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왕도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8)
- 인왕도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7회의 왕실이 중심이 된 인왕도량을 열었다. 이 법회는 『인왕경(仁王經)』의 내용에 의거하여 개최된다. 『인왕경』은 인왕(仁王)이 16대국의 국왕에게 교시한 바와 같이, 부처님이 제왕들을 대상으로 국토의 안일을 위하여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의 심법(深法)을 설한...
- 진병의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인왕도량(仁王道場)ㆍ금광명경도량(金光明經道場)은 일찍부터 진병의식으로 행하여졌고, 명랑(明朗)에 의하여 열렸던 문두루도량(文豆婁道場)도 당병(唐兵)을 물리치기 위하여 열렸던 진병도량이었다. 고려시대에도 인왕도량ㆍ금광명경도량 등 수많은 진병의식이 개최되었다. 특히...
- 진호국가도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절차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법회의 목적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신라시대의 진호국가도량으로는 인왕도량ㆍ금광명경도량ㆍ사천왕도량이 있었으며, 고려시대에는 인왕도량ㆍ금광명경도량 등과 함께 마리지천도량ㆍ제석도량ㆍ화엄신중도량 등의 밀교의식이 진호국가도...
- 봉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에 있었던 절. [내용] 북천 부근에 있었다. 신라 성덕왕이 태종무열왕을 위하여 봉덕사를 짓고 인왕도량(仁王道場)을 개설하였다고 한다. 신라 제35대 경덕왕이 부왕 성덕왕을
- 사대연성법석(四大緣成法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대연성법석 사대연성법석 四大緣成法席 호국법회(護國法會) 소재도량[消災道場], 인왕도량[仁王道場], 금강경도량[金剛經道場], 금광명경도량[金光明經道場], 백고좌법회(百高座法會), 인왕경(仁王經) 문화종교/불교 의식 행사 ...상위어호국법회(護國法會) | 관련어소재도량[消災道場], 인왕도량[仁王道場], 금강경도량[金剛經道場], 금광명경도량[金光明經道場], 백고좌법회(百高座法會), 인왕경(仁王經)
주제어사전(1)
-
인왕도량 / 仁王道場 [종교·철학/불교]
신라와 고려시대에 열렸던 불교의례. <인왕반야경>의 내용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 경의 호국품에는 국가가 위태롭거나 재난을 당했을 때, 100개의 불상과 100개의 보살상을 모시고 100명의 법사를 초청하여 <인왕반야경>을 감독하도록 권하고 있다. 신라시대에 최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