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휘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15)
- 존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휘일(李徽逸)의 시문집. [내용] 8권 3책. 목판본. 1694년(숙종 20) 아우 현일(玄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해(權瑎)의 서문이, 권말에 임원구(任元耉)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도서‧규...
- 이휘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휘일(1619-1672) 1619(광해군 11)∼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학자.이칭별칭 익문(翼文)| 존재(存齋)
- 전가팔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4년(현종 5) 이휘일(李徽逸)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국문필사본. 작자가 45세 때 지은 이 작품은 농촌의 풍경과 농민의 노고를 소재로 하여 8곡의 단가(短歌), 곧 평시조 8수가 연첩(連疊)으로 구성되어 있...
- 인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양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96년(숙종 2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휘일(李徽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그 뒤 이현일(李玄逸)을 추가배향하였다. 17...
- 갈암금양강도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현일은 본관이 재령(載寧)이다. 이시명(李時明)의 아들이며, 존재(存齋) 이휘일(李徽逸)의 아우이다. 1679년(숙종 5) 학행으로 천거되어 지평에 발탁되고, 대사헌‧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으나, 남인정권의 몰락으로 홍원‧종성‧광양 등에 유배되었다. 1700년...연계항목갈암금양강도지(葛菴錦陽講道址)
고서·고문서(12)
- 1666년 존재(存齋) 이휘일(李徽逸)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664년 이휘일(李徽逸) 오촌동안(梧村洞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18세기 초 이휘일(李徽逸), 이현일(李玄逸), 이재(李栽)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존재선생문집(存齋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홍범연의(洪範衍義)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주제어사전(7)
-
이휘일 / 李徽逸 [종교·철학/유학]
1619(광해군 11)∼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학자. 시명 아들, 시성에게 입양, 어머니는 장흥효의 딸이다. 현일의 형이 된다. 일찍부터 정주의 성리학을 궁구하여 이회하지 못한 바가 없었으나, 병자호란을 겪고 나서는 성리학 공부를 중단하고 손자와 오자의 병
-
이유장 / 李惟樟 [종교·철학/유학]
1625년(인조 3)∼1701년(숙종 27). 조선 중기의 문신. 조부는 이진, 부친은 이정발이다. 1657년(효종 8) 이휘일이 내방하여「심경」,「근사록」등을 강론하였다. 문집으로『고산집』이 있는데, 이유장의 증손 이홍진이 간행하였고, 원집 8권, 부록 2권으로 모
-
장흥효 / 張興孝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33(인조 11). 조선 중기의 학자. 팽수의 아들, 어머니는 안동권씨이다. 김성일·유성룡을 사사, 뒤에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문하에 이휘일 등 학자가 있다. 1633년에 창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교지가 도착되기 전에 죽었다. 저서에『경
-
갈암금양강도지 / 葛庵錦陽講道址 [교육/교육]
존재(存齋)이휘일(李徽逸)의 아우이다. 1679년(숙종 5) 학행으로 천거되어 지평에 발탁되고, 대사헌·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으나, 남인정권의 몰락으로 홍원·종성·광양 등에 유배되었다. 1700년 방면되어 환향할 때 세거지였던 경상도 영해 인량리나 영양 석보의 남악정(
-
전가팔곡 / 田家八曲 [문학/고전시가]
1664년(현종 5)이휘일(李徽逸)이 지은 시조. 국문필사본. 시조의 내용을 곡별로 살펴보면, 첫 곡은 서문격으로 풍년을 기원하는 뜻을 나타내고, 두 번째 곡에서 다섯 번째 곡까지는 춘(春)·하(夏)·추(秋)·동(冬) 사시에 걸쳐 농민이 해야 할 농사일의 노고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