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물추고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인물추고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있다. 처음 설치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이미 1276년(충렬왕 2) 인물추고도감에 관한 기사가 보이며, 유사한 기능을 가진 제주도루인물추쇄색(濟州逃漏人物推刷色)ㆍ과부처녀추고별감(寡婦處女推考別監) 등이 1275년과 1276년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 보아 이 도...
- 노비변정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초기 노비소송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임시관서. [내용] 1269년(원종 10)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이 설치된 이후 충렬왕‧공민왕‧우왕 때에도 설치되었고, 1392년(공양왕 4) 인물추고도감(人物推考都監)을 설치...
- 회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281년(충렬왕 7) 노비의 방량(放良)‧면천(免賤)‧쟁소(爭訴) 등을 관장하였던 관서. [내용] 인물추고도감(人物推考都監)을 개칭한 것이다. 1391년(공양왕 3) 인물추변도감(人物推辨都監)으로 개칭되었다가 이듬해 혁파되...
- 공양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에는 의창(義倉)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조준(趙浚)의 건의로 과전법을 실시해 녹제와 전제를 개혁하였는데, 이것은 신흥세력의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 또한, 인물추고도감(人物推考都監)을 두어 노비결송법과 결송법을 정하였다. 이 해 이성계일파를 반대한 정몽주...이칭별칭요|공양군
- 노비추쇄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종 10) 권문세가에 의해 불법 점유된 노비의 추쇄를 위해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하였다. 그 뒤 1276년(충렬왕 2)에는 인물추고도감(人物推考都監)을 설치했는데 이는 1281년에 회문사(會問司)로 개칭되었다. 전민변정도감은 그 뒤에도 1288년‧1...
주제어사전(1)
-
인물추고도감 / 人物推考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노비 방량의 일을 관장하던 임시관서. 노비의 방량·면천·쟁소 등의 일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특수관부로서 노비의 부적과 결송을 관장하는 정규관부인 도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1275년과 1276년 사이에 도감이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