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후배” 에 대한 검색결과 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9)

사전(39)

  • TD_L14_D_4627 인물 登第, 文名, 律身, 淸苦, 六卿, 節儉, 寒士, 辭受, 判書 延安 季眞, 靑蓮, 我中廟 D_20_01_05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양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어머니는 검열(檢閱) 강문회(姜文會)의 딸이다. [내용] 노정(盧禎)ㆍ이후백()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의 삼걸(三傑)이라 일컬어졌다. 1546년(명종 1)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언(正言)ㆍ지평 등을 지내고, 1568년(선조 1)에...
    이칭별칭 구이(懼而)| 구졸암(九拙菴)
  • TD_I3_D_1240 東人文賦 시 詔使, 東來, 遠接使, 從事官, 精抄, 五首, 稱賞 隆慶丁卯 許國, 魏時亮, 朴忠元, 李山海, , 退溪先生, 權睡軒五福 項羽不渡烏江, 本集 D_14_01_40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4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4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감이후백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후백지이다. 후백지는 도배를 할 때 재배 용도로 많이 사용하였다. 紅綃一尺四寸二片內裹苧布一尺四寸三片苧絲五分機甘紙半張紅染紙一張膠末五夕回繩次草綠眞絲四戔甘伊及鳥足次白眞絲二戔, (상호1873/226ㄴ03~05)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성윤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데, 만년이 된 1583년(선조 16) 이이(李珥)ㆍ정지연(鄭芝衍)ㆍ이후백() 등의 추천으로 왕자사부(王子師傅)ㆍ태인현감 등의 관직이 내려졌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다. 조헌(趙憲)의 상소에 숨은 선비 중에 언론과 풍지(風旨)가 바르고 굳센 최고의 인물이라...
    이칭별칭 화중(和仲)| 판곡(板谷)

고서·고문서(88)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1594년(선조 27) - 1651년(효종 2) 조선 후기 문신. 이여 후손, 증조는 이한, 조부는 이인건, 부친은 이욱이다. 외조부는 황정욱이다. 형은 이후원이다. 관직은 양지현감‧안성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슬하에 4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적‧이두익‧이두명‧이

  • 서봉서원 / 瑞峯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현산리에 있는 서원. 1590년(선조 23)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후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강진군 성전면 월곡리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2년(숙종 38)에 백광훈(白光勳)과 최경창(崔慶昌)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

  • 복천서원 / 福川書院 [교육/교육]

    영전(影殿)을 옮겨짓고 이듬해에 공자의 화상을 이전할 때 군수 성환(成瑍)이 복천원(福川院)이라 현판을 달고 서원으로 불렀으며, 이것이 향교와 서원으로 갈라지는 시초가 되었다. 이계손(李繼孫)·유강(兪絳)·이후백()·한준겸(韓浚謙)·남구만(南九萬)·이안눌(李安訥)

  • 국조유선록 / 國朝儒先錄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 유희춘이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 등 사현(四賢)의 행적을 모아 1570년에 편찬한 전기. 5권 4책. 목활자본. 1570년(선조 3) 선조의 명을 받아 당시 부제학이었던 유희춘(柳希春)이 편찬하였다. 권두에 이후백()의 서(序)가 있고 발문은

  • 여창유취 / 女唱類聚 [문학/고전시가]

    1876년(고종 13)에 박효관(朴孝寬)과 안민영(安玟英)이 펴낸 것으로 추정되는 가집. 『여창유취』에는 총 178수의 시조가 수록되어 있는데, 정철(鄭澈)의 시조 3수를 비롯하여 권필(權韠)·황진이(黃眞伊)·이후백()·강백년(姜栢年)·안민영·황희(黃喜)·이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