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익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6)
사전(91)
- 익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6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우익찬 각 1인씩이었다. 1418년(태종 18)에 좌‧우익위(左右翊衛)를 고친 이름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좌‧...
- 우익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6품 관직. [내용] 좌익찬(左翊贊)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우익위(右翊衛)가 개칭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좌익찬과 함께 두게 되었...
- 좌익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6품 관직. [내용] 우익찬(右翊贊)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익위(左翊衛)가 변하여 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우익찬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 대정익찬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40년에서 1945년까지 존속한 일본의 관제 국민통합 단일기구.정의1940년에서 1945년까지 존속한 일본의 관제 국민통합 단일기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aejeong Ikchanhoe | MR표기Taejŏng Ikch’an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왕식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헌을 하였으며, 광국익찬공신(匡國翊贊功臣)으로 대승(大丞)이 되어 왕의 극진한 예우를 받았다. 호기위 태사 삼중대광 개국공(虎騎尉太師三重大匡開國公)으로 추증, 정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위정(威靜)이다. 『고려사(高麗史)...이칭별칭 위정(威靜)
고서·고문서(132)
- 1 第一統統首韓益讚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64년_외남면(外南面) 1864년 외남면(外南面) 第五下禿里 1 第一統統首韓益讚 第一戶 幼學韓益讚年肆拾捌丁丑本淸州父出身仁赫祖學生東憲曾祖資憲大 夫時安外祖學生白億本水原妻盧氏年肆拾柒戊寅本光州父學生奎鎭祖學生 順日曾祖學生貴載外祖學生김文煥本김海婢尙丹逃亡等...연도_면이름1864년_외남면(外南面) | 면이름외남면(外南面) | 마을이름第五下禿里
- 1 第一統統首張翼燦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91년_하부면(下府面) 1891년 하부면(下府面) 第十內隍里 1 第一統統首張翼燦 第一戶幼學張翼燦年伍拾壬寅本仁同父學生志思祖學生寬應曾 祖學生龍天外祖學生김遠基本光山妻裵氏年肆拾陸丙午本김 海父學生源俊祖學生裕赫曾祖學生晋年外祖學生李在元本驪 州弟幼學永燦年參拾...연도_면이름1891년_하부면(下府面) | 면이름하부면(下府面) | 마을이름第十內隍里
- 母女를 돌보아 준 崔翊贊宅에 보답하기 위해 仰役한다는 明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323 1981_01 母女를 돌보아 준 崔翊贊宅에 보답하기 위해 仰役한다는 明文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일상생활, 종가 경제생활, 명문문기류, 자매명문, 거래문기 한자 고문서 CHW068.JPG 母女를 돌보아 준...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母女를 돌보아 준 崔翊贊宅에 보답하기 위해 仰役한다는 明文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324 1981_02 母女를 돌보아 준 崔翊贊宅에 보답하기 위해 仰役한다는 明文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일상생활, 종가 경제생활, 명문문기류, 자매명문, 거래문기 한자 고문서 CHW068.hwp 道光十三年癸巳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道光 十八年 戊戌 四月 二十日 漆溪 崔翊贊宅奴 前 明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996 2404_01 道光 十八年 戊戌 四月 二十日 漆溪 崔翊贊宅奴 前 明文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일상생활, 경제생활, 명문문기류, 명문, 토지매매명문 한자 고문서 CHW067.JPG 道光 十八年 戊戌 四月 二...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기초학문(2)
- 朝鮮後期의 畵僧硏究(2): 海雲堂 益贊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정희, 게재일 : 200201060 김정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사연구소 2002 朝鮮後期의 畵僧硏究(2): 海雲堂 益贊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2
- 朝鮮後期 畵僧 硏究(2)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정희, 게재일 : 20021cd054f4011cd20d4c9003db 조선후기 회승연구: 해운당 익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m201_id=10034082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35)
- 金益燦(-)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益燦(-) 원산 金益燦 - 本町5 - - 가죽신(皮靴),피혁,고무신,고무제품 제조판매 112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益燦(-)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가죽신(皮靴),피혁,고무신,고무제품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법화익찬(法花翼贊)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법화익찬(法花翼贊) 1 法花翼贊 법화익찬 유통서지 法花翼贊 10 行賀 古聖教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8) p....대표표제어법화익찬(法花翼贊) 1 | 대표서명法花翼贊 | 한글서명법화익찬 | 서지형태유통서지
- 법화익찬(法花翼贊)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법화익찬(法花翼贊) 2 法花翼贊 법화익찬 유통서지 法花翼贊 一部十卷 四百卄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대표표제어법화익찬(法花翼贊) 2 | 대표서명法花翼贊 | 한글서명법화익찬 | 서지형태유통서지
- 법화익찬(法花翼贊)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법화익찬(法花翼贊) 3 法花翼贊 법화익찬 유통서지 法花翼贊 一帙十卷 □證師 四百一紙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대표표제어법화익찬(法花翼贊) 3 | 대표서명法花翼贊 | 한글서명법화익찬 | 서지형태유통서지
- 批旨優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봉죠하 김병국씨에게 훈쟝급하신일에 하야 샹소한지라 비지가 나리시기 국가의 원로로 보익찬양하야 국에 근로을 특렴하야 그공을 표하기로 하한거시니 양말고 령수하라하시고 참졍 신긔션씨 소비에난 간우한 당하야 쳐에 견확을 의뢰하니 번거이하지말고 곳 시무하...게재일1904년 11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6)
- 이익찬;李翼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213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22면 이익찬;李翼粲 함북 1916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익찬;李翼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630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25면 이익찬;李翼粲 함북;北間島 龍井村 東一醫院 제6회 1916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익찬;崔益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647 일본 東京 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동아상업학교 제13회 졸업기념 1942 3면 1. A, B조 생도 명부 최익찬;崔益燦 경기도 고양군 벽제면 고양리 124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익찬;張翼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910 북한 황해 해주고등보통학교 교우회잡지 제1호, 1926―09 171면 1. 회원명부;4) 4년 西 장익찬;張翼贊학교소재지역황해 | 학교명해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익찬;張益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9758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5호 1928 9면 ㅁ1. 본년도 졸업생 씨명(제6회) 장익찬;張益瓚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5)
-
익찬 / 翊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좌·우익찬 각 1인씩이었다. 1418년(태종 18)에 좌·우익위를 고친 이름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로 고치면서 좌·우익찬을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자제 및
-
우익찬 / 右翊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좌익찬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우익위가 개칭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로 고치면서 좌익찬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자제 및 재상자제로서 마땅한 자를
-
좌익찬 / 左翊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우익찬(右翊贊)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익위(左翊衛)가 변하여 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우익찬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
-
조득중 / 趙得重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부는 조위한, 부친은 조억이다. 윤선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학행으로 천거되어 건원릉참봉·광흥창봉사를 지냈다. 1694년(숙종 20) 세자익위사익찬에 올랐다. 평소《논어》를 즐겨 읽었으며, 그의 나이 75세에 졸하였다.
-
최흥원 / 崔興遠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05∼1786).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이 된 후 세자익위사좌익찬에 이르렀다. 가난한 백성들을 위해 규약을 세우고 선공고·휼빈고 등을 두었다. 저서로는《백불암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