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인민위원회” 에 대한 검색결과 6,4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01)

사전(14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환되어 만들어졌다. [연원 및 변천] 해방 직후 결성된 건국준비위원회가 미군의 진주를 눈앞에 둔 1945년 9월 6일 조선인민공화국으로 개편됨에 따라 각지의 건국준비위원회 지방조직들을 비롯한 대부분의 자생적 조직들이 로 개편하였다. 초기 건국준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주의 국가의 행정 집행 기관
    정의사회주의 국가의 행정 집행 기관 | 문광부표기Inmin Wiwonhoe | MR표기Inmin Wiwŏn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지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지방행정기관. [내용]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데, 도(직할시)‧시(구역)‧군 는 해당 지방인민회의 휴회중에는 지방주권기관과 행정집행의 기능을 갖는다. 임무와 권한은 다음과 같다. ① 인민회의
  • 중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앙의 위원은 종래 당정치국원(후보위원 포함), 비서, 정무원 총리, 부총리 등 노동당의 핵심간부와 정무원의 고위간부들이 맡았으나, 1990년 최고인민회의 제9기 1차회의서 당‧정 고위간부를 배제하고 도(직할시) 당책임비서 겸 인민위원장 전원을 위원으로 선출,...
  • 중앙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72년 12월에 신설되었다가 1998년 9월에 폐지된 북한의 최고 지도기관.
    정의1972년 12월에 신설되었다가 1998년 9월에 폐지된 북한의 최고 지도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ungang Inmin Wiwonhoe | MR표기Chungang Inmin Wiwŏn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6)

  • <《김일성원수님 만세!》, 《우리도 무장을 들고 싸움에 나서자!》>, (울진지구내 청장년들 무장유격대입대를 집단적으로 탄원 봉화군에서 무장유격대와 주민들이 군 창설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김일성원수님 만세!》, 《우리도 무장을 들고 싸움에 나서자!》>, (울진지구내 청장년들 무장유격대입대를 집단적으로 탄원 봉화군에서 무장유격대와 주민들이 군
    대표표제어<《김일성원수님 만세!》, 《우리도 무장을 들고 싸움에 나서자!》>, (울진지구내 청장년들 무장유격대입대를 집단적으로 탄원 봉화군에서 무장유격대와 주민들이 군인민위원회 창설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 무장유격대, 혁명투쟁
  • <《김일성원수님 만세!》, 《우리도 무장을 들고 싸움에 나서자!》>, (울진지구내 청장년들 무장유격대입대를 집단적으로 탄원 봉화군에서 무장유격대와 주민들이 군 창설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김일성원수님 만세!》, 《우리도 무장을 들고 싸움에 나서자!》>, (울진지구내 청장년들 무장유격대입대를 집단적으로 탄원 봉화군에서 무장유격대와 주민들이 군
    대표표제어<《김일성원수님 만세!》, 《우리도 무장을 들고 싸움에 나서자!》>, (울진지구내 청장년들 무장유격대입대를 집단적으로 탄원 봉화군에서 무장유격대와 주민들이 군인민위원회 창설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유격대, 경상북도, 정치선전사업
  • <《김일성원수님 만세!》, 《우리도 무장을 들고 싸움에 나서자!》>, (울진지구내 청장년들 무장유격대입대를 집단적으로 탄원 봉화군에서 무장유격대와 주민들이 군 창설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김일성원수님 만세!》, 《우리도 무장을 들고 싸움에 나서자!》>, (울진지구내 청장년들 무장유격대입대를 집단적으로 탄원 봉화군에서 무장유격대와 주민들이 군
    대표표제어<《김일성원수님 만세!》, 《우리도 무장을 들고 싸움에 나서자!》>, (울진지구내 청장년들 무장유격대입대를 집단적으로 탄원 봉화군에서 무장유격대와 주민들이 군인민위원회 창설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경상북도, 무장유격대, 정치선전공작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고모님 강 남자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1 1 고모님, 고모부, 인사, 드립니다, 잘지내고, 있다,
    대표표제어고모님 | 성씨
  • 反選(반선)『삐라』 搬入船拿捕(반입선나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간 삐라, 나포, 이북, , 남로당, 검거 1940년대 480511 SPE-213480511.pdf
    대표표제어反選(반선)『삐라』 搬入船拿捕(반입선나포)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삐라, 나포, 이북, 인민위원회, 남로당, 검거

