 예산군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예산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임병찬 / 林炳瓚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의 의병(1851∼1916). 독립의군부를 전국 조직으로 확대하여 대한독립의군부로 만들었다. 전국적인 의병운동을 계획하였다. 일제에 의하여 체포되어 거문도로 유배되어 병사하였다. 저서로는 《돈헌문집》이 있다.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
둔헌임병찬창의유적지 / 遯軒林秉瓚倡義遺蹟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임병찬이 의병을 일으켰던 유적지.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276-1외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곳은 임병찬이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나라와 민족을 구하고자 의병을 모아 훈련시켰던 장소로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
-
관견 / 管見 [역사/근대사]
1914년 임병찬이 독립의군부의 독립운동노선과 조직·활동 등을 구상한 자료집.독립운동자료집. 독립의군부의 독립운동노선·조직·활동 등이 구상되어 있으며, 저자는 확실하지 않으나 임병찬(林炳讚)으로 추측되며, 편찬 시기는 1914년 2월인 것 같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
-
고용진 / 高龍鎭 [역사/근대사]
년 임병찬(林炳瓚)이 조직한 독립의군부에서 전개한 항일운동에 동참하였고,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보낼 장서의 서명운동도 전개하였다. 1983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고석진 / 高石鎭 [역사/근대사]
5일 정읍을 거쳐 순창으로 진출하였으나, 6월 11일 전주와 남원에서 출동한 진위대 및 일본군에 포위되어 끝까지 버티다가 결국 이튿날 최익현·임병찬(林炳瓚) 등 13명과 함께 붙잡혀 전주 진위영(鎭衛營)으로 호송되었다. 6월 18일 서울로 압송되어 일본군사령부에서 가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