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익선관” 에 대한 검색결과 1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0)

사전(1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의 형상은 사모(紗帽)이다. 당시는 평건책(平巾幘)‧절상두건(折上頭巾)과 통용하였다. 송대(宋代)에 와서는 절상건(折上巾)‧착포(窄袍) 시사(視事)의 복으로 오사모(烏紗帽)와 통용하였다. 과 오사모는 그 제도가 같되 황제나 왕이 쓰는 은 오사모의 양...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왕이나 왕세자가 상복(常服)인 곤룡포를 입을 때 쓰는 관모. 은 왕이나 왕세자가 곤룡포를 입을 때 쓰는 관으로 왕은 시사복(視事服), 왕세자는 서연복(書筵服), 왕세손은 강서복(講書服)으로 착용한다. 또한 관례 시 초가(初加) 때 쓴다.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때 왕‧세자가 시무복(視務服)인 곤룡포(袞龍袍)에 쓰던 관(冠).
    정의조선시대 때 왕‧세자가 시무복(視務服)인 곤룡포(袞龍袍)에 쓰던 관(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ikseon-gwan | MR표기iksŏn’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모(冠帽) 오사절각향상건(烏紗折角向上巾), 오사절상건(烏紗折上巾), () 곤룡포(袞龍袍), 관자(貫子), 망건(網巾), 면류관(冕旒冠), 사모(紗帽), 소(素), 원유관(遠遊冠), 탕건(宕巾...
    상위어관모(冠帽) | 동의어오사절각향상건(烏紗折角向上巾), 오사절상건(烏紗折上巾), 익선관(翼蟬冠) | 관련어곤룡포(袞龍袍), 관자(貫子), 망건(網巾), 면류관(冕旒冠), 사모(紗帽), 소익선관(素翼善冠), 원유관(遠遊冠), 탕건(宕巾), 평천관(平天冠)
  • 전고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고종이 썼던 것으로 전해지는 . [개설] 조선 말기 고종이 착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하여 ‘전(傳)고종’으로 지정된 관모 1점이다. 1979년 1월 23일 중요민속자료 제44호로 지정되어 현재 세종대학교박물관에 소장...

고서·고문서(37)

  • 7118 B00711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8年 12月 27日_012 , 右邊微拆之痕, 長可周尺二寸餘, 後褙紙白色綻露, 其長上下兩端各二分許, 而微拆之痕, 自下, 稍及於御容額角, 此外綠色氅衣右領花紋綵色剝傷之處, 如小豆大, 龍床下所鋪綵段左邊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368 B00736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8年 12月 27日_012 , 右邊微拆之痕, 長可周尺二寸餘, 後褙紙白色綻露, 其長上下兩端各二分許, 而微拆之痕, 自下, 稍及於御容額角, 此外綠色氅衣右領花紋綵色剝傷之處, 如小豆大, 龍床下所鋪綵段左邊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太王實錄資料 1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2023072016202307_001 李太王實錄資料 11 자료제25호 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33 0001 147 1895년 8월 1일(음력) 고종이 에 衮龍袍를 입고서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 親王이 머무는 大觀亭으로 고종이 에 黃龍袍를 입고서 직접 행차하였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470)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6. 11.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2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2024092016202409_001 李太王實錄資料 21 자료제20호 李太王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43 0001 22 1871년 4월 6일(음력) 고종이 에 衮龍袍를 입고...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9)

  • / [생활/의생활]

    . 조선 국왕에 내린 은 이등체강원칙에 의하여 친왕복을 보냈으므로 이 조선 국왕의 상복관이 되었는데 아래에는 곤룡포를 입어 한말까지 변함이 없었다.

  • 전고종 / 傳高宗 [생활/의생활]

    조선 말기 고종이 썼던 것으로 전해지는 . 조선 말기 고종이 착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하여 ‘전(傳)고종’으로 지정된 관모 1점이다. 1979년 1월 23일 중요민속자료 제44호로 지정되어 현재 세종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왕실 관련 은 이 외에

  • 고종황제어진 / 高宗皇帝御眞 [예술·체육/회화]

    고종이 일월오봉도 병풍을 배경으로 용상에 앉아 정면을 향하여 있는 초상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0호. 이 어진은 과 노란색 곤룡포를 착용한 고종이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를 배경으로 붉은색 용상(龍床)에 앉아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전신교의좌상(全身交倚坐像)이

  • 곤룡포 / 袞龍袍 [생활/의생활]

    왕이 집무 시에 입던 정복.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의 무늬를 금으로 수놓은 원보를 붙인 옷이다. 곤룡포를 입고 을 쓰고 옥대를 띠고 화를 신은 것이 왕의 시무복이다. 왕이 정복으로 곤룡포를 입은 것은 1444년(세종 26)부터인데, 그때 명나라는 처음

  • 왕복 / 王服 [생활/의생활]

    服)이라 하여 삭망(朔望)·조강(朝降)·조강(詔降)·진표(進表)·조현(朝見) 등에 착용하던 원유관(遠遊冠)·강사포(絳紗袍), 그리고 상복(常服)이라 할 평상 시사시(視事時)에 착용하던 ()·곤룡포(袞龍袍)가 있었다. 또, 국난을 당하여서는 전립(戰笠)에 융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