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52)
사전(399)
- 인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서경(西京)의 관직. [내용] 1178년(명종 8) 서경 관제를 정할 때 처음 설치되었으며, 이속(吏屬)으로 충원된 듯하다. 정원은 2인이다. 직임은 분명하지 않으나 그 명칭으로 보아 관인(官印)과 관계되는 일...
- 노인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校職) 등이 조선시대에 들어와 차츰 소멸되고, 대신 새로운 산직체계를 수립해가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이 노인직은 세종대 이후부터 여러 차례 제수되었다. 노인직은 매년 초에 각 도 관찰사가 여러 읍의 호적에서 80세 이상된 노인을 뽑아 이미 받은 노인...이칭별칭수직
- 이인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미인>에서도 장편과는 다른 측면에서 객관적 서술 및 뛰어난 단편양식적 인식을 보여준다. 이처럼 문학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이인직은 최초의 신소설 작가로서 구소설과 근대소설로 이어지는, 소설의 전통적 연결을 시도하고 확립한 주요 작가이다. 물론, 계몽주의...이칭별칭 국초(菊初)
- 궁인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왕과 왕세자의 후궁들을 지칭했다. 고려시대에는 원주(院主)ㆍ궁주(宮主)ㆍ옹주 등의 궁인직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왕의 후궁으로 빈(嬪)ㆍ귀인(貴人)ㆍ소의(昭儀)ㆍ숙의(淑儀)ㆍ소용(昭容)ㆍ숙용(淑容)ㆍ소원(昭媛)ㆍ숙원(淑媛) 등의 직명이 있었다. 왕세자의 후궁으로...
- 노인직(老人職)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노인직 노인직 老人職 노직(老職), 수직(壽職) 산직(散職)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강석화 [정의] 80세 이상의 노인에게 제수하던 산직(散職). ...동의어노직(老職), 수직(壽職) | 관련어산직(散職)
논문(1)
- 국제금융기구의 대북개발지원의 방향(국제금융기구의 대북지원계획안 실증분석)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저자 : 이한희 | 게재정보 : 국제지역연구
고서·고문서(439)
- 1 第一統統首崔仁直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64년_청양면(靑良面) 1864년 청양면(靑良面) 第三十一山下里 1 第一統統首崔仁直 第一戶 幼學崔仁直年伍拾乙亥本慶州父學生之默祖學生翼龍曾祖學生仲伯外 祖學生吳載厚本海州妻김氏年肆拾玖丙子本김海父學生禹貞祖學生得寶曾 祖學生俊三外祖學生嚴瓊燁本寧越子童蒙斗滿年...연도_면이름1864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三十一山下里
- 임진년 기복인(朞服人) 이인직(李寅直)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1901년 11월 29일자 일본의 都新聞 2면(5089호)에 실린 기사이다. 즉 이인직이 都新聞社에 견학하러 가서 감사 인사말과 동시에 세계문명을 언급하면서 신문사의 역할을 말하고 있다. 덧붙여 조선에는 황성신문이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자료구분민속 | 저자이인직 | 출처都新聞 | 발행년도1901
- 이인직이 일본에 채류하고 있었을 때 1901년 12월 18일자 都新聞 4면(5105호)에 게재했던 수필이다. 여기서 이인직은 여순과 만주지역뿐만이 아니라 세계정세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자료구분민속 | 저자이인직 | 출처都新聞 | 발행년도1901
- 朝鮮人の新年の祝賀 [근대초기 외국인 한국고전학 역주자료집성 편찬 사업-외국인 한국고전학 서지DB구축, 주요 논저 번역, 외국어 번역 고소설 역주 | 부산대학교]1902년 1월 2일자 都新聞 6면(5116호)에 실린 기사로 조선에서 사용하는 새해 인사를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즉 보통 쓰는 새해 인사, 정중한 표현으로서의 새해 인사, 친구나 여자끼리의 말할 때 쓰는 새해 인사를 소개하고 있다.자료구분민속 | 저자이인직 | 출처都新聞 | 발행년도1902
기초학문(24)
