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인조반정” 에 대한 검색결과 1,2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32)

사전(1,131)

  • 계해정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전말을 일기체로 기록한 책. [내용] 1책. 필사본. 저자 미상. 기록된 내용 중에 조선왕조실록에 없는 것도 있어서, 당시의 사관이나 왕명을 출납하는 승정원의 관리가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을 보면 먼저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다. 광해군은 의관(醫官) 안국신(安國臣)의 집에 숨었으나 곧 체포되었다. 대비 김씨는 광해군의 죄를 들어 처형하려 하였으나, 새 왕의 간청으로 서인으로 내리는 동시에 강화로 귀양보내고, 대북파의 이이첨‧정인홍‧이위경 등 몇십 명을 참형에 처하고 2...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3년 서인(西人) 등이 광해군 및 대북파(大北派)를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 종(倧)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
    정의1623년 서인(西人) 등이 광해군 및 대북파(大北派)를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 종(倧)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Injo Banjeong | MR표기Injo Panj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계해반정(癸亥反正), 계해정사(癸亥靖社), 인조정변(仁祖政變) 인조(仁祖), 반정(反正), 정변(政變), 신경진(申景禛), 김류(金瑬) 정치정치운영/정변 사건 대한민국 조선 이기순
    동의어계해반정(癸亥反正), 계해정사(癸亥靖社), 인조정변(仁祖政變) | 관련어인조(仁祖), 반정(反正), 정변(政變), 신경진(申景禛), 김류(金瑬)
  • 김개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러한 권세를 힘입어 매관매직을 일삼는 등 국정을 크게 문란시켰다. 이에 윤선도(尹善道)‧이회(李洄) 등이 여러 차례 상소하여 논핵하였으나, 도리어 그들이 유배되는 등 광해군 일대를 통하여 권세를 누리었다. 1623년(광해군 15) 이 일어나자 반정군...

고서·고문서(85)

  • 1841년 노광석(盧光奭) 등 소지(所志)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41년 윤 3월에 전라도 남원부에 사는 노광석 등 62인이 연명하여 예조판서에게 올린 상서(上書)이다. 의 정사공신 1등에 녹훈되었고, 이괄의 난 때에는 진무공신 2등으로 녹훈된 박세중이 아직 포양(褒揚) 받지 못한 것을 애석해 하며 그를 포양할 것을 건의...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남원향토박물관
  • 1841년 노광석(盧光奭) 등 소지(所志) 3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41년 7월에 전라도 남원부에 사는 노광석 등 전라도 유생 35인이 연명하여 남원부사에게 올린 상서(上書)이다. 의 정사공신 1등에 녹훈되었고, 이괄의 난 때에는 진무공신 2등으로 녹훈된 박세중이 아직 포양(褒揚) 받지 못한 것을 애석해 하며 그를 포양할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남원향토박물관
  • 1842년 노광석(盧光奭) 등 소지(所志)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42년 7월에 전라도 남원부에 사는 노광석 등 전라도 유생 30인이 연명하여 암행어사에게 올린 상서(上書)이다. 의 정사공신 1등에 녹훈되었고, 이괄의 난 때에는 진무공신 2등으로 녹훈된 박세중이 아직 포양(褒揚) 받지 못한 것을 애석해 하며 그를 포양할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남원향토박물관
  • 27550 B027550 광해 光海 인물 京畿道邑誌 南陽郡邑誌 南陽郡 科舉 第爲司諌時爾瞻造忍輩主廢母妃論抗章力斥其言甚切直棄官而終於家 贈都承㫖 崔皥 東立之子官爲都事 崔皦東立之子年十四連䘮父母六年居夏一遵禮法遂拋舉業專心學問 仁廟朝薦拜齋郞不就 南慄 冝寕人寓居府西登谷弘治...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昭武寧社錄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된 반란으로, 당시 조정(朝廷)이 후금(後金)과 강화(講和)를 맺는 등 주화(主和)의 방향으로 돌아서자 ‘주화신(主和臣)의 처단’을 빌미로 계획된 거사였다. 한편 유효립 모반사건은 () 이후 반정공신(反正功臣)들의 정국운영에 대한 불만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구술자료(2)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원두표 이야기에 계속해서 들려준 것이다. 안평국씨가 “야담에도 있지만”이라고 한 것을 보아 야사에서 읽은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조사일시1979-02-25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여주 | 제보자안평국
  • 과 이기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전에 월사선생담 등 많은 인물담을 제공해 주었는데 이번에는 인조반정 시에 큰 역할을 했던 이기축(李起築)에 대한 야사를 재미있게 얘기해 주었다. 제보자는 인조 반정에 대한 얘기만으로도 며칠밤을 새우며 얘기할 자신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조사일시1979-07-03 | 조사장소서울시 도봉구 수유3동 | 제보자김장수

기초학문(2)

  • 17,8세기 한중관계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34697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02 17,8세기 한중관계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계해정변()의 명분과 그 인식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59699 한국연구재단 경상대 남명학연구소 2008 계해정변()의 명분과 그 인식의 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12)

주제어사전(34)

  • / [정치·법제/정치]

    1623년(광해군 15) 이귀 등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집권당인 이이첨 등의 대북파를 몰아내고, 능양군 종을 왕으로 옹립한 정변. 광해군의 폐모살제의 사건은 지금까지 대북파에게 눌려 지내던 서인 일파에게 반동 투쟁의 중요한 구실을 주었다. 서인의 이귀·김자점·김류·이

  • 계해정사록 / 癸亥靖社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의 전말과 그 후 관료의 교체상황 등을 일기체로 기록한 역사서. 1책. 필사본. 저자 미상. 기록된 내용 중에 조선왕조실록에 없는 것도 있어서, 당시의 사관이나 왕명을 출납하는 승정원의 관리가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내용을 보면 먼저 이 시작되는

  • 관향사 / 管餉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의 식량을 관리하던 관원. 1623년(인조 1) 군사의 식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후의 상황은 북으로는 오랑캐와 싸우는 명나라를 돕는 원병을 공급하여야 했고, 남으로는 임진왜란 이후 왜에 대한 경계를 위하여 군인들이 필요하였다.

  • 계해반정록 / 癸亥反正錄 [문학/고전산문]

    의 전말을 적은 작자·연대 미상의 기록. 책의 내용은 인목대비(仁穆大妃)에 대한 소개로부터 시작하여 선조가 죽을 때 일곱 대신에게 내린 유교의 내용, 광해군의 즉위, 폐모대론(廢母大論), 대비의 서궁유폐, 의 전조(前兆), 반정의 진상, 반정 후 공신들

  • 금군삼청 / 禁軍三廳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금군인 내금위·겸사복·우림위를 합쳐서 부르던 칭호. 1623년 을 주도한 공신세력에 의해 호위청이 설치되어 본래의 금군인 내삼청은 그 기능이 약화되었다. 금군삼청이 1755년(영조 31)에는 용호영(龍虎營)으로 개칭되었으나, 그 조직이나 기능에는 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