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희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2)
사전(63)
- 이희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촌집(芝村集)』 이희조(1655-1724) 1655(효종 6)∼1724(경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근묵≫에 수록된 글씨.이칭별칭 동보(同甫)| 지촌(芝村)| 문간(文簡)
- 속경연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희조(李喜朝)가 편찬해 1719년(숙종 45)에 왕에게 올린 책. [내용] 5권 2책. 이 때에 자매편인 『동현주의(東賢奏議)』 8책도 함께 올렸다. 이 책의 내용은 조선시대의 명현(名賢) 다섯 사람이 경연에서 왕에게...
- 동현주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숙종대에 이희조(李喜朝)가 선현들이 국왕의 지덕(知德)을 깨우치려고 올린 상소문과 진덕문(進德文) 등을 모아 편찬한 책. [내용] 24권 8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다. 내용은 정몽주(鄭夢周)ㆍ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
- 이민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0(숙종 46)∼1799(정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백눌(伯訥), 호는 풍서(豊墅) 또는 상와(常窩). 부제학 단상(端相)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희조(喜朝)이다. [개설] ...이칭별칭 백눌(伯訥)| 풍서(豊墅), 상와(常窩)| 효정(孝貞)
- 이명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진사가 되고, 171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갔다. 1718년 정언(正言)으로 있을 때에 원임대신 이이명(李頤命), 이조참판 이희조(李喜朝) 등을 탄핵하다가 도리어 밀양으로 유배되었다. 그 뒤 경종이 즉위하여 소론이 집권하자 중용되...이칭별칭 의백(宜伯)
고서·고문서(77)
- 추안급국안 : 정축년(1817, 순조 17) 죄인 이희조(李希祖)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334 027 丁丑 罪人李希祖李游誠柳七在洪燦謨李度中沈宜度罪人李希祖等推案單 정축년(1817, 순조 17) 죄인 이희조(李希祖) 등 신문기록 ○ 추국을 시행하도록 하다 嘉慶二十二年正月初十日 本府 啓曰時囚罪人李希祖李游誠口招草供 判付 囚秋曹兩囚移送本府以各人所招發...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7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월사선생집(月沙先生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지촌선생문집(芝村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750 B027750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憲宗 5年 10月 13日_019 ○吏批, 再政。 左尹單李若愚, 右尹單李羲肇, 京畿水使李儒常今加嘉善加資事, 承傳。 喬桐府使單李儒常。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낙제(絡蹄)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777 B032777 낙제 絡蹄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純祖 22年 3月 1日_013 ○以京畿監司韓兢履狀啓, 二月令薦新生蛤·生絡蹄, 未及産出, 限內不得封進, 惶恐待罪事, 傳于李羲肇曰, 勿待罪事, 回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인천 학산서원과 이단상 이희조 부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3037 한국연구재단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2015 인천 학산서원과 이단상 이희조 부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0)
- 함남로동신문_1949_1215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7 강길모 함흥시 함남로동신문사 최승희, 반야월, 김백봉, 안성희, 리석예, 리정옥, 리옥순, 리희조, 하예진, 최옥명 최승희무용연구소 무용 1등 최승희 반야월 성곡 기타 민족무용부흥 발전에 기여한 성과에 대하여 최승희무용연구소 소장 ”2등...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15_04 | 책임주필강길모
- 강원로동신문_1947_1119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47년 11월 19일 351 한성(韓星) 강원도 원산시 중앙리 37 강원노동신문사 당원의 정치 수준을 고도로 제고 군내 일착으로 현물세를 완납한 김화군 동구면당의 모범적 투쟁 창렬 김화군, 보막리, 장안리, 남조선 이희조, 맹동...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1119_02 | 날짜1947년 11월 19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조선신문_1948_0928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춤』 2등 리순 『풍어』 3등 리희조 『검무』, 라숙희 『조선춤』 이상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928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四十錢 졍사셩 박봉안 김용학 이상각六十錢식 合九圜 海州花陽面琴洞 趙仁煥 六十錢 趙德泰 趙德仁 이상각二十錢식 李希道 六十錢 李希敬 三十錢 鄭成雲 六十錢 鄭成俊 二十뎐 鄭允燮 三十전 鄭石俊 十전 李東根 李希祚 이상각二十뎐식 奉允壽 五十뎐 奉允九 奉八成 이상각二十뎐식 金昌守...게재일1907년 4월 24일 | 기사분류광고
- 투사신문_1950_0509_01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에 보다 높은 성과들을 쟁취할 결의를 표명하였다. 고전무용부 리희조 양은 “나는 내 손으로 조국의 륭성과 인민 생활의 보다 높은 향상을 위하여 발행되는 공채를 사리라는 것을 생각할 때 무한한 감격을 느끼며 기쁩니다.”라고 토론하자 전체 예술인들은 우뢰와 같은 박수를...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09_01_01 | 책임주필한효
기타자료(1)
- 이희조;李喜祚;향산황;香山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736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45면 이희조;李喜祚;향산황;香山晃 경기 제17회 1939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
-
이희조 / 李喜朝 [종교·철학/유학]
1655(효종 6)∼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단상 아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80년(숙종 6) 경신환국이 있은 뒤 유일로 천거되어 건원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다시 천거되어 전설별검에 임명, 이어서 의금부도사·공조좌랑을 지내고 진천현감이 되어 선
-
간암서원 / 艮菴書院 [교육/교육]
평안북도 정주군 정주읍 성내동에 있던 서원. 1731년(영조 7)에 진사 김수석(金壽錫)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희조(李喜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경내의 건물로는 사우·전영(前楹)·신문(神門)·동서협문(東西挾門)·좌우익랑
-
구천유고 / 龜川遺稿 [종교·철학/유학]
여 최석정(崔錫鼎)·이희조(李喜朝)·김간(金幹)·김창흡(金昌翕)·박필주(朴弼周)·남학명(南鶴鳴) 등과 『대학』·『예기유편(禮記類編)』 등의 의문점을 토론하거나 선인들의 학설에 대하여 치밀한 분석과 해설을 시도한 내용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
이헌보 / 李獻輔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31년(영조 7). 조선 후기 사인. 이정구 후손, 증조는 이단상, 조부는 이희조이다. 부친 이양신과 모친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정씨이다. 성인의 학문에 힘쓰면서 부모를 진심으로 섬겼고, 형제간에 우애가 있었으며, 벗들과의 사귐
-
정관재집 / 靜觀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단상의 시문집. 본집 16권 6책, 별집 6권 2책. 목판본. 1682년(숙종 8) 이단상의 아들 이희조에 의해 편집되어 윤지선의 주선으로 간행되었다. 본집은 권1∼3에 시 240여수, 권4∼6에 교서 2편, 소 27편, 권7에 계 13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