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인천문화원”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에 있는 서양식 건물. [내용]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일명 제물포구락부회관(濟物浦俱樂部會館)이라고 한다. 이 건물은 1876년(고종 13)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 일명 江華島條約)으...
    연계항목인천문화원(구제물포구락부)(仁川文華院(舊濟物浦俱樂部))
  • 박세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받았으며 제14회부터 심사위원으로 활동한 초기 국전출신의 대표적 작가이다. 1963년 경기도문화상을 받았고, 1966년 5‧16민족상 이사, 1967년 경기도문화상 심사위원, 1969년 경기도문화재위원, 1971년 장, 1972년 인천시...
    이칭별칭 동정(東庭)
  • 인천광역시립박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박물관 건물이 소실되었다. 그러나 소장유물과 국립박물관 및 국립민족박물관에서 대여‧전시 중이던 유물을 안전하게 소산시켰다. 1953년 휴전 성립 후 송학동에 위치한 현 (구 제물포구락부)으로 이전하여...
  • 인천광역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재 제8호), 송학동의 (제물포구락부회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동구 창영동의 창영초교(구)교사(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호)‧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호) 등이 있다. 이외에도 건물지로서 중구 북성동의 월미도행궁지(...
    이칭별칭강도|경원|인천

주제어사전(2)

  • /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에 있는 서양식 건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이 건물은 1876년 병자수호조약으로 제물포항이 개항된 후, 인천에 거주하는 독일, 미국, 러시아, 일본 등 외국인이 1891년 사교구락부를 발족시킴으로써 건립되었다. 이 건물은 인천광역시의

  • 구)제물포구락부 / 舊)濟物浦俱樂部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외국인들의 사교모임 장소로 건립된 건물.서양식건물. 시도유형문화재. 제물포 구락부는 1901년(광무 5)에 인천에 거주하던 외국인들의 사교모임 장소로 사용하기 위해 지은 건물로, 일명 제물포 구락부회관(濟物浦俱樂部會館)이라고 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