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일헌유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2)
- 일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들의 사기를 북돋우는 한편, 자기 자신은 노병이 들어 막하에 참여하지 못함을 탄식하는 내용이다. 일헌유고 조선 중기의 학자 정심의 시문집. 1935년 후손 우권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2권 1책.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일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하해관(河海寬)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04년 8세 손 경락(經洛)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심춘(柳尋春)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곽종석(郭鍾錫)과 경락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
고서·고문서(2)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면서도 평범했다”(篤而裕, 高而不奇)고 한 말을 인용하여 임진부의 인품을 묘사했다. 雙忠錄序 (10)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한 崔均(蘇湖, 1537∼1616), 崔堈(蘇溪, 1559∼1614) 형제의 글을 모아 놓은 『쌍충록』의 서문이다. 一軒遺藁序 (12)...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書院(경남 고성군 구만면 화림리 소재)에 제향되고, 판서에 추증되고, 義敏과 義肅이란 시호를 받았다. 쌍충록 (4권 2책)은 바로 이 형제의 구국충절을 기리기 위해 후손이 편찬한 기록물이다. 一軒遺藁序 12 1826년(순조 26)에 쓴 一軒河海寬(1634∼ 1686...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일헌유고 / 一軒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하해관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04년 8세 손 경락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심춘의 서문, 권말에 곽종석과 경락의 발문이 있다. 권상에 시 108수, 부 3편, 서 4편, 잡저 2편, 권하에 부록으로 제현증유·사문묵첩·만사·제문·향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