구술자료(20)

  • 박윤진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됨 가난하여 육군 사관학교 사관후보생 모집을 보고 사관학교에 입학 훈련 교범이 없던 시절, 여러 훈련기준이 일제시기와 미-군정 시기 달라짐 당시 훈련소 장교와 훈련병들 사용하던 기관총, 소총 이야기 사관후보생의 야영훈련이자 야외전투종합훈련 육사 졸업 후
    분야역사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현대사와 군
  • 송방용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생과정 및 성장배경 제2대 민의원 출마배경과 행방 이후의 상황 제2대 민의원 무소속 출마동기 및 선거운동 제2대 민의원 당선과 제헌의회 선거와의 차이 한민당, 민국당, 국민당의 지역조직과 , 민족청년단의 실태 6.25 전쟁 발발 당시 국회상황과 정부의 대응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김성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은 양곡사업 - 부모님은 주로 청과업 등 상업에 종사 - 일제 식민지 당시 포병부대에 징집되었으나 대기 중 해방 - 해방 후 사회주의 경험, 선거, 소련군 진입 등 - 친구들과 월남하여 서울에서 잠시 생활 - 제주도 국민 경비대 생활 - 6‧25전쟁 발발
    구술자김성주 | 직업평안남도 민회 | 지역평안도
  • 서동휘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간척지, 개척단, 공산당, 군중대회, 김형서, 능리국민학교, 망향제, 박정희, 서울대학병원, 서흥군, 소련군, 옹진군, 이북도민회, 이산가족, , 제2국민병, 제주도, 토지개혁,
    구술자서동휘 | 직업무직 | 지역황해도
  • 최창준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학교, 원정초등학교, , 미국이민, 반공교육, 신사참배, 월남전쟁, 창씨개명, 한국전쟁, LA 폭동 한글 연세대학교 방송국 AKS_2015_KFR_
    구술자최창준 | 직업방송국 | 지역개성

신문·잡지(5,835)

  • 민세안재홍전집 : 協同工作의重難性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常國民會議, 北朝鮮, 土地改革, 左右合作運動 A19460820한성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쁘·아·부듸낀 평양특별시 성매리 2번지 조선신문사 북조선임시 확대위원회, , 사법국, 북조선임시, 중앙선거위원회 1947년 정월 7일에 북조선임시 확대위원회가 진행되었다. 이 회담에서는 당면한 북조선 면 밋 리...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110_01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2 쁘·아·부듸낀 평양특별시 조선신문 제75조 각급 는 휴회 중에 있어서 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무위원회를 조직한다. 상무위원회는 위원장 부위원장 서기장 및 위원으로 구성한다. 제76조 리 는 상무위원회를 두지 아니하고 위원...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911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713 강길모 함흥시삼일리3구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시 , 군 , 구역 도 시 군 구역 대의원 선거 총결에 관하여 중앙 선거 지도 위원회에는 각 도 선거 위원회로부터 도 시 군 구역 대의원 선...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405_01 | 책임주필강길모
  • 쁘·아·부듸낀 평양특별시 성매리 2번지 조선신문사 , 북조선임시 어제 본 보에는 면 리 위원선거에 관한 북조선임시의 결정과 선거에 관한 규정을 발표하였다. 당면한 선거는 북조선임시 결정에 지적된 바와...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111_01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멀티미디어(1)

  • Democratic Vote on 3 November 1946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이 영상은 1946년 11월 3일 북한지역에서 실시된 도시군 선거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1946년 9월 5일 북조선임시에서는 도시군 선거 규정을 발표하고 동년 11월 3일에 선거 실시를 포고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 각지에는 선거일과 그
    자료구분NARA수집영상 | 제작년도1946년 11월

