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내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0)
사전(42)
- 인내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神師 嘗呪文之意 解釋曰 侍者 內有神靈 外有氣化 一世之人 各知不移者也 是指稱以靈之有機的表顯道破人乃天之定義也).”라 하였다. 성령출세설(性靈出世說)이라는 구절에 그것이 잘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인내천사상의 근거는 ‘시천주(侍天主)’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이...
- 인내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동학의 제3대 교주 손병희(孫秉熙, 1861-1922)가 주장한 천도교의 종지(宗旨).정의동학의 제3대 교주 손병희(孫秉熙, 1861-1922)가 주장한 천도교의 종지(宗旨).[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innaecheon | MR표기innaech’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인내천요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24년 천도교 교인 이돈화(李敦化, 1884-?)가 쓴 천도교 교리서.정의1924년 천도교 교인 이돈화(李敦化, 1884-?)가 쓴 천도교 교리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Innaecheon youi | MR표기Innaech’ŏn yoŭ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근대신어 : 인내천(人乃天)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5645 인내천 아항 人乃天 人間格至上主義로서 宇宙萬有의 모든 格中에 人間格이 다른 엇더한 格보다도 가장 完全한 格을 가젓슴으로 人間은 이 人間格을 中心으로 하야 모든 向上과 發展을 圖謀하자는 主義이다. 인간격 지상주의로서 우주...출전黨聲[天道敎靑友黨本部]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이념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천도교창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33년 이돈화(李敦化)가 편술한 책. [내용] 천도교 중앙종리원에서 간행하였다. 이돈화는 1920년대부터 인내천주의(人乃天主義)라는 관점에서 천도교 교리 및 사상을 체계화하는 데 힘썼는데, 이 책도 그러한 기본방향에서 천도교 70년의...
고서·고문서(14)
- 1934년 정남동(丁南洞) 교첩(敎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34년1월에 상제교 대법사(大法師)가 정남동을 신부인(信夫人)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첩이다.상제교는 시천교에서 갈라져 나온 동학계통의 신흥종교로,교리는 동학의 일반적 교리인 인내천(人乃天)과 시천주(侍天主)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다.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35년 김태원(金台源) 교첩(敎帖)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35년4월에 상제교 대법사(大法師)가 김태원을 금사(金士)로 특선하면서 발급한 교첩이다. 상제교는 시천교에서 갈라져 나온 동학계통의 신흥종교로 교리는 동학의 일반적 교리인 인내천(人乃天)과 시천주(侍天主)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다.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35년 김재성(金在性) 상제교(上帝敎) 회원증(會員證)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35년3월에 상제교에서 전남 무안군 압해면 가룡리에 살고 있는 김재성에게 교부한 회원증 161호이다. 상제교는 최시형의 수제자였던 김연국이 시천교에서 갈라져나와 1924년에 창교한 신흥종교로 교리는 동학의 일반적교리인 인내천(人乃天)과 시천주(侍天主)사상을 기본으...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증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894년 정성영(鄭聖英) 임명장(任命狀)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인내천 (人乃天)'사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35년 김태원(金台源) 교첩(敎帖)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35년4월에 상제교 대법사(大法師)가 김태원을 현기사신도사(玄機司信道師)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첩이다.상제교는 시천교에서 갈라져 나온 동학계통의 신흥종교로 교리는 동학의 일반적 교리인 인내천(人乃天)과 시천주(侍天主)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다.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신문·잡지(73)
- 민세안재홍전집 : 史眼에 비치는 天道敎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655 1930 1 1 史眼에 비치는 天道敎 그의 七十年紀念을 듣고 신문 조선일보 사설 사회 직접자료 4권 天道敎天地人人乃天東學黨 A19300000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별건곤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인내천(人乃天)주의의 창도자(創道者) 최수운(崔水雲) 선생이라는 제목으로 ‘지금으로부터 70년 전인 경신(庚申) 4월 5일, 이날은 후천개벽의 대성(大聲)을 내어 어떤 신아(新芽)가 선천의 분각(奮殻)을 깨서 이 세상 속으로 나타난 날이다. 수운 선생은 인내천의...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별건곤 | 출판물명별건곤(別乾坤) 제4권 제3호 추가
- 천도교회월보_1921_13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엇? 김병준 8 인내천 종지의 실제화를 주장함 김기전 13 운수야 좋거니와 닦아야 도덕이라 유재풍 19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1
- 천도교회월보_1923_15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두(路頭)에 입(立)한 인내천의 사명 김진욱 26 일부일 늘어가는 종교간판을 보고 조정호 29 후천천황씨 진도봉인 3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3
- 천도교회월보_1923_14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산강 12 구구자자 하심자 16 인내천의 활종교관 (속) 조병수 26 인내천의...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3
기타자료(1)
- 1946년 2월 27일 치스차코프, 레베데프가 메레쯔코프, 시티코프에게 보낸 보고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후 천도교의 종교적 찬가가 불려졌습니다. 대회에서는 정당의 새로운 정강과 규약을 채택하였습니다. 천도교당 정강은 종교-도덕적인 내용의 조항들과 함께 민주주의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정강에서는 “인내천” 원칙에 따른 인간의 교화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정강에는 다음과...키워드천도교청우당, 당규약, 정강, 중앙위원회 | 대표주제어천도교청우당 | 발신자치스차코프, 레베데프 | 수신자메레쯔코프, 시티코프
주제어사전(4)
-
인내천 / 人乃天 [종교·철학/천도교]
천도교의 종지. 손병희가 1905년을 전후해서 간행한 <대종정의설>에서 처음 주장하였다. 인내천은 최제우의 시천주, 그리고 최시형의 사인여천과 맥을 같이한다. 최제우의 시천주는 인간이 신을 모시고 있다는 사상이며, 최시형의 사인여천은 인간을 신같이 모시라는 사상인 반
-
인본사상 / 人本思想 [종교·철학/유학]
사람이 우주의 주재(主宰)가 되며 우주적 중심이 된다는 사상. 인본주의는 우리 나라에서 자생한 여러 종교의 핵심사상으로 나타난다. 동학교(東學敎)의 인내천사상(人乃天思想)이나 증산교(甑山敎)에서 말하는 “마음의 도수(度數)를 변경시키면 천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
사인여천 / 事人如天 [종교·철학]
천은 최제우의 시천주와 손병희의 인내천과 일맥상통한다.
-
이돈화 / 李敦化 [종교·철학/천도교]
납치되었다. 저서 <천도교창건사>, <인내천요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