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일무” 에 대한 검색결과 3,5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10)

사전(38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종묘(宗廟)‧문묘(文廟) 등 제향 때와 예전 회례연(會禮宴) 때 줄을 지어서 추는 춤. [내용] 일(佾)은 열(列)과 같은 뜻으로, 는 지위(地位)에 따라 팔(八)‧육(六)‧사(四)‧이(二)의 네 종류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묘(文廟) 및 종묘제례 때 여러 줄로 벌여서서 추던 춤.
    정의문묘(文廟) 및 종묘제례 때 여러 줄로 벌여서서 추던 춤.[두산백과] | 문광부표기ilmu | MR표기ilm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무(武舞), 문무(文舞)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 소무지무(昭武之舞), 열문지무(烈文之舞),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 줄춤 가례(嘉禮), 길례(吉禮), 문묘(文廟), 사직(社稷), 속악(俗樂), 아악(雅樂), 제례악(...
    하위어무무(武舞), 문무(文舞) | 동의어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 소무지무(昭武之舞), 열문지무(烈文之舞),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 줄춤 | 관련어가례(嘉禮), 길례(吉禮), 문묘(文廟), 사직(社稷), 속악(俗樂), 아악(雅樂), 제례악(祭禮樂), 종묘(宗廟), 회례연악(會禮宴樂)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천자(天子)의 제향(祭享) 때 쓰이는 . [내용] 천자(天子)의 제향(祭享) 때 쓰이는 . 우리 나라에서는 문묘(文廟)‧종묘(宗廟) 제향에 쓰인다. 일(佾)은 열(列)을 의미한다. 는 지위에 따라 팔‧육(六)‧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소련파의 일원이자 군인. [개설] 한는 고려인 2세로 소련에서 태어났고, 소련파의 일원으로서 북한의 공산당 건설에 참여했다. 북조선노동당 창립대회 때부터 두각을 나태내어 당중앙위원으로 활약하였으며, 1948년 8월 25일에 실...

고서·고문서(2,814)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10 與猶堂全書補遺○題雅言覺非後 ITKC_MP_0597A_1710_010_004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題雅言覺非後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서울대학교 김종일 역사 유물 선사 三坎克덤군 1900년대 三坎克덤군 ?(?/?) 신강 위구르 자치구 吐魯番 市 鄯善 縣 魯克沁 鎭 三個橋 村 남쪽으로 약 800m 지점 42...
    대표표제어三坎克日무덤군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三坎克日무덤군 | 무덤조성연대戰國~漢
  • 역규칙 체결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역규칙 체결 일본-조선 조약의 부록과 무역규정들 및 첨부 문서들 Die Zusätze und Handelsbestimmungen zum Japan...
    대표표제어조일무역규칙 체결 | 발신자Eisendecher | 수신자Bülow | 발신지에도(도쿄) | 수신지베를린
  • 역규칙 체결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역규칙 체결 일본과 조선의 무역규정에 관한 보고서 사본 재외공관 1876.12.23 베를린 런던 파리 상트페테르부르크 워싱턴 함부...
    대표표제어조일무역규칙 체결 | 수신자재외공관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런던 파리 상트페테르부르크 워싱턴 함부르크 (수상실)
  • 역규칙 체결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역규칙 체결 일본과 조선이 체결한 수호조약의 후속 협상 A.6957 전달 일본과 조선이 체결한 수호조약의 후속 협상에서 양국 정부는
    대표표제어조일무역규칙 체결

구술자료(3)

  • 와(蛙)’로 급제한 과거 선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진호씨가 이야기를 끝내고 뒤로 물러앉자, ‘이제 내가 하지.’ 하면서 계속했다. *
    조사일시1982-08-07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 제보자김형효
  • 이석동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2) 음질 상 안성춤 이석동 화랑무 아유무 미무 정신통 도산화랑무 기타 2000-05-27 경기도 안성시 문화회관 34:01 00:00 A면 이석동 대담(00:0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석동
  • 강인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민보』, 『프라우다』, 학도병, FTX, TTY, 닉슨독트린, 문세광사건, 신사참배, 이산가족상봉, 적십자회담, 쿠바사태, 토지개혁, 페레스트로이카, 항장운동, 10월 인민항쟁, 1.21사태, 4.19, 5.16, 7.4남북공동성명, 8.15선언, 남곤면, 대동군,
    구술자강인덕 | 직업장관 | 지역평안도

기초학문(15)

  • 문묘석전의 상징적 의미와 얼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29525 한국연구재단 한국무용사학회 2008 문묘석전의 상징적 의미와 얼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16세기 대역의 전개와 갈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평식, 게재일 : 2018
    16716 박평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학회 2018 16세기 대역의 전개와 갈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8
  • 15‧16세기의 對貿易과 經濟變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정수, 게재일 : 1998
    08855 이정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산대사학회 1998 15‧16세기의 對貿易과 經濟變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1998
  • 장투쟁과 김일성의 초기정치 리더쉽 형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50524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원대학교 2005 항장투쟁과 김일성의 초기정치 리더쉽 형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한설야, ‘문예총’ 그리고 항장투쟁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원진, 게재일 : 2014
    45088 남원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학연구원 2014 한설야, ‘문예총’ 그리고 항장투쟁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266)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상오시에 남문외 쳥파등디 문셕죠집에 젹한 삼명이 월쟝돌입야 돈 일이십원과 의복등물을 탈취야 갓다더라
    게재일1906년 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 한셩 외각방곡민호에셔 화가치야 언늣날 실화치 아니 날이 업다 착일 하오칠시에 남문밧 쳥파등지에셔 고영운 최봉인 등의집이실화야 몰수히 소신이되얏슴으로 량인의 가속들이 죨지에 거졉곳이업셔 도로에 방황난 졍경이 가긍다 더라고들
    게재일1906년 3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본인의 팔슌노모가 음녁금월초삼고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인의 팔슌노모가 음녁금월초삼고이츌입야도라오시지아니기로 광고며 의복은 베치마입고 마혜신고 장옷씨니 누구시던지이 노인을 맛나거던 좌긔통호로 지시시면 은혜난망이외다 슈젼동 병문아모통이 미젼 오쳘슌 고
    게재일1906년 7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滿洲國領事館開設 釜山에서 猛運動 逐貿易關係緊密로 具體的方法協議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滿洲國領事館開設 釜山에서 猛運動 逐貿易關係緊密로 具體的方法協議 1932년 12월10일 부산 부산 부산상공회의소는 만...
    대표표제어滿洲國領事館開設 釜山에서 猛運動 逐日貿易關係緊密로 具體的方法協議 | 연월일1932년 12월10일 | 지역부산
  • 建議所停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송 셩건의소에셔 경향 각관인이 일삭월봉을 보죠라야 역를 거창이더니 근 층졀이 잇셧지 졍역이 되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9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6)

