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광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6)
- 임광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95(연산군 1). 조선 전기의 부마(駙馬). [개설] 본관은 풍천(豊川). 할아버지는 찬성 원준(元濬)이고, 아버지는 사홍(士洪)이다. 예종의 딸인 현숙공주(顯肅公主)의 남편으로 1475년(성종 6) 숭덕대부(崇德大夫) 의빈부의빈...
- 현숙공주(顯肅公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齊安大君), 혜순공주(惠順公主) 풍천 임씨(豊川任氏) : 임사홍(任士洪)의 아들 임광재(任光載) →무후 [총론] [1464년(세조 10)~1502년(연산군 8) = 39세]. 조선 제8대 임금인 예종(睿宗)의 딸로...
- 성세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물러났다. 1493년 전한으로 복직되어 임광재(任光載) 등 외척의 횡포를 견제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듬해 부제학이 되어서는 시무책을 제시하여 토지제도와 공법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언론을 중시할 것을 제의하였다. 1495년 연산군이 즉위하자 대사간이 되어 여러...이칭별칭 여회(如晦)| 일로당(佚老堂)| 평안(平安)
- 휘숙옹주(徽淑翁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휘정옹주(徽靜翁主) (동서)현숙공주(賢肅公主): 임광재(任光載)의 처, 예종(睿宗)의 딸 (남편)풍천임씨(豊川任氏): 임숭재(任崇載) →(자녀)3녀 (시부)임사홍(任士洪) (시모)보성군(寶城君)의 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녀 (1녀)최국광(崔國光)의...
- 안호(安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駙馬)인 풍천위(豐川尉) 임광재(任光載)가 임사홍의 무죄를 주장하면서, 조정에서는 임사홍 등을 국문해야 한다는 주장이 끊이지 않았다.[『성종실록』 성종 19년 10월 19일, 성종 19년 10월 20일, 성종 19년 10월 21일, 성종 19년 10월 22일] 그러나...
고서·고문서(4)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348 B06934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成宗實錄 六年(1475) 十二月 성종실록_10612016_005 ○以洪應爲崇祿吏曹判書, 任光載崇德儀賓府儀賓, 鄭孝常正憲雞林君, 鄭蘭宗嘉靖東萊君, 李恕長嘉善戶曹參判。 是政, 院相曺錫文囑注書李昌臣, 詣政廳, 請除人職, 昌臣退而...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改葬 三 【祖曾以上改葬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雖不爲祖斬,亦制緦以葬也。” ○鏞案 豈惟祖父然哉?雖十代祖之改葬,其宗孫承統者,當爲主人,豈可無服以見柩,無服以臨壙哉?但若是者,卒事而除,尤不可從鄭義也。 《隋書ㆍ禮儀志》 後齊王元軌子,欲改葬祖及祖母,未知所服。邢子才議曰:“禮改葬緦,鄭注惟臣子妻三人而已,適曾孫孫承重者,曾祖父母祖父母改葬...권차명喪禮四箋 卷十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난재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징조로써 비가 늦지 아니하다고 하고 보리도 수확이 있다고 하며 흙비는 운수로 그렇게 되는 것이라고 하며, 화재가 있었음은 민가에서 실화하여 여러 집이 연달아 탄 것이니 족히 괴이할 것이 없다고 하여, 일체 이치에 위반하여 聖主를 속였다. 그리고 그 아들 任光載는 災異를...분야문학 | 유형문헌
- 허백정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代君臣鑑과 우리나라의 帝王后妃明鑑을 기본으로 하여 27권으로 편찬한 사실과 왕명을 받들어 서문을 쓴다고 하였다. 豊川尉嶺南錄序 54 豊川尉任光載이 찬한 嶺南紀行錄에 쓴 서문. 1492년 聞慶의 客舍에 묵을 때 꿈 속에서 어떤 사람과 영남 산수의 아름다움에 대하여 이...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타자료(3)
- 임광재;任光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064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100면 임광재;任光宰 충남 제6회 191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광재;任光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667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4면 임광재;任光宰 충남 본과제6회 191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광재;任光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290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37면 임광재;任光宰 충남 제6회 191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임광재 / 任光載 [종교·철학/유학]
?∼1495(연산군 1). 조선 전기의 부마. 할아버지는 원준, 아버지는 사홍이다. 예종의 딸인 현숙공주의 남편으로 1475년(성종 6) 숭덕대부 의빈부의빈이 되었으며, 1485년 숭덕대부 풍천위, 1492년 풍천위가 되었다. 유배 도중 병이 나 강릉 우계현으로 유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