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평대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1)
사전(97)
- 인평대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2(광해군 14)∼1658(효종 9). 조선 후기의 왕족.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요(㴭), 자는 용함(用涵), 호는 송계(松溪). 인조의 셋째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으로, 1628년 7세 때 인평대군(麟坪大君)에 봉해졌...이칭별칭 용함(用涵)| 송계(松溪)| 충경(忠敬)|이요
- 인평대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인조의 아들로, 승지 한흥일을 따라 강화에 들어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인평대군방전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7세기 중반에 간행된 작자미상의 지도.정의17세기 중반에 간행된 작자미상의 지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Inpyeong Daegun bang jeondo | MR표기Inp’yŏng Taegun pang chŏn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오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인 인평대군의 문서를 가지고 와서 강계부 삼화(蔘貨)의 이권을 빼앗으려 하므로 그 문서를 불태우고 이신우를 축출한 일이 화가 되어 아산에 유배, 이어 연안에 이배되었다가 이듬해에 풀려나왔다. 1662년(현종 3) 오위장에 등용되고 첨지중추부사ㆍ공조...이칭별칭 빈우(賓羽)| 농재(聾齋)| 숙헌(肅憲)
- 연행기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6년(효종 7) 인평대군(麟坪大君) 이요(李㴭)가 청나라에 다녀온 사행 기록. [내용] 3권. 목판본. 인평대군은 진하사(進賀使)ㆍ문안사(問安使) 등으로 전후 모두 14회에 걸쳐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병자호란 이후 점점 심해진 청나...
고서·고문서(44)
- 인평대군 묘 치제문( 麟坪大君墓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1662]가례등록(嘉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인조 말부터 효종 10년(1658)에 걸쳐 행해진 인평대군과 숙안군주‧숙명공주‧숭선군‧낙선군‧숙경공주의 가례와 출합(出閤)에 관한 모든 사항을 예조에서 각 의례가 끝날 때마다 모아서 정리한 등록이다. 「인평대군(麟坪大君) 가례」는 인조 16년(1638) 7월에 행해진...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의주등록(儀註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의주이다. 「친림대군상출환궁의(親臨大君喪出還宮儀)」는 효종 9년 5월의 인평대군(麟坪大君)상의 입관일(入棺日)에 임금이 친히 임하여 거애함에 출환궁하는 의절을 규정한 의주이다. 「친림대군상치제의(親臨大君喪致祭儀)」는 인평대군의 상에 임금이 친히 대군가에 임하여 제사를...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人事門6_冤婢作妖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冤婢作妖 王孫楨, 卽麟坪大君之子. 其夫人性妬, 有婢曰得玉, 虐刑而死. 後得玉與夜叉, 白日至楨家, 乘其屋脊, 見者, 無不走匿. 自是興妖造變, 卒至臧族而後已. 麟坪有功于國, 當丙子之際, 三入燕, 九入瀋, 孝廟之友愛天摯, 長枕大被, 不足以爲喩. 然子孫皆死逆獄, 惟一孫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二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한심일기초(漢瀋日記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世子)와 봉림대군(鳳林大君)‧인평대군(麟坪大君)이 심양(瀋陽)에 볼모로 체류할 때 무관 허수(許遂)가 이들을 모시면서 쓴 「심양일기(瀋陽日記)」를 합친 것이기 때문이다. 책의 첫머리에는 심양에 있을 때 군신들이 함께 형제의 의를 맺고 쓴 수계첩(修稧帖)을 필사(筆寫)하...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6)
-
인평대군 / 麟枰大君 [역사/조선시대사]
1622(광해군 14)∼1658(효종 9). 조선 후기의 왕족. 인조의 셋째아들, 효종의 동생, 1628년 7세 때 인평대군에 봉해졌다. 1640년 볼모로 심양에 갔다가 이듬해 돌아온 이후, 1650년부터 네 차례에 걸쳐 사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송계집』·『
-
낙산 / 駱山 [지리/자연지리]
약수터가 있어 산책로로 많이 이용되었으며 동촌이씨(東村李氏)의 세거지를 위시하여 유적이 많았다. 효종 때 왕의 아우 인평대군(麟坪大君)의 거소인 석양루(夕陽樓)를 비롯하여 이화정(梨花亭), 영조시대의 문인 이심원(李心源)이 지은 일옹정(一翁亭) 등은 왕족·문인·가인들이
-
강위빙 / 姜渭聘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1603년 성균관에 입학했다가 학행으로 천거되어 희릉참봉·종묘서봉사·순안현령을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봉림대군·인평대군 등을 배종, 호위하였다. 이듬해 강화성이 함락되자 적에게 포로가 되어
-
강도일기 / 江都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어한명이 병자호란 당시에 작성한 일기. 1책. 필사본.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봉림대군(鳳林大君)과 인평대군(麟平大君) 등은 강화로 피란하였는데, 이때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이었던 필자가 갑곶진(甲串津)에서 강화까지 궁실을 보호
-
윤선도 / 尹善道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유심. 숙부 유기에게 입양됐다. 1628년(인조 6) 별시문과 초시에 장원으로 합격해 봉림대군·인평대군의 스승이 됐다. 문집『고산선생유고』에 한시문이 실려 있고, 별집에도 한시문과 35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