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왕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1)
사전(127)
- 인왕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누상동‧사직동과 서대문구 현저동‧홍제동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조선 개국 초기에 서산(西山)이라고 하다가 세종 때부터 인왕산이라 불렀다. 인왕이란 불법을 수호하는...이칭별칭서산
- 인왕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된 것이다. 그 화첩의 강희언 자서에 “삼청동 정선의 옆집에 살았는데 정선에게 그림을 배웠다.”고 쓰여 있었다 한다. 그림의 오른편 상단에는 ‘늦은 봄 도화동에 올라 인왕산을 바라보다(暮春登桃花洞望仁旺山)’라는 화제(畫題)가 있다. 이 그림은 화제처럼 자하문(紫...
- 인왕산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의 화가 강희언(姜熙彦, 1710-1784)의 인왕산(仁王山) 실경산수화.정의조선 후기의 화가 강희언(姜熙彦, 1710-1784)의 인왕산(仁王山) 실경산수화.[두산백과] | 문광부표기Inwangsan do | MR표기Inwangsan t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인왕산국사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인왕산에 있는 신당. 1동(棟). [내용] 중요민속자료 제28호. 서울을 수호하는 신당으로, 현재 인왕산 기슭의 선바위 밑에 위치하고 있으나, 원래는 남산 꼭대기에 있었다. 따라서 그 연혁은 남산...이칭별칭국사당 | 연계항목인왕산국사당(仁旺山國師堂)
- 자수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에 있었던 궁궐. [내용] 풍수지리가인 성지(性智)와 시문용(施文用) 등에 의하여 인왕산왕기설(仁旺山王氣說)이 강력히 제기되자 광해군이 인왕산의 왕기를 누르기 위하여 창건하...이칭별칭자수원(慈壽院)
고서·고문서(85)
- 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대표표제어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서울, 경기도, 무장유격대, 총격전, 전투, 삐라
- 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대표표제어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경기도, 무장유격대, 공격, 총격전
- 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대표표제어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유격대, 경기도, 전투
- 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대표표제어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서울, 무장유격대, 총격전
- 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대표표제어서울 인왕산, 경기도 의정부, 고양군 신도면 등에 무장유격대가 또다시 진출하여 괴뢰군과 총격전 (24일 아침 7시 현재 전투계속)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의정부, 총격전, 무장유격대
구술자료(1)
- 한국전쟁 전투체험과 북진의 경험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는 밀고 올라가고 그래 포위작전 한기라이. 그래가지고 서울서 인자 한 삼일 있었져. 한 일주일 있었습니다. 일주일서. 이제 어디 있었냐믄은 지금 청와대 뒷산,인왕산. [조사자 : 인왕산.] 인왕산에서 한 일주일 있었어요. 그래가지고 다시 이제 공격이라 올라간 건 그조사지역경남 하동 | 조사일2012년 1월 10일
신문·잡지(47)
- 佛岩=仁王山上 (불암=인왕산 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石田富造 약력미상 =tom=とみ 경성일보 전속작가작품명_원문佛岩=仁王山上 | 게재일19160209 | 게재판조 | 게재면01 | 게재단3-4
- 민세안재홍전집 : 文章奉仕의 難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882 1935 5 4 14 1 安 在 鴻 안재홍 民世筆談(一) 文章奉仕의 難 文神을 차저 漢山에! 신문 조선일보 석간 1면 3단 사설 문화 직접자료 1권 朝鮮日報, 文神, 仁王山 A1935050...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植林模範定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상공부에셔 식림모범쟝 긔지 운동 인왕산 삼쳥동 안현 쳐로작뎡고한셩부에 훈령기 그근쳐에 셩들이 긔지안에 혹 식목거나 일초일목을 작벌거나 집을건츅거나 불을놋등졀을 각 경무셔에 신칙야일졀엄금라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인민군_1951_0120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서춘식 조선인민군 제1신문사 김찬복 리승주동무 소속 구분대의 고세만 박격포 분대원들은 패주하는 적을 추격섬멸하는 보병들과 긴밀하게 협동하여 서울 부근 ○○지점까지 당도하였다. 적들은 서울부근의 잔존병력을 규합한 후 인왕산 좌우측고지에 각종 화점과 철조망...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120_03 | 책임주필서춘식
- 시인_1970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아름다운 시 박지수 49 인왕산에서 홍완기 56 나 오순탁 67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기타자료(1)
- 서울 광화문 광장 세종대왕 동상 건립부지 내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32″, 동경 126°57′2″이다. 극남은 북위 37°33′48″, 동경 126°58′7″, 극동은 북위 37°34′22″, 동경 127°1′30″이다. 북악산(342m)을 주산(主山)으로 하는 종로구는 동쪽에 낙산(111m), 서쪽에 인왕산(338m), 남쪽의 남...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한강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서울특별시
주제어사전(11)
-
인왕산 / 仁王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누상동·사직동과 서대문구 현저동·홍제동에 걸쳐 있는 산. 조선 개국 초기에 서산(西山)이라고 하다가 세종 때부터 인왕산이라 불렀다. 인왕이란 불법을 수호하는 금강신(金剛神)의 이름인데, 조선왕조를 수호하려는 뜻에서 산의 이름을 개칭하였다고 한
-
인왕산 수성동 계곡 / 仁王山水聲洞溪谷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인왕산 동쪽에 있는 계곡. 2010년 10월 21일에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1호로 지정되었다. 수성동 계곡은 조선시대에 선비들이 여름철에 모여 휴양을 즐기던 계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 겸재 정선이 그린 『장동팔경첩(壯洞八景帖)』의 「수성동」에
-
남산 / 南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 경계에 있는 산. 높이 265.2m. 대부분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쪽의 북악산, 동쪽의 낙산(駱山), 서쪽의 인왕산(仁旺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다. 목멱산(木覓山)·종남산(終南山)·인경산(仁慶山 또는 引慶山)·열경산(列慶
-
무악재 / 毋岳─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과 홍제동 사이에 있는 고개. 무악재는 안산(鞍山, 296m)과 인왕산(仁王山, 338m) 사이에 있으며, 의주가도(義州街道)인 국도 1호선이 지나고 있다. 안산과 인왕산은 화강암 산지이고, 무악재는 두 산 사이에 형성된 안부(鞍部)이다. 무
-
낙산 / 駱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동대문구·성북구에 걸쳐 있는 산. 산의 모양이 낙타의 등과 같아 낙타산 또는 낙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한양도성의 동산(東山)에 해당하여 서쪽의 인왕산(仁旺山)에 대치되는 산이다.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이루어졌다. 예전에는 숲이 우거지고 깨끗한 수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