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황” 에 대한 검색결과 4,7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03)

사전(1,64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초현부지탄(招賢不至嘆)’이라는 제목의 시를 짓고, 몰래 화공을 도산에 보내 그 풍경을 그리게 하였다. 그리고 그것에다 송인(宋寅)으로 하여금 도산기(陶山記) 및 도산잡영(陶山雜詠)을 써넣게 해 병풍을 만들어서, 그것을 통해 조석으로 을 흠모했다 한다. 그 뒤 친정...
    이칭별칭 경호(景浩)| 퇴계(退溪), 퇴도(退陶), 도수(陶叟)| 문순(文純)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수령의 안부. 承審老熱 .況萬安, 이덕형(李德馨), 3-42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유광의 장수이다. 가달의 장수 곽진과 대적하여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일찍이 도산(陶山)을 찾아온 빈소선생에게서 문정공[조광조]의행장을 부탁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논문(2)

고서·고문서(2,750)

  • 三月。 以爲大提學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三月。 以爲大提學 28_119_013.jpg ○三月 三月: 이하 외연에는 월별로 改行하였음. 。 以爲大提學。 時重望屬於滉, 大提學洪暹辭其職, 讓于滉。 ○鈴平府院君尹漑卒。 漑爲人精於細故, 不識大體, 人或以知禮稱之, 附...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四月。 辭病不來 28_119_014.jpg ○四月。 辭病不來。 于時上眷甚重, 雖牛童、走卒莫不慕其名, 皆欲一見其面, 滉終不起, 識者以爲憂。 ○罷兩宗禪科, 去內需司印信。 初僧普雨以設無遮大會, 爲僧俗所推敬, 聲聞于闕內。 上...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三月。 謝病歸鄕 28_119_061.jpg ○三月。 謝病歸鄕。 滉自陳老病,懇乞還鄕,章累上,上許之,引見于便殿。 上問曰: “卿欲何言?” 滉曰: “伏願聖明愛護士林。” 上曰: “當爲卿勉之。” 又問曰: “朝士何人可倚信,何人爲道...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915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제천 한수 연안이씨
  • 1745년 ()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구술자료(2)

  • 옥순봉을 빼앗아간 퇴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괴곡리 앞에 있는 옥순봉 이야기를 하면서 구연해 주었다. 퇴계 이황 선생이 쓴 글을 수몰되기 전에 보았다고 한다.
    조사일시2009. 04. 23(목) | 조사장소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괴곡리 | 제보자오병호
  • 훌륭한 선생님 쭈반안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반안 선생은 베트남 잔(陳) 왕조 시대의 최고 현인으로, 유학자로서 왕태자를 가르치는 스승이었다. 본문에서는 쭈반안과 추반안으로 발음을 혼용하였다.. 이제는 문묘에, 문묘에서 좀. [조사자1: 문묘에서 제사를 지내요?] 네, 모시고 있구요. [조사자1: 우리나라의
    국가베트남 | 제보자쩐티빅프엉 [베트남, 여, 1977년생, 기타]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9)

  • 퇴계 의 理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종우, 게재일 : 2006
    40684 이종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학회 2006 퇴계 의 理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퇴계 의 한시작품 개고와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석태, 게재일 : 2016
    17912 정석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 의 한시작품 개고와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林隱 程復心과 退溪 의 太極說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주광호, 게재일 : 2013
    54206 주광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퇴계학연구원 2013 林隱 程復心과 退溪 의 太極說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논문] 퇴계 의 수양론과 대상 인식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34431 한국연구재단 퇴계학부산연구원 2012 [논문] 퇴계 의 수양론과 대상 인식의 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청량지??를  통해 본 퇴계 과 청량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6377 한국연구재단 경상대 남명학연구소 2008 ??청량지??를  통해 본 퇴계 과 청량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99)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작에 영공 쥬이뎐씨 폐현야 슈안군 금광건을상쥬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6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拒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잡보에 긔로 일공가 직산금광에셔 금이나지 아니면 타쳐로 다시 쳥구터이오  군슈가 져희즉 금광무가 곤란다 고로 궁부에셔 답죠기를 직산금광을 임의 징약얏슨즉 타쳐를 쳥구는것은 약죠밧 일이니 결단코 인허슈업고 군슈는 져희 리유가 만무다...
    게재일1903년 4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姜(-) 청진 姜 - 新岩洞 - - 고무화상 - - - 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姜台璜(-) | 지역청진 | 품목- | 영업종목고무화상 | 자료출처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龍(黑木疊店 ) 수원 龍 黑木疊店 梅山町 1町目 49 - - 다다미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黃龍(黑木疊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다다미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경상도 고셩군 죵씨 셩을 넘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상도 고셩군 죵씨 셩을 넘어 탐학다가 그 고을 셩의 졍소를 맛 법부로 잡혀온다 더라
    게재일1898년 8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46)