  • 송본;松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9875 남한 충남 홍성농업전수학교 동창회명부 1944―07―27 23면 송본;松本 당진군 면천면 성상리 제7회 1943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홍성농업전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Transmitting copies of report on Korean election prepared by General Weckerling1948년 9월 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Transmitting copies of report on Korean election prepared by General Weckerling1948년 9월 1쵸 정치·법제 기타 현대
    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John J. Muccio | 수신자Seceretary of the State
  • 존문발해객사가 아뢰고 돌아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번역】 8월 7일 무인(戊寅)에 존문발해객사(存問渤海客使)가 왕에게 아뢰고 돌아왔다. (『日本紀略』 全篇 20) 【원문】 八月七寅 存問渤海客使奏聞歸來 (『日本紀略』 全篇 20)
    대표표제어존문발해객사가 아뢰고 돌아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92년(壬子/신라 진성왕 6/발해 玄錫 22/唐 昭宗 景福 1/日本 宇多天皇 寬平 4)
  • 존문발해객사가 아뢰고 돌아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7일 무인(戊寅)에 존문발해객사(存問渤海客使)가 왕에게 아뢰고 돌아왔다. (『日本紀略』 全篇 20) 【원문】 八月七寅 存問渤海客使奏聞歸來 (『日本紀略』 全篇 20)
    대표표제어존문발해객사가 아뢰고 돌아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92년(壬子/신라 진성왕 6/발해 현석 23/唐 景福 1/日本 寬平 4)
  • SEMI-Monthly Report No. 28 from 16 July 1952 to 30 July 1952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일~30일 기간 보고서 (상업, 무역, 재정 현황): 한역협정: 한일 평화 협정 위한 회의 지연에 따른 현행 한역협정 지속, 현재 한국 무역의 60% 이상이 일본과의 무역임을 감안, 주변국과의 무역 확대 기대 / 한미 텅스텐 합의 (3월 31일)에 따른 가격 결...
    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발신자Arthur N. Rucker, Deputy AG, UNKRA HQ Far East, San Francisco | 수신자Agent General, New York HQ, UNKRA

연구과제(1)

  • 한민족 애국창가의 생성, 융합, 계승의 사회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수현 | 단국대학교 | 202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34)

  • / [종교·철학/유학]

    종묘·문묘 등 제향 때와 예전 회례연 때 줄을 지어서 추는 춤. 는 지위에 따라 팔·육·사·이의 네 종류가 있다. 는 문무와 무무로 나누어지고, 회례연 또는 제례 때 추었는데, 제례의 예를 들면 문무는 영신·전폐·초헌의 예에 쓰고, 무무는 아헌과

  • / 八 [예술·체육/무용]

    천자(天子)의 제향(祭享) 때 쓰이는 . 우리 나라에서는 문묘(文廟)·종묘(宗廟) 제향에 쓰인다. 일(佾)은 열(列)을 의미한다. 는 지위에 따라 팔·육(六)·사(四)·이(二)의 네가지가 있다.팔는 한 줄에 8명씩 여덟 줄로 늘어서

  • 문무 / 文舞 [예술·체육/무용]

    종묘(宗廟)와 문묘(文廟)의 제향에서 추는 ()의 하나. 종묘와 문묘제향의 영신(迎神)·전폐(奠幣)·초헌(初獻)의 순서에서 춘다. 왼손에는 약(籥), 오른손에는 적(翟)을 들고 추나, 춤추는 방법은 종묘와 문묘의 경우가 다르다.즉, 종묘에서는 보태평지악(保太平

  • 무무 / 武舞 [예술·체육/무용]

    종묘(宗廟)와 문묘(文廟)의 제향(祭享)에서 추는 (:사람을 여러 줄로 벌려 세워서 추게 하는 춤)의 하나. 무덕(武德)을 상징하는 춤으로 문덕(文德)을 상징하는 문무(文舞)와 쌍을 이룬다. 종묘와 문묘제향의 아헌(亞獻)과 종헌(終獻)의 순서에서 춘다.현재 종

  • 간 / 干 [예술·체육/무용]

    무무(武舞)를 출 때에 사용하는 의물(儀物)의 하나. ‘간우(干羽)’라 하여 길이 43㎝, 위는 삼각형으로 너비 18㎝, 아래너비 14㎝, 두께 2㎝의 널빤지에 용을 그리고, 뒤에 손잡이가 있는 방패모양의 무구(舞具)로, ()에서 무무를 출 때 사용된다.간(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