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임계영” 에 대한 검색결과 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4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28(중종 23)∼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ㆍ의병장. [내용]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홍보(弘甫), 호는 삼도(三島). 아버지는 희중(希重)이다. 1576년(선조 9)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진보현감을 지냈다. ...
    이칭별칭 홍보(弘甫)| 삼도(三島)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규의 아홉 번째 아들로, 소태우의 둘째 딸 빙설과 성혼한다. 동생 임숙영, 당공자와 함께 과거에 급제한다. 호색한 성품 탓에 빙설과 불합한다. 교어사의 집에갔다가 교씨부인을 보고 잊지 못해 청혼하지만 죽었다는 말을 듣는다. 교씨부인의 행실을탐문하고 음행을 규탄한다.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432 인물 () 1528 159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홍보(弘甫), 호는 삼도(三島). 보성(寶城) 사람. 1576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보성현감을 지...
    유형분류인물
  • 정사제(鄭思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763 인물 정사제(鄭思悌) 정사제 鄭思悌 1556 1592 조선 중기의 인물.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유인(幼仁). 1585년 생원‧진사시에, 1591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
    유형분류인물
  • 소상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진왜란이 일어나자 관군이 달천(㺚川)에서 패했다는 소식을 듣고 서울로 가던 중, 전주에서 김성일(金誠一)을 만나 의병을 모집하였다. 그리고 영남으로 가 진보군수 ()의 휘하에서 별장(別將)이 되어 항시 홍의(紅衣 : 붉은 색의 옷)를 입고 전투에 나갔...
    이칭별칭 실보(實甫)| 서암(西庵)

고서·고문서(17)

  • 무진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京畿道庄土文績_제40책(1)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景祐宮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38. 乙亥四月初二日畓主副司果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3894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40책(1)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景祐宮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40(1)-039 38. 乙亥四月初二日畓主副司果 초사 1 40(1)-037~044 20.7x28.3 한지, 관인, 당상의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31449 B031449 금산 錦山 산악 全羅道邑誌 寶城郡邑誌 寶城郡 人物 數前後戰捷之功最著仍參嵬勲累典州牧 贈兵曹判書朴根孝光前子氣質英睿性度剛毅中司馬學於家庭孝友著稱壬辰倭亂與奮義討賊指揮之功居多 特除縣監兵燹之餘書籍蕩殘依白鹿書肆之義首刊子書以迪後學興水利以惠民 贈執義朴應賢...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京畿道庄土文績_제40책(1)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景祐宮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37. 康熙三十三年-甲戌-十一月二十九日前萬戶金震昌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038 39.5x39.7 한지, 관인, 수결 1장, 39.5x39.7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수결 1694년(숙종 20) 11월 29일 副司果 답주 副司果 답주 金震昌 前萬戶 金震昌 前萬戶 林成元...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께 제사를 지냈다. 제사가 끝나고 지방을 불사르고 제사 음식을 먹었다. 회포를 풀고 파했는데, 나도 우소(寓所)로 돌아왔다. ○응명(應明)이 《주자대전(朱子大全)》을 보내며 제목을 써달라고 했다. ○임계령()이 왔는데, 임세경(林世卿)이 따라왔기에 만났다. 밤에...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528(중종 23)∼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아버지는 희중이다. 1576년(선조 9)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진보현감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 전 현감 박광전, 능성현령 김익복, 진사 문위세 등과 보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전라우도 의병장

  • 정사제 / 鄭思悌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성이다. 사마시를 거쳐, 1591년(선조 2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의 종사관으로 장수에서 최경회와 함께 전공을 세우고 성녕에 나아갔다가 남

  • 김익복 / 金益福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 조선 중기의 문신. 후손 증손, 할아버지는 석량, 아버지는 찰방 광. 15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도사·군수를 역임하였다.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영광군수로 현감 과 함께 인근의 여러 고을에 격문을 돌려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 장봉한 / 張鳳翰 [종교·철학/유학]

    1566(명종 21)∼1644(인조 22).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곤, 정구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적군이 성주를 함락시키고 승 찬희와 찬숙에게 주사를 맡기고 향도로 삼았다. 총병 유정과 의병장 등이 전세가 불리하다 하여 물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