- ?대한신문(大韓新聞)?과 이인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상경, 게재일 : 201445535 이상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회 2014 ?대한신문(大韓新聞)?과 이인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대구‧경북지역의 외국인직접투자 실태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64292 한국연구재단 동일문화장학재단 2011 대구‧경북지역의 외국인직접투자 실태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신소설 출현의 역사적 배경 - 이인직과 [혈의누]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구장률, 게재일 : 200641039 구장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6 신소설 출현의 역사적 배경 - 이인직과 [혈의누]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외국인직접투자의 기업생산성 효과분석:투자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홍식, 게재일 : 201148408 이홍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통상학회/한국국제통상학회 2011 외국인직접투자의 기업생산성 효과분석:투자유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외국인직접투자의 타겟팅 전략과 글로벌 클러스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진섭, 게재일 : 201137916 정진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무역학회/한국무역학회 2011 외국인직접투자의 타겟팅 전략과 글로벌 클러스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89)
- 金仁稷(泰東號)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仁稷(泰東號) 신의주 金仁稷 泰東號 若竹町 23 - - 곡물 - 20 -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仁稷(泰東號)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곡물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金仁稷(泰東號)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仁稷(泰東號) 신의주 金仁稷 泰東號 若竹町 23 - - 곡물 - 20 -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仁稷(泰東號)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곡물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李仁直(國本洗布所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仁直(國本洗布所 ) 수원 李仁直 國本洗布所 梅香町 53 - - 세탁업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仁直(國本洗布所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세탁업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직인직어, 이권화한 신문판권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1) 사상검열 및 취체 문제 직인직어, 이권화한 신문판권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32년 7월 3일 주요한 동광 제35호 평론 4 이 글은 조선에서의 언론의 자유가 이권적 형태 하에서 형식적으로 변할 것을 경계함. 필자는 조선이...대표표제어직인직어, 이권화한 신문판권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주요한 | 출처동광 제35호 | 키워드언론의 자유, 조선 언론 자유, 내부 의견 다툼, 이론싸움
- 경상 남도 죵두 무위원 리윤션에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상 남도 죵두 무위원 리윤션에 리인직으로 명 고 농상공부 기 리해졍은 농상공부 광산국장을 임 고 봉상샤쥬 윤관쥬로 농상공부 기를 임다게재일1900년 2월 8일 | 기사분류관보
멀티미디어(95)
- 간 2주차. 전쟁과 근대 세계: 이인직의 『혈의 누』를 중심으로 3주차. 농민의 시간과 공간: 이기영 소설을 중심으로 4주차. 식민지 ‘주의자’들과 이국: 이효석의 소설을 중심으로 5주차. 제국 한복판에서: 김사량의 「빛 속에서」를 중심으로 6주차. 근대 도시 경성:강좌제목한국 현대소설의 시공간 | 강의자권보드래 교수, 최은혜 교수, 고지혜 교수
- 간 2주차. 전쟁과 근대 세계: 이인직의 『혈의 누』를 중심으로 3주차. 농민의 시간과 공간: 이기영 소설을 중심으로 4주차. 식민지 ‘주의자’들과 이국: 이효석의 소설을 중심으로 5주차. 제국 한복판에서: 김사량의 「빛 속에서」를 중심으로 6주차. 근대 도시 경성:강좌제목한국 현대소설의 시공간 | 강의자권보드래 교수, 최은혜 교수, 고지혜 교수
