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선왕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5)
사전(101)
- 인선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생은 1남 5녀로 현종과, 숙안(淑安)ㆍ숙명(淑明)ㆍ숙휘(淑徽)ㆍ숙정(淑靜)ㆍ숙경(淑敬) 등 공주이다. 경렬명헌(敬烈明獻)의 휘호(徽號)가 올려졌다. 시호는 효숙경렬명헌인선왕후(孝肅敬烈明獻仁宣王后)이고, 능호는 영릉(寧陵)으로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에 있다.이칭별칭 인선(仁宣)
- 인선왕후언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효종 왕비 인선왕후의 한글 편지. [구성 및 형식] 인선왕후가 다섯 공주 등에게 내린 언간. 곧 한글 편지로 둘째 공주 숙명(淑明)에게 53건, 셋째 공주 숙휘(淑徽)에게 16건, 기타 1건 등 모두 70건이다. [내용]
- 영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에 있는 조선 제17대 왕 효종과 비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張氏)의 능. [내용] 사적 제195호. 능호는 1674년(현종 15)에 정하였다. 영릉은 현 동구릉(東九陵)...
- 백광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때 치종(治腫) 교수로 내의원 의관을 겸하였다. 또, 현종의 항종(項腫)과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발제종창(髮際腫瘡), 숙종의 후종(喉腫)과 제종(臍腫)을 침으로 치료하였다. 1684년(숙종 10) 강령현감(康翎縣監), 1691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이칭별칭 숙미(叔微)
- 경사전(敬思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사전 경사전 敬思殿 혼전(魂殿) 인선왕후(仁宣王后) 왕실왕실의례/흉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이현진 [정의] 창경궁에 있던 효종의 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신주를 모신 혼전(魂殿).상위어혼전(魂殿) | 관련어인선왕후(仁宣王后)
고서·고문서(104)
- 인선왕후국휼등록(仁宣王后國恤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인선왕후 국상을 기록한 등록으로는 이 책이 유일하다. 실록에 표현된 국상은 해당 국상을 진행하는 주체의 의도가 드러나고 다른 사안이 함께 거론되어 해당 시기의 정치적 흐름이 나타나는 반면, 이 등록은 여타 등록과 마찬가지로 국상 그 자체를 시간 흐름에 따라 진행된 바...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74년 인선왕후(仁宣王后) 시호망단자(諡號望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단자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 1674년 인선왕후(仁宣王后) 휘호망단자(徽號望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단자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 인선왕후국장도감의궤(仁宣王后國葬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인선왕후(1618~1674)의 국장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인선왕후는 조선의 제17대 왕 효종(孝宗)의 비이며, 현종(顯宗)의 어머니이다.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장유(張維)의 딸이다. 1631년(인조9)봉림대군(鳳林大君)과 가례(嘉禮)를 올리고 풍안부부인(豊安府...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인선왕후책례도감의궤(仁宣王后冊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651년(효종2)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를 세자빈에서 왕비로 책봉한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인선왕후는 조선의 제17대 왕 효종(孝宗)의 비이자, 제18대 왕 현종(顯宗)의 어머니이다.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장...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주제어사전(18)
-
인선왕후 / 仁宣王后 [정치·법제/법제·행정]
1618(광해군 10)∼1674(현종 15). 조선 제17대 왕 효종의 비.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이며, 어머니는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딸이다.
-
인선왕후언간 / 仁宣王后諺簡 [문학]
효종 왕비 인선왕후의 한글 편지. 인선왕후가 다섯 공주 등에게 내린 언간. 곧 한글 편지로 둘째 공주 숙명(淑明)에게 53건, 셋째 공주 숙휘(淑徽)에게 16건, 기타 1건 등 모두 70건이다. 숙명공주에게 쓴 53건은 현존하는『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에 들어 있고
-
인선왕후시호등망단 / 仁宣王后諡號等望單 [정치·법제]
효종의 왕비이자 현종의 모후인 인선왕후 덕수장씨가 승하하자 시호와 전호를 의정하기 위해 1674년 3월 빈청에서 국왕의 계하를 바라며 올린 대행왕대비시호등 망단. 전자는 삼망을 갖춘 것이고 후자는 단망의 형태이다. 시호의 삼망 아래에는 각각의 글자에 대한 뜻풀이를 현
-
인선왕후존호망단 / 仁宣王后尊號望單 [정치·법제]
효종의 왕비이자 현종의 모후인 왕대비 인선왕후 덕수장씨에게 존호를 올리기 위해 1661년(현종 2) 4월 23일 빈청에서 그 존호를 '효숙(孝肅)'이라 의정하고 현종의 재가를 바라며 올린 왕대비 존호 망단. 이 망단은 '효숙' 두 글자만 써서 단망으로 올린 형태이며,
-
인선왕후휘호망단 / 仁宣王后徽號望單 [정치·법제]
인선왕후 덕수장씨가 승하하자 시호를 의정하여 올리고 뒤이어 휘호를 의정하기 위해 1674년 4월 빈청에서 국왕의 계하를 바라며 올린 대행왕대비휘호 망단. 이 망단은 휘호로 '경렬명헌(敬烈明獻)' 한 가지만을 써서 단망으로 올린 형태이며, 각각의 글자 아래에 그 의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