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익사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23)
- 익사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윤효전(尹孝全) 등 5인으로 효충분의병기결책익사공신(效忠奮義炳幾決策翼社功臣)이라 하였고, 2등 15인에게는 효충분의병기익사공신이라 하였으며, 3등 28인은 효충분의익사공신이라 하였는데, 공신호를 받은 자들 가운데는 환관과 위사(衛士)도 다수 포함되었다. 임해군...
- 익사공신(翼社功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익사공신 익사공신 翼社功臣 공신(功臣) 효충분의병기결책익사공신(效忠奮義炳幾決策翼社功臣), 효충분의병기익사공신(效忠奮義炳幾翼社功臣), 효충분의익사공신(效忠奮義翼社功臣) 임해군(臨海君) 정치인사/녹훈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상위어공신(功臣) | 하위어효충분의병기결책익사공신(效忠奮義炳幾決策翼社功臣), 효충분의병기익사공신(效忠奮義炳幾翼社功臣), 효충분의익사공신(效忠奮義翼社功臣) | 관련어임해군(臨海君)
- 윤효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이수(李琇)의 딸이다. 휴(鑴)의 아버지이다. 1605년(선조 38) 현감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왕자사부를 거쳐 이듬해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 그 뒤 1613년(광해군 5) 익사공신(翼社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대사헌이 되었을 때는 임해...이칭별칭 영초(詠初)| 기천(沂川)
- 김이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들을 잘 다루어 도내 행정을 바로잡았다. 대북(大北)에 속하여 1609년 임해군(臨海君)을 사사하게 하고, 1612년 소북을 제거하기 위한 계축옥사를 잘 다스렸다 하여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훈되고 숭양부원군(嵩陽府院君)에 봉하여졌다. 이후 병조판서ㆍ판...이칭별칭 수백(守伯)| 소암(素菴)|신원(信元)|숭양부원군(嵩陽府院君)
- 형난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단을 밝히지 않았다. 형난공신은 광해군 때 책록된 위성공신(衛聖功臣)‧익사공신(翼社功臣)‧정운공신(定運功臣)과 더불어 1623년 인조반정으로 대북파(大北派)가 몰락하면서 공신호가 삭탈되었다.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연려실기술(燃藜室記...
고서·고문서(1)
- 영동산수기(嶺東山水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신(翼社功臣)과 송산군(松山君)에 봉해졌다. 의 첩은 부안 관아의 기생으로, 두 무릎에 부처 형상이 있고 등에는 관음보살상이 있었습니다. 하루는 머리를 빗는데, 머리에서 빗살 사이로 서너 개의 물건이 빠져나와 구슬처럼 빛났고, 머리를 만져보니 구슬이 나온 곳에 저절로...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최유해(崔有海)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2)
-
익사공신 / 翼社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613년 임해군의 역모사건에 공을 세운자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에게 내린 칭호. 모두 48인을 3등으로 구분하였는데, 1등은 허성·김이원·유희분·최유원·윤효전 등 5인으로 효충분의병기결책익사공신이라 하였고, 2등 15인에게는 효충분의병기익사공신이라 하였으며,
-
형난공신 / 亨難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뒤에 1등 2명, 2등 12명, 3등 10명으로 모두 24명이 녹훈되었다. 수공자로는 신율만 기록되었다. 형난공신은 광해군 때 책록된 위성공신·익사공신·정운공신과 더불어 1623년 인조반정으로 대북파 몰락하면서 공신호가 삭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