- 간 2주차. 전쟁과 근대 세계: 이인직의 『혈의 누』를 중심으로 3주차. 농민의 시간과 공간: 이기영 소설을 중심으로 4주차. 식민지 ‘주의자’들과 이국: 이효석의 소설을 중심으로 5주차. 제국 한복판에서: 김사량의 「빛 속에서」를 중심으로 6주차. 근대 도시 경성:강좌제목한국 현대소설의 시공간 | 강의자권보드래 교수, 최은혜 교수, 고지혜 교수
- 간 2주차. 전쟁과 근대 세계: 이인직의 『혈의 누』를 중심으로 3주차. 농민의 시간과 공간: 이기영 소설을 중심으로 4주차. 식민지 ‘주의자’들과 이국: 이효석의 소설을 중심으로 5주차. 제국 한복판에서: 김사량의 「빛 속에서」를 중심으로 6주차. 근대 도시 경성:강좌제목한국 현대소설의 시공간 | 강의자권보드래 교수, 최은혜 교수, 고지혜 교수
- 석」, 『전문경영인연구』 61, 167-187. 배연호 (2018), 「중동 주요국 중장기 경제개발계획과 정유산업 정책 분석: 관련기업 CEO의 관점에서」, 『전문경영인연구』 56, 217-238. 배연호 (2015), 「OECD의 대중국 외국인직접투자와 교역량 결강좌제목한국의 에너지산업 | 강의자배연호 교수
기타자료(5)
- 김인직;金麟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3268 북한 평북 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3-07 회지 제2호 1934―03―25 97면 5. 제4회 졸업생 (58) 김인직;金麟稷 평안북도 용천군 양광면 산태동학교소재지역평북 | 학교명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인직;安仁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9219 남한 충남 공주고등여학교 2-07 졸업증서대장 1945―03 18면 안인직;安仁稷 공주군 공주읍 욱정 281 제6회 1937년 3월 31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본인직;松本仁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212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68면 송본인직;松本仁直 고령군 고령면 延詔洞 제24회 194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공법인직업훈련원교직원에대한정근수당지급질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공법인직업훈련원교직원에대한정근수당지급질의 공법인직업훈련원교직원에대한정근수당지급질의 교육 문헌 교원 보수ㆍ복지 평생교육 직업훈련범주1교원 | 형식문서 | 한글저자노동부직업훈련국장 | 사료철명법령질의해석
- 습관화를 기도하는 건강 생활 지도의 실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이인직 1959 12 교육연구 46호 대구시교육연구회 66-76,...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인직 | 사료철명교육연구
주제어사전(20)
-
인직 / 印直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서경의 관직. 1178년(명종 8) 서경 관제를 정할 때 처음 설치되었으며, 이속으로 충원된 듯하다. 정원은 2인이다. 직임은 분명하지 않으나 그 명칭으로 보아 관인(官印)과 관계되는 일을 맡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뒤 1252년(고종 39)에 서경 관제가
-
궁인직 / 宮人職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왕이나 왕세자의 후궁 및 궁중 여관(궁녀)들의 내명부 직함. 내명부직 혹은 내직이라고도 불렀는데, 후궁을 내관, 궁녀를 궁관이라고도 불렀다. 궁인은 궁궐내의 모든 여인들을 의미했으나, 보통은 왕과 왕세자의 후궁들을 지칭했다.
-
이인직 / 李人稙 [문학/현대문학]
1862-1916. 신소설작가, 언론인, 신극운동가. <국민신보>, <만세보> 주필, <대한신문>을 창간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언문일치 신소설 작가로 <혈의 누>를 발표, 신연극운동의 선구자로 <은세계>를 원각사 무대에 올렸다. 작품 <귀의 성>, <치악산> 등이
-
유도원 / 柳道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21∼1791). 학행으로 명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1790년(정조 14) 노인직으로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주석학에 밝았다. 저서로《노애집》·《퇴계선생문집고증》·《일경록》 등이 있다.
-
소년한반도 / 少年韓半島 [문학/현대문학]
1906년에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소년잡지. 1906년 11월에 창간되어 1907년 4월까지 통권 6호가 발행되었다. 주요기사로는 이해조의 소설 「잠상태」를 연재하고, 이인직의 「사회학」, 원영의의 「교육신론」, 정교의 「국제공법」, 조중응의 「농업대지」, 유길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