기타자료(384)

  • R093 ЦАМО,ф.172,оп.614631,д.18,л.59. 각급 대회 준비계획 정치 문서 현대 북한, 소련 타이핑 ...
    키워드인민위원회대회, 인민회의 | 대표주제어인민위원회대회 | 발신자로마넨코 | 수신자시티코프
  • R094 ЦАМО,ф.172,оп.614631,д.18,лл.60-63. 대회 지원 대책안 정치 문서 현대 북한, 소련 타이핑
    키워드인민위원회대회, 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인민재판소, 검사소 | 대표주제어인민위원회대회 | 발신자로마넨코 | 수신자치스차코프
  • R098 ЦАМО,ф.172,оп.614631,д.19,лл.126-129. Итоги выборов в сельские Народные Комитеты Северной Кореи 북조선리 선거 결과
    키워드북조선리인민위원회, 선거 | 대표주제어리인민위원회 선거 | 발신자치스차코프, 레베데프 | 수신자메레츠코프, 시티코프
  • 북조선도‧시‧군 선거 총괄보고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
    선도‧시‧군 선거 총괄보고서 정치 문서 현대 북한, 소련 타이핑 도‧시‧군 선거, 총괄보고서,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로마넨코
    키워드도‧시‧군인민위원회 선거, 총괄보고서,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 대표주제어인민위원회 선거 | 발신자로마넨코 | 수신자연해주군관구 군사회의
  • 자성군의 각급 선거 결과 보고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
    R272 ЦАМО РФ,ф.평경,оп.536318,д.26,лл.24-31. Отчет об итогах выборов в Народные Комитеты по уезду Дясенг 자성군의 각급 선거 결과 보고...
    키워드자성군, 인민위원회 선거, 선거구위원회, 대중선동사업 | 대표주제어북조선 인민위원회 선거 | 발신자자성군 경무사령관 세르게예프 | 수신자평안북도 경무사령관

주제어사전(19)

  • / [정치·법제/정치]

    해방 직후 전국 각지에 조직된 민중자치기구. 지방조직으로 출발, 1945년 8월 말경에는 전국에 145개소에 이르는 가 결성되었다. 대체로 조직, 선전, 치안, 식량, 재정부를 갖추고, 지역에 따라 보건후생, 귀환동포, 소비문제, 노동문제, 소작료문제 등을

  • 북조선임시 / 北朝鮮臨時 [정치·법제/정치]

    1946년 2월 발족된 북한 최초의 중앙권력기구. 당면 개혁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중앙권력기관 수립의 필요성을 느끼고 1946년 2월 8일 <북조선 각 정당, 사회단체, 각행정국 및 각도, 시, 군 대표 확대협의회>를 개최, <조선통일정부가 수립될 때까지>라

  • 민주개혁 / 民主改革 [정치·법제/정치]

    해방 직후 북조선 임시 가 추진한 일련의 개혁조치. 임시는 1946년 3월 23일 <20개 정강>을 발표하고 이에 의거, 민주개혁을 실시했다. 토지개혁법령, 노동자 및 사무원에 대한 노동법령, 농업현물세에 관한 결정서, 남녀평등권에 대한 법령, 중요

  • 조선어문연구회 / [언어/언어/문자]

    1946년 7월에 북조선 교육국의 후원으로 조선 어문 연구자들이 조직한 단체. 조선어문연구회는 1946년 7월 당시 북조선 교육국의 후원을 얻어, 조선 어문에 관심이 있는 몇몇 사람들이 발기하여 발족되었다. 이 단체는 해방 직후의 혼란한 우리 어문을

  • 5.1경기장 / 五一競技場 [예술·체육/체육]

    평양특별시 능라도에 위치하고 있는 북한의 종합경기장. 1989년 5월 1일 노동절에 준공되었다. 착공 당시에는 ‘능라도경기장’으로 불리다가 1989년 4월 중앙 정령으로 ‘인민대경기장’이라고 명명하였으나, 이틀 뒤 중앙 정령을 다시 발표하면서 현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