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인심도심설” 에 대한 검색결과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

사전(4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유학의 심성론(心性論)에서 심(心)의 양면성에 관한 학설. [내용] 사람의 마음이란 매우 오묘해서 그 실체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마음에 대한 관심은 오랜 것으로 보이며, 의 문제도 그 중의 하나이다. 중국 철학사에서
  • 사단칠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윤휴(尹鑴, 1617-1680)가 이기(理氣)‧심성(心性)의 문제에 대하여 서술한 글.
    정의조선 후기의 학자 윤휴(尹鑴, 1617-1680)가 이기(理氣)‧심성(心性)의 문제에 대하여 서술한 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adan chiljeong insim dosimseol | MR표기Sadan ch’ilchŏng insim tosims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남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딸이다.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의 문인이다. [내용] 어려서 이항(李恒)과 함께 ()을 토론하며 학문에 열중하였다. 그리고 정철(鄭澈)ㆍ변성온(卞成溫)ㆍ기효간(奇孝諫) 등과도 교유하였는데, 특히 이황은 ‘동방의 도학을 전수할 사...
    이칭별칭 장보(張甫), 계헌(季憲)| 고반(考槃), 정재(靜齋)
  • 덕양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것으로 되어 있다. 서(書)의 「상농암김선생서(上農巖金先生書)」는 별지로 나흠순(羅欽順)의 ()에 관해 질문한 내용이다. 이이(李珥)가 나흠순의 학설을 높이 평가한 반면, 이항(李恒)과 기대승(奇大升)은 이를 맹렬히 반대하는 입장을 취한 것...
  • 가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 하였다. 「()」에서는 마음이 성명의 바름(性命之正)에서 발하면 도심이 되고, 형기의 사사로움(形氣之私)에서 발하면 인심이 되는 까닭에 도심은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이(理)요, 인심은 이목구비의 욕(欲)이라고 말한다. 먹고 입고 싶은 것은...

고서·고문서(11)

  • 기정익(奇挺翼)의 『송암선생문집(松巖先生文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리에 대해서 읊조린 것, 교유하였던 金亨祉, 朴光後, 朴行重등에 대한 만사가 있다. 권2는 서간문으로 스승인 송시열, 광주의 박상현등과의 편지가 많고 주로 도기, 음양, 미발지중, , 태극무극 설 등 주로 성리학의 기본개념에 대한 토론이 많다...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自人於天理至終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kh_00059 문화‧생활 작품 조선 근사록질서(近思錄疾書) 卷十二 自人於天理至終 自人於天理至終 이익(李瀷, 1681~1763) HCRT_12:3:1 凡事理當然, 隨感自應者曰“天機”, 所謂“原於性命之正”也. 此與相似. HCRT_12:3:2 心有所喜...
    서명근사록질서(近思錄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心道心圖說【壬午○奉敎製進】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月, 奉敎製進《》’에 근거하여 이 자료가 壬午年 7월에 작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紫雲書院)廟庭碑 (尤菴)(宋時烈)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趙光祖、李滉宜許從祀文廟。” 俄移吏曹, 專以淸仕路、收人才爲務, 擧遺逸充憲職, 薦學行爲師儒, 揀吏才以試郡縣, 獎恬退以礪名節, 四方翕然風動, 而忌嫉者益衆。特陞贊成, 以命撰進《》、《學校模範》。皇朝學士黃洪憲、王敬民來頒慶詔。先生儐于境上, 兩使見之, 竦然起敬, 每稱“栗谷...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포헌선생문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나눈 얘기들을 정리하고 있는데 그가 狂者라고 하지만 실은 狂者가 아니라는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다. 安東權氏族譜重刊跋 (2) 安東權氏族譜를 重刊하면서 쓴 跋文이다. 안동권씨족보 편찬・간행의 역사, 重刊 경위 등에 대해 시간 순으로 서술하고 있다. 題屛谷後 (...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3)

  • 퇴계와 율곡의 -주자 심론의 한국적 전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현희, 게재일 : 2014
    53270 전현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퇴계와 율곡의 -주자 심론의 한국적 전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을 둘러싼 주자학과 양명학의 공공성 확보논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4204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회 2004 을 둘러싼 주자학과 양명학의 공공성 확보논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을 둘러싼 주자학과 양명학의 공공성 확보논쟁:보편이념의 구현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미영, 게재일 : 2004
    10789 김미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회 2004 `‘을 둘러싼 주자학과 양명학의 공공성 확보논쟁:보편이념의 구현방식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성리학에서 심을 인심과 도심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이론. 심이 천리에 따라 나오는 것을 도심이라 하고, 인욕에 따라 나오는 것을 인심이라 한다. 조선조에서는 사단칠정론과 함께 주요 철학적 문제로 등장하였다. 이황은 인심을 칠정으로, 도심을 사단으로 보았다. 그리고 인심은

  • 이현일 / 李玄逸 [종교·철학/유학]

    1627-1704. 조선 숙종때의 성리학자. 퇴계학파 중 호파의 학통을 이어 받았다. 이황 학설에 대한 율곡학파의 비판에 대해 역비판을 가했다. <율곡이씨사단칠정서변>은 이이의 과 기발이승일도설을 철저히 비판한 글이다. 저서에 <갈암집>이 있다.

  • 덕양유고 / 德陽遺稿 [종교·철학/유학]

    . 서(書)의 「상농암김선생서(上農巖金先生書)」는 별지로 나흠순(羅欽順)의 ()에 관해 질문한 내용이다. 이이(李珥)가 나흠순의 학설을 높이 평가한 반면, 이항(李恒)과 기대승(奇大升)은 이를 맹렬히 반대하는 입장을 취한 것에 대해 상세한 가르침을 구

  • 성학집요 / 聖學輯要 [종교·철학/유학]

    는 것이였다. 이 책은 성리학에 대한 지침서로서 이이의 이기설, 사단칠성설, 에 대한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