  • 배향 서원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X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현지 안내문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퇴계 의 의학과 의술_4주차_1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결하기 위한 의학과 약물 지식의 교류 등을 중심으로, 당시 삶과 문화 등을 전반적으로 재해석하고 설명 1주 한국 고대 의약생활의 탐구 2주 고려 사람 이규보의 의약생활 3주 귀한 손자 키우기: 이문건의 『양아록』 4주 퇴계 의 의학과 의술 5주 병과 의약생활로
    강좌제목병, 약, 몸의 한국사 | 강의자신동원 교수
  • 퇴계 의 의학과 의술_4주차_2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결하기 위한 의학과 약물 지식의 교류 등을 중심으로, 당시 삶과 문화 등을 전반적으로 재해석하고 설명 1주 한국 고대 의약생활의 탐구 2주 고려 사람 이규보의 의약생활 3주 귀한 손자 키우기: 이문건의 『양아록』 4주 퇴계 의 의학과 의술 5주 병과 의약생활로
    강좌제목병, 약, 몸의 한국사 | 강의자신동원 교수
  • 퇴계 의 의학과 의술_4주차_3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결하기 위한 의학과 약물 지식의 교류 등을 중심으로, 당시 삶과 문화 등을 전반적으로 재해석하고 설명 1주 한국 고대 의약생활의 탐구 2주 고려 사람 이규보의 의약생활 3주 귀한 손자 키우기: 이문건의 『양아록』 4주 퇴계 의 의학과 의술 5주 병과 의약생활로
    강좌제목병, 약, 몸의 한국사 | 강의자신동원 교수
  • 퇴계 의 의학과 의술_4주차_4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결하기 위한 의학과 약물 지식의 교류 등을 중심으로, 당시 삶과 문화 등을 전반적으로 재해석하고 설명 1주 한국 고대 의약생활의 탐구 2주 고려 사람 이규보의 의약생활 3주 귀한 손자 키우기: 이문건의 『양아록』 4주 퇴계 의 의학과 의술 5주 병과 의약생활로
    강좌제목병, 약, 몸의 한국사 | 강의자신동원 교수

기타자료(45)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8983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80면 1. 3. 각 과별 졸업생;16) 제16회 졸업생 (1934년 3월 졸업);(2) 상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9901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84면 1. 3. 각 과별 졸업생;16) 제16회 졸업생 (1934년 3월 졸업);(2) 상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0834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3호 1925 137면 1. 본년도 회원 씨명;3학년 을반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7096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96면 ; 제11회 1933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39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0면 식;植 제3회 1943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188)

  • / [종교·철학/유학]

    1501-1570. 조선 중종대의 유학자. 1534년부터 벼슬길에 들어섰으나 대부분의 임명을 신병이나 노쇠, 재질부족 등의 이유를 들어사퇴하였다. 59세때 기대승과 사칠논변을 벌였고 68세때 <성학십도>를 지었다. 그는 성리학을 한국적으로 체계화시킴으로써 이후의 조선

  • 소네 아라스케 / 曾 [정치·법제/외교]

    1849-1910. 근대 일본의 관료. 외교관. 정치가. 1872년 프랑스에 유학. 1877년 귀국해 육군성에 출사. 1881년 문관으로 전환해 태정관 소서기관, 참사원 의관보, 법제국 참사관, 내각 기록국장, 내각 관보국장 등 역임. 1890년 국회가 개설 초대 중의

  • 기대승 / 奇大升 [종교·철학/유학]

    1527-1572.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1558년 과거 급제하여 사관이 되었다. 32세에 정지운, 과 <태극도설>을 논하고, 과 사칠논변을 통하여 사상적 체계를 완성시켰다. 정지운의 <천명도>는 호씨설에서 나왔고, 의 사칠론은 <주자어류>에 지나치게 의

  • 어부가도산곡 / 漁父歌陶山曲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사곡류(詞曲類) 이현보(李賢輔), () 저, 목판본, 간사년미상, 불분권 1책(어부가 6장, 도산곡 6장). 농암 이현보의 어부가(漁父歌) 9장과 퇴계 의 도산(陶山) 12곡이 실린 책이다. 이 곡에 관한 내용을 담은 농암과 퇴계의 초서체

  • 조목 / 趙穆 [종교·철학/유학]

    1524년(중종 19)∼1606년(선조3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대춘, 어머니는 권수익의 딸이다. 의 문인이다. 1552년(명종 7)생원시에 합격했으나 대과를 포기하고 학문과 수양에만 전념하였다. 그는 일찍이 의 문하생이 된 후 평생 동안 가장