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일군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총융사
연구성과물(25)
사전(14)
- 일군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 지급 주기는 매월, 춘추 2기, 1년에 3기, 또는 4기로 지급하는 것이 있었다. 1년에 한번 지급하는 것과 수시로 지급하는 것도 있었다. 이러한 색의 장부를 어린식례(魚鱗式例)라고 하였다. 일군색에서 관리하는 보인(保人)의 총수는 1만5227명...
- 일군색(一軍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일군색 일군색 一軍色 병조(兵曹) 보포(保布), 보인(保人), 어린식례(魚鱗式例), 금군(禁軍), 용호영(龍虎營), 호련대(瑚璉隊), 내취(內吹) 경제재정/역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손병규상위어병조(兵曹) | 관련어보포(保布), 보인(保人), 어린식례(魚鱗式例), 금군(禁軍), 용호영(龍虎營), 호련대(瑚璉隊), 내취(內吹)
- 총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도총관(都摠管)과 부총관(副摠管)의 통칭. [내용] 직품은 정2품과 종2품이다. 병조 일군색(一軍色)의 빈청강(賓廳講) 및 무경강(武經講)의 고시를 관장하는 데 참여하며 오위도총부의 사무를 주관하였다.
- 총융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760년 폐지되었고, 1764년 조지서제조(造紙署提調)를 정례로 겸하였다. 병조 일군색(一軍色)의 시취(試取)를 관장하였고, 수원‧광주(廣州)‧양주‧장단‧남양의 5개 영에 대한 순회 조련(操鍊)을 담당하였다. 총융사 아래에 중군(中軍) 1인, 천총(千摠) 2인...
- 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을 총칭하였다. 이들은 군사를 통솔하여 각 군영의 입직 및 적간(摘奸 : 난잡한 행동이나 부정한 사실의 유무를 조사 적발함)을 행하였고, 국왕행행시 동원되며, 또는 지방관아나 수영(水營) 등에 배속되었다. 장교의 급료는 병조의 일군색(一軍色)에서 어린식(魚鱗式...
고서·고문서(11)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兵曹, 則一軍色, 當爲責應, 而卽今一軍色, 尤甚蕩然。 前日閔鎭厚建請, 以匠人餘丁名色, 皆屬禁保, 竝與禁保舊案, 通爲一萬名, 以爲禁旅接濟之地, 其意固好, 而所謂餘丁匠人之布, 例用於江都·永宗給代及諸上司皁隷之價矣。 此等用度, 別爲區處, 然後可以專一於禁旅, 而不變此規, 則名雖...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曹, 則一軍色, 當爲責應, 而卽今一軍色, 尤甚蕩然。 前日閔鎭厚建請, 以匠人餘丁名色, 皆屬禁保, 竝與禁保舊案, 通爲一萬名, 以爲禁旅接濟之地, 其意固好, 而所謂餘丁匠人之布, 例用於江都·永宗給代及諸上司皁隷之價矣。 此等用度, 別爲區處, 然後可以專一於禁旅, 而不變此規, 則名雖屬...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728 B076728 동래 東萊 정치행정 萬機要覽 軍政編二 兵曹 [一軍色] ... 黃海兵營屬道內武學, 每年合四等試取, 居首閑良直赴殿試, 之次閑良直赴會試.○黃海水營屬別武士․追捕武士, 每年合四等試取, 居首及沒技閑良直赴殿試, 居首出身․之次出身․閑良, 邊將除授.○慶尙監營...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一軍色, 專管禁軍等宿衛軍兵接濟, 而近因災減, 捧入大縮, 無以酬應。 今此除防米, 自本曹收捧補用,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996 B016996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萬機要覽 軍政編二 兵曹 [一軍色] ...黃海水營屬別武士․追捕武士, 每年合四等試取, 居首及沒技閑良直赴殿試, 居首出身․之次出身․閑良, 邊將除授.○慶尙監營屬左別武士, 每年合四等試取, 居首出身, 禁․御兩營哨官窠備擬, 沒技出身,...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일군색 / 一軍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장교·군병·원역의 봉급이나 급료를 관장하였던 병조 소속의 관서. 금군·호련대·내취의 보가 내던 포를 수납하여 장교를 비롯한 군병·원역의 봉급이나 급료를 조달하고 지급하는 일을 맡았다. 지급 주기는 매월, 춘추 2기, 1년에 3기, 또는 4기로 지급하는 것이
-
총융사 / 摠戎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5군영의 하나인 총융청의 주장. 1624년(인조 2) 총융청이 설치돠었다. 1750년(영조 26) 경기병사를 겸하였다가 1760년 폐지되었고, 1764년 조지서제조를 정례로 겸하였다. 병조 일군색 시취를 관장, 수원·광주·양주·장단·남양의 